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능국어 스타일에 떡밥에 대한 대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861935
수능 기출문제의 역사를 살펴보면 그 스타일은 지속적으로 변화해왔습니다.
특히 2024년 9월 모의평가부터 2025년 수능까지의 최근 기출을 분석해보면
'인지와 판단' 중심으로의 뚜렷한 변화가 감지됩니다.
이 부분은 대부분이 동의할 것입니다,
( 물론 에이어같은 예외가 있겠지만요
제 앞선 칼럼에서 언급했듯 수능은 결코 직전 연도의 시험을 그대로 복제하지 않습니다.
매년 변별의 기준점이 다르고 주목하는 핵심 포인트가 달라지며 낯설면서도 이전 기출과의 연결성이 명확한 특징을 보입니다.
그 결과 매년 강렬한 인상을 남기고 가지요.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경향성'의 성격입니다.
경향성은 평가원이 언제든 바꿀 수 있는 변수입니다.
( 최근 경향 중 문단의 커브틀기도 마찬가지 입니다.
최근 들어 자주 등장하는 문단의 구조 변화도 이러한 가변적 요소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전 기출들과의 연결지점이라는 '상수'입니다. 이는 변화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본질적 요소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안정적인 수능 성적을 받아내기 위해서는 이러한 상수에 주목해야 합니다.
단순히 변화하는 요소들에만 집중한다? 시험 점수 역시 불안정하게 변동할 수밖에 없습니다.
눈알굴리기 연습했는데 헤겔, 에이어, 브레턴, 어라운드뷰의 후손이 ㅎㅇ~하고 나오면 ㅎㅇ... 하고 썰리실겁니까?
평가원이라는 기관이 출제의 주도권을 가지고 있는 현실이기에 우리는 그들의 출제 패턴을 면밀히 분석해야 합니다.
평가원 역시 자신들의 과거 출제 근거에 기반하여 문제를 출제하는 만큼 기출문제의 분석과 연구는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결국 현재의 평가원도 과거의 평가원에게 목줄을 잡혀 끌려다니는 형국이라고 봐야겠습니다.
현재의 평가원은 미래의 평가원의 목줄을 쥐고 있겠구요...
이처럼 수능 기출문제는 변화와 일관성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진화해왔습니다.
점수를 안정적으로 받아내기 위해서는 일관적인 상수를 분석하여 학습하시고나서
더 높은 상방을 위해 변화하는 변수를 분석하시기 바랍니다.
또 기출경향 떡밥이 돌아 써봤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스블 수1이랑 KBS 듣고싶다
-
자꾸 쌤도 정보량많은거 인덱스치고 서칭하라는데 주관가지고 다읽으려고하니까 틀리는듯...
-
D-11 3
할수있다 할수있다
-
기출봐야지
-
확통 공통평균 높여야댐.. 공통 잘하면 확통은 금방이니 다른 과목에 투자...
-
2배속 어떰
-
앙그루트 0
생수
-
Get lucky 모의고사 마음에 드는데 세트로 Be lucky 모의고사도 낼까
-
존나어렵네시발 4
일본어나 먼저 해야지
-
ㅇㅇ 내가 증명임
-
1주만에 푼거 감안해도 5개중 3개 틀렸네........ 아니 어떻게 그게 자부심이었냐고 아 ㅋㅋㅋ
-
대입논술을 공부하거나 경험이 있다면, 짧은 설문에 참여해주세요!2024학년도부터...
-
남자가 선연락 치면 어느정도의 호감은 있는거 아니냐 2
남사친 여사친 관계가 다 그런거 아녔어?
-
제주감귤 7
감귤초콜릿이 정말 맛있는데
-
막상 내가 갈 때 되니까 군필분들이 존경스럽고 대단하게 느껴지네..
-
호라이즌모의고사 3
1컷 몇점??
-
나도 여왕벌 할래. 14
날아다녀붕붕
-
그만큼 다른 자격증들이 대따 어려움. 심지어 공인중개사 1차 민법도 수능 정법보다 훨씬 어렵다.
-
대통령의 권한(국방,외교에 한함)을 줄이고, 국회에서 내각(내치)을 구성하도록 하되...
-
이름은 호라이즌모의고사로 정했어요 아직 확정은 아니니 의견있으면 말해주세요 아마...
-
오늘 공부 할까 9
국어만 ㄱㄱ?
-
차단할 뻔한적은 세 번 있었긴 해
-
나도 저런인기 얻고싶다 ㅠㅠ
-
수학 (하) 베이직쎈의 기초문제 다량 투하,,, 널 포기할 수 없다
-
응 바로 몽블랑 아이쇼핑으로 런
-
어머님 저는 독서 문학만 가르칩니다(전 교육과정에서 화작해서요)속닥속닥 하면 바로 꺼지라 하겠지?
-
ㅇㅇ
-
이것도 스킬이 들어가야하는듯
-
. 2
-
학교갈까 2
심심한데
-
여장해봄 4
히히 이대로 과외드갈까
-
. 2
.
-
내안을 파고드는 가시이이이이이가되어어어어어
-
아무 것도 안하게 되네 이 위는 내가 갈 수 없는 곳일 것 같음
-
세지vs정법 2
사문은 끼고 할거임여 ㅊㅊ좀 이유잇음 댓글 부탁드림니다 생윤은 점수가 안정적이지...
-
문크 예거.. 어디까지 내다본거냐..
-
그냥 강사분 기출만 풀어도 충분한가요?? 제가 생각중인 이상적인 방법은 강사분...
-
전 게시물의 여러 의견들 감사합니다! 조금 더 제 상황을 보충한다면 더 다양한...
-
이거 알레르기인가… 중딩 때까지는 쭈구미,낙지,문어 잘 먹었는데 어느순간 먹으면 배가 ㅈㄴ 아픔
-
구라같냐 이눔들아..!!
-
매주 현강가서 기원‘s weight lifting function, 역함수 해석...
-
6P2도 계산 한참 해매는데 어카쥬... 수학하 베이직쎈부터 진짜해야하나
-
내신 자체휴강 ㅆㅂ ㅋㅋㅋㅋ
-
정시 파이터로 살면서 내신 한 번도 안 해봐서 뭐 해야할지 감도안옴 ㅋㅋ
-
하… 고1 때 내신 스트레스 땜에 우울한 상황에서 나를 위로해준 오르비언이 있었는데...
-
으어 ㅠㅠ 중간고사 준비하기 싫음 ㅍ_ㅍ 하지만 나는 안해도, 내 과외생들에게는...
-
배기범쌤 교재 3
강의 안들으면 못사넹..
-
어캄 띠바
-
제가 작수 영어 4인데 그냥 제대로 된 해석 전혀 못하고 그냥 아는 단어로 대충...
눈알굴리기를 중심으로 두고 공부해도 썰리는건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수능 국어에서 눈알굴리기로 풀리는 문제가 45문제 중에 몇문제나 될까요?? 20문제가 그리 풀린다 하더라도 나머지 25문제는 어떡할건지요...? 사고력,독해력을 올리는게 기본이 된 후에 눈알굴리기도 다른 툴로써 가지고 있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이라 생각되네요 전.
좋은 글 감사합니다!
둘 다 하자가 제가 하고픈 말이었습니다
'점수를 안정적으로 받아내기 위해서는 일관적인 상수를 분석하여 학습하시고나서
더 높은 상방을 위해 변화하는 변수를 분석하시기 바랍니다.'
다시 읽어보시면 아실듯
이해와 감상으로 풀린적이있었나요??
언제나 인지와 판단이었다고봐서..
04이전은또모르겠네요
예 뭐 그쵸
글을 급하게 써서 뒷부분 하고픈 말하고 앞부분하고 딴말써놨네요
이해와 감상부분 수정해놨습니다.
막상 수업때 저도 그소릴하는데 글을 한번에 쓸라고 하니까 논탈이....
쓰고 수정을 해야하는데 올리고 수정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