[칼럼] 2등급 이하 국어 단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307961
원래 지난 글을 마지막으로 로그아웃 하려 했는데 가르치는 학생이든 오르비에서든 비슷한 문의가 와서 찐막 같은 느낌으로 쓰게 됐네요.
글에 들어가기에 앞서 전 과외 문의나 상담 잡을때 등급대를 꽤 타이트하게 잡는 편입니다. 그래서 이 글의 대상인 중~중하위권 학생들은 2등급 이하 학생들이라 생각해주심 편할 것 같아요.
1. 기출부터 올바르게 학습합시다
전 과외 할 때 학생들에게 평가원 국어에서 고득점을 이루는 학생들에겐 세 가지 유형이 있다고 꽃을 피우는 과정에 빗대 설명합니다.
1. 태어나면서부터 꽃봉오리를 가지고 태어난 케이스(재능)
2. 평범하게 태어났지만 비료나 물을 무지막지하게 때려넣은 케이스(엄청난 텍스트 습득)
3. 평범하게 태어났지만 고품질 비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한 케이스(기출 분석)
대다수는 3번일 겁니다. 1번이나 2번은 보통 공부 안 하고도 잘 나오는 케이스기도 하고, 애초에 1등급을 맞았을테니 논외로 두는게 맞다 생각합니다.
그런데 가끔가다 2~3등급 학생들이 기출 한 번 슥 풀었으니 사설 위주로 공부하는 경우가 보이는데, 대다수가 기출 지문을 물어보면 대답하지 못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기출은 단순히 푸는게 아닌, 풀면서 평가원이 어떻게 글을 연결하는지, 어떤 식으로 맥락과 주제를 제시하고 그게 어떻게 문제로 이어지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최고의 지문입니다. 단순히 푸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시간이 길게 걸리더라도 문장 단위로 뜯으면서 어떤 부분이 어떻게 이어지고 출제되는지 찾는 것만큼 수능 국어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없다 생각합니다. 그게 어느정도 경지에 다다르면 사설이든 릿밋딧이든 편하게 손댈 수 있을 겁니다.
2. 최상위권만 따라가기는 금물
사실 글을 쓴 가장 큰 이유기도 합니다. 주변 상위권이나 최상위권, 아니면 커뮤에선 이렇게 하던데요? 같은 질문을 많이 받아서...
다른 과목도 그렇습니다만 특히 국어는 내가 학습하는 방식부터 확실하게 잡아야지, 최상위권이 이렇게 하더라~ 같은 식의 접근은 자제하시는게 이롭습니다. 어느 과목이든 마찬가지지만 특히 국어는 사람마다 머리에서 텍스트를 처리하는 능력이 각자 다르거든요.
https://orbi.kr/00072305396/%EB%85%B8%EB%B2%A0-%ED%98%B8%EC%86%8C%EC%9D%B8-%ED%8A%B9-%ED%95%B4%EB%8F%84-%EC%95%88%EC%98%A4%EB%A5%B8%EB%8B%A4%ED%95%A8?type=hot
이 글에서도 나와있듯 한 문장을 봤을 때 사람마다 떠오르는 생각은 전부 다릅니다. '새햐안 눈덩이를 굴린다.' 라는 문장을 봤을 때 누군가는 하얗다는 색만 떠올리기도 하고, 누군가는 둥그런 덩어리가 굴러가는 모습을 상상하기도 하고, 아예 떠오르지도 않고 '새햐안 눈덩이를 굴린다.'라는 정보를 머리에 그대로 넣는 사람도 있으니까요.
대다수의 최상위권은 저 문장을 어떻게 처리하든 자기만의 방식으로 보는 순간 이해하는게 다반사입니다. 당장 저만 하더라도 저 문장을 보면 머릿속에 새햐안 눈덩이를 데굴데굴 굴리는 사람의 모습이 영화처럼 펼쳐집니다. 상상할 필요도 없이 텍스트가 눈에 들어오자마자 당연하게요.
그러니 내 방식을 찾았고 3번에서 설명할 내 약점을 파악했다면 그걸 보완하는 방식으로 하면 됩니다.
첨언하자면 그렇기에 검증된 1타인 이상 굳이 다른 사람의 평을 찾아 들을 필요가 없다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내가 너무 안 맞는게 아닌 이상 남의 말만 듣고 바꿀 필요도 없고요.
3. 약점을 찾았으면 보완하자
1번의 연장선상입니다. 기출을 푸는 이유는 평가원의 글을 읽고 이해하며 해석하는(고품질 비료 이용) 과정이기도 하지만 내가 어떤 부분에서 약점이 있는지 알아내기 위함이기도 합니다. 고품질 비료를 아무렇게나 붓는게 아닌, 효율적으로 이용하는게 우리의 목적이니까요.
문제를 풀면서 지문의 내용이 잘 기억나지 않으면 중간중간 필기를 하면서 풀어야지! 같은 방식으로 내가 어느 부분에서 어떤 점을 놓치고 있는지 생각하며 보완하는 방식이 가장 이상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글이나 국어 질문은 글에 남겨주심 답변 해드릴게요.
팔로우 해두시면 양질의 칼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좋아요와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젠 다른반애들이 와서 니네 담임 이상하다그럼 ㅋㅋㅋ 제발.. 아무한테나 성질부히지마세요
-
(비꼬는거 x 편입학원에 악감정도 x) 고객들이 복사가 된다고!
-
미모의 원장님께서 이 학원에서 근무하게 되면 근무 전에 자기랑 쇼핑가자고 하셨는데...
-
이런 소리도 가능 물론 현실성은 없겠지만.
-
금욕 1일차 1
뇌가 망가졌다
-
내가 개임
-
국회의원 정원은 총 300명 그런데 한 명이 사퇴한다 그럼 국회의원 인원은 299명임
-
정말 불쌍한건 이과대, 자과대 사람들임 새빠지게 공부하고 일해서 진화론을 뒷받침하는...
-
오늘부터 시작해도 ㄱㄴ한가요? 보통 몇시간 정도 하지
-
-정시 정시 나군 13명 국어 35 수학 35 탐구 2과목 30 영어 2까지 한국사...
-
태초의 별 1
-
정원이랑 뭐가 다른거임,,
-
이럴거면 그냥 다 원상복구 정상화해라 언제 태어났는지로 인생결정나는 ㅈ같은 사회 만들지 말고
-
스무고개 하실분 2
범위는 동물
-
시켰다 2
흐흐
-
지문 이해하면 1초컷 아니면 뺑뺑 돌게 진짜 잘 만든듯..
-
어제부터 똥을 3
한무더기를 싸고 자빠졌음
-
앞으론 착하게 살라는 절대자의 암호 ㄷㄷㄷㄷㄷ
-
강러근처 대충 추려옴요
-
왜살지 액체식사로 떼울까
-
어디로 가야 할까 정처없는여행의시작임 점심부터 먹을까
-
국어 시간관리 4
작년 6평 다시 봤는데 언매 11분 문학 25분 독서론+독서 28분이면 문학 푸는...
-
매우 맘에 들어서 매우 기분좋음
-
그읽그풀로 푸는거 좋아하는데 박광일쌤은 어떤가요?
-
98년생이라고..?
-
설사에 치질에 몸은 힘들어죽겠고 또 설사날까봐 뭐 먹기도 부담스럽고 ㅅㅂ
-
수능 만점+서울대 컴공 수시 합격
-
연대 채플에서 하나님이 있다는 것이 증명 불가하다면 하나님이 없다는 것도 증명...
-
자고싶다 0
ㅇ
-
햄버거 김밥 0
?
-
별다른 꿈도 없이 억지로 참아가며 공부하는 수험생들 입장에선 공부도 잘 했고,...
-
언매 인강추천 0
언매개념은 어느정도는 기억해서 빠르게 다 듣고싶은데 강의수 짧은 개념강의 있을까요
-
의대 동결+정시 일반 티오 지역인재 수시로 빼가기
-
더프 전에 하나 풀고가고싶은대
-
골 3
으흐흐
-
졸리다 졸려 1
-
3모 상담 결과 17
인가경 라인에서 서성한으로 오름 굿
-
어 어 이제 오지마라
-
연약 vs 대구한 10
.
-
1, 2 뭐가 더 나을까요 진지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4
영어학원 쌤은 정시파이터 하려면 몇백만원 내고 재수학원 들어가서 내신 다 던지고...
-
솔직히 좆간지인데 존나 치열하겠지
-
누군가를 찾아다닐 상황은 안 될 것 같은데
-
이번주 일요일.
-
학교별 깃발이라 ㅋㅋㅋ
-
4덮 전 점검용 공통60분 76점 중 7틀 난이도 중상 1컷88 문학에서 주관개입...
-
엉덩이가 너무 큼 16
진짜 이게 내 인생에 무슨 도움이 될까 바지 핏만 개구려져서 요즘 너무 싫어짐
-
님들 엄기은쌤 6
peak로 기출하고 솔텍하는거 어케 생각함 기출분석의 취지에선 peak가 좀더...
-
일어났어 10
비몽사몽
-
일하는 동네가 수성구라 ㄹㅇ 수치사 할 것 같은데
-
[단독] 정부 "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내일 발표" 10
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동결하기로 하고 이를...
Ps. 첫 댓글로 2번 이야기 조금만 더 하자면 최상위권은 뭘 하든 성적이 나옵니다... 그래서 따라하지 말라는 거고요. 당장 저만 보더라도 현역은 기출 분석 한 지문도 안 하고 사설+EBS로 백99였고, 반수는 과외용 기출 분석 찍먹 2~3개년+리트 지문 몇 개로 백98이었습니다. 나랑 완전히 다른 등급대의 공부 방식 맹신은 위험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