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와법 질문 받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952610
[질문규칙]
1. 과목선택 기준, 팁, 시험팁과 같이 내용 외의 질문을 할 수 없습니다.
2. 다만, 내용은 교과에 한정하지 않고 법 일반에 관한 질문을 허용합니다. ex) 인지청구된 양자인 외국인이 국적을 취득하는 요건
3. 제2항에도 불구하고, 교과 외 내용으로써 정치에 관한 질문을 할 수 없습니다.
4. 질문을 받는 기한은 오늘 자정까지로 합니다. 글쓴이는 질문규칙을 준수한 질문에 대해 모두 응답해야 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한지vs세지 3
지구과학 하다가 넘어가려고 하는데 둘중에 뭐가더 지구과학이랑 비슷한가요?? 그리고...
-
현역 정시 의대 합격 11
도움 많이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인생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저는
-
뱃지 받았네요 4
드디어!!
-
저메추좀 2
삼겹 VS 보쌈
-
어닝플 성공으로 30퍼 먹으니까 달다
-
입학처 들어가도 안보이는디 어디서 봐오
-
어느 것이 타임어택이 조금이라도 더 심할까요? 가능한 타임어택없는걸 찾고있는데 요즘...
-
장발 옵붕이의 삷••
-
뭐라고할지궁금해짐
-
색깔펜 씀
-
우럿서 ㅠㅠㅠㅠㅠㅠㅠㅠ
-
점공상 AA로 역전/CC로 불합 각각 몇 명인가요? 과랑 같이 적어주시면...
-
설의 추합 1명 돌았음
-
??
-
재밌네 이거 흐흫
-
아 진짜 복학하기싫은데…
주관적으로 제일 어려운 파트 어디신거같나용
내용 외 질문입니다
상대 다수 대표제와 절대 다수 대표제 간 과대/과소 대표 문제 발생 가능성에 차이가 있다고 보아야 하나요? 그리고 차이가 있다면 둘을 구분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는 지 궁금합니다.
예 차이가 있습니다.
상대다수대표제가 보다 발생가능성이 높습니다.
발생가능성의 차이는 수험생 입장에서 필요성이 있다고 말하긴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최근 선거문제가 구체적인
사례를 주고 개념을 적용시키는 만큼. 구태여 모를 이유까진 없다고 사료되므로 일단 그러한 개념이 있다는 것은 알아두시되, 시험에 나온다면 제시된 자료를 바탕으로
개별적•구체적으로 판단해야 할 것입니다.
매우 특수한 상황에선 그렇지 않을 수 있어요.
근데 저는 그것보다는 "표의 등가성" 부분 개념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헌재에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했기 때문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