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준식국어 [1372861] · MS 2025 · 쪽지

2025-02-20 20:00:41
조회수 128

문학 교과서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117774

1. 문학 교과서는 크게 4가지 단원으로 서술 되어 있음 


- 문학의 특징 


- 문학 작품의 구성 원리와 수용


- 한국 문학 작품의 갈래들의 특징


- 한국 문학의 특수성과 보편성 



2. 문학의 특징은 크게 4가지, 작품 구성 원리와 수용에서는 내용과 형식의 조화, <보기>형 문제를 집중 출제함 


- 대상을 묘사하는 심미적 태도, 현실의 논리와 다른 삶의 태도를 지향하는 윤리적 태도, 대상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시하는 인식적 태도, 다른 사람의 말과 행동을 통해서 그 사람의 생각을 유추하는 공감적 태도 이 네 가지를 학습함


- 심미적 태도로 출제했던 작품들은 2009 김영랑의 청명 세트, 2111 이시영의 마음의 고향 세트


- 윤리적 태도로 출제했던 작품은 1811 김광균의 묘비명


- 인식적 태도로 출제했던 작품은 2409 서영보의 문의당기


- 공감적 태도로 출제했던 작품은 1611A 박완서의 나목이 대표적임



3. 2단원부터 본격적인 문제 출제가 이루어지는데 크게 3가지를 학습함


- 내용과 형식이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룸을 이해한다


- 작품을 사회적, 작가, 상호 텍스트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감상한다


- 작품을 공감적, 비판적, 창의적으로 수용한다


- 두번째 학습 내용은 주로 보기를 통해 작품을 보기의 관점에서 감상할 수 있는지를 측정함


- 세번째 학습 내용은 첫번째로 학생이 작품을 잘 이해하길 요구하는 것이고(공감적), 그 결과를 통해 보기를 해석할 것을 요구하고(창의적), 그 해석의 결과를 통해 선지의 진위 판단을 요구하는 것임(비판적)


-> 주로 보기에 '없는' 내용이기 때문에 옳지 않다고 이야기하는데 비판적 감상을 측정하기 위해서 보기에 없는 내용에 대해서 진위 판단을 요구하는 것임 


이렇게 대놓고 교과서를 기반으로 출제를 하는데 왜 100퍼센트 사실 일치라고 말들을 하는지 모르겠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