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랑 인문학적 대화하는게 재밌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469152
물론 현실적인 얘기 정치 얘기로 가면 좀 쉽지 않아지는데
책도 많이 읽으시고 진짜 지식이 넓은 분이라서 좋음
독서의 효용가치에 대해 얘기 좀 나누고.. 확실히 다양한 책을 읽어보고 나에 맞는 관심사를 찾아서 더 읽어가는게 효과적이라고
개인적으로 문학이 비문학에 비해 효용가치가 있는가? 이게 요즘 가지는 의문이였는데 가볍게 영화 한편 본다고 생각하는거라 하심
제 생각도 덧붙이면 독서랑 목적이 다소 다르다고 생각함 문학 작품은 작가가 창조해낸 하나의 작은 세계인데 내가 그 세계를 살아볼 수 있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좋은 것 같음
독서라는 행동 자체에서 다양한 텍스트와 어휘들을 접하면서 자연스레 어휘력이나 독해력이 따라서 올라가는거는 덤이고
또 아버지가 갖고 있는 돈을 투자하고 그러긴 했지만 그 의의가 어디에 있었을까?를 물어봤는데.. 돈이 많으면 좋긴 하죠 근데 돈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그 의미를 좀 잃어버린다고 생각함
그래서 저도 그 생각이 들더라고요 항상 갖고 있던 생각이 한 100억정도로 불려서 경제적 자유를 일궈내고 싶다는 마인드였는데 과연 그러고 나서는? 그리고 나는 돈이 절대적인 가치가 아닌걸 알면서 왜 돈만을 최우선적인 목표로 삼고 좇고 있었던거지?
그래도 돈이 우선적인 가치가 맞다는 사실에는 부인할 수 없음 일정 수준 이상의 금액은 휴지조각이라는 생각도 가지곤 있지만 최소한의 의식주가 갖춰져 있고 문화생활을 즐길 수준의 돈은 있어야 그 다음을 외칠 수가 있다는거임
그리고 돈이 내가 열심히 살아왔고 나의 사회적 성공을 입증해주는 가장 쉬운 증표더라고요 그래서 돈을 목표로 삼는 것 자체는 스스로도 합리화가 되었는데.. 그럼 그 돈을 벌고 나서 그 다음은?
이런걸 스스로에게 되물어보면 스스로 즐거움을 느끼는게 남을 도울때 즐거운 것 같음 그 일환이 조건 없이 사람들 원서 봐주고 조언해줬던거고 평소에 오르비에서 이 사람 저 사람한테 조언해주고 도와주려고 하고.. 근데 그게 자꾸 나댄다고 욕먹으면 그건 좀 슬프지만
그래서 그 다음은 기부인 것 같더라고요 물론 제가 이래놓고 거렁뱅이 되어서 서울역을 전전하는 신세가 되어있을지도 모르지만 항상 제 가치관을 바로세워놔야 길을 잃지 않을 수 있는 것 같아요
또 과연 머리가 좋다는건 기준을 어떻게 세워야 하는걸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저 스스로가 굉장히 머리가 좋은 편이라고 생각하고, 제가 본 사람중에 가장 머리가 좋은 사람은 저희 아버지라 생각함
근데 머리가 좋다고 해서 제가 그만큼 뛰어난 사람이냐? 그런건 아님 제가 어릴때 바둑 프로 지망도 해보고 게임도 최상위권까지 가보고 공부도 나름 상위권까지 가봤지만 저보다 잘하는 사람은 수도없이 많음
특히 바둑은 제가 대회에서만 두번 지고 정말 벽을 느꼈던 친구가 있는데.. 걔가 프로 데뷔를 했더라고요? 근데 걔도 프로에선 승률이 10프로가 채 안됨 날 억누른 재능 위엔 압도적인 재능이 수없이 많은거임
게임도 브론즈부터 시작해서 이것저것 공부해가며 프로들 상대로 자주 이겨보기도 하고 순위도 더 높아보고 그랬는데, 이것도 말도 안되는 사람들 앞에선 정말 벽이 있음 프로펫, 쪼낙, 희상, 이성진 등등 어지간한 프로들이나 네임드들은 다 만나봤는데.. 정말 저건 다시 태어나도 못따라하겠다 싶은 벽이 정말 있어요
공부도 유명한 무빙건햄부터 시작해서 제 주변에도 수능수학을 50분컷 만점 받으면서 문제 출제하는 친구도 있고, 재종에서도 와 공부를 사람이 이렇게 잘해? 하는 미친 사람들을 정말 수도 없이 봄
근데 그 사람들이 있다고 제 재능이랑 스스로가 폄하되는건 아니죠
예전엔 제 스스로의 재능에 대한 회의가 되게 심했음 스스로가 평균만도 못하다는 생각도 자주 들었고 되게 비관적이였음
근데 그렇게 생각해서 내가 얻을게 뭐가 있는데? 이걸 깨달은 순간부터 일단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보단 똑똑한거임 ㅋㅋㅋ 진짜 좋은 머리 가지고도 아 나는 저 사람보다 못났고 한심해..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보다 그냥 나는 존나 멋있고 개쩔어!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더 성공할 확률도 높고 그 사실을 안다는 것부터 더 똑똑하다고 생각함
그리고 지능의 척도는 대학이 될 수 없고, 서바 점수가 될 수 없고, iq 테스트 결과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해요.. 저는 진짜 공부 잘하고 머리 좋다는 소리 듣는 애들이여도 인성 박살나있고 다른 사람 무시하는 애들 보면 머리 좋다는 생각이 하나도 안듦
왜? 그건 정말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거니깐.. 그렇게 다른 사람을 무시하거나 인성 파탄자처럼 구는게 스스로도 좀먹는 행위고 다른 사람들한테 본인의 평판을 깎게 만드는 행위라는걸 스스로 모르니까요
저보다 게임 잘하는 사람? 바둑 잘두는 사람? 공부 잘하는 사람? IQ 높은 사람? 이걸로 줄세우면 저는 저 뒤에 꼽사리 끼는 정도일걸요
근데 저처럼 제가 뭘 해야할지 알고 그걸 위해 노력하고 성과를 일궈낸 사람? 스스로를 비하하면서 좀먹지 않는 사람? 스스로와 남들을 존중할 줄 아는 사람? 스스로의 가치관이 확립되어 있고 인문학적 성찰을 하는 사람? 이건 제가 지금까지 만나보거나 얘기 한 사람중에선 저희 아버지를 제외하고는 제가 한 수 앞서있다고 생각해요
이런 사실들이 저 스스로를 뛰어난 사람으로 생각하게 하고, 스스로를 믿게 되는 가장 중요한 중심축으로써 기능한다고 생각해요
아니 내가 머리 좋다고 생각한다는데 그걸로 왜 욕을 먹어 애초에
정제된 글이 아니고 그냥 제 생각 담아내는 뻘글임
주제가 없고 난잡한건 감안 부탁드려요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둘중에 뭐 살지 골라주세여
-
존맛탱구리
-
1. 왕복 40분, 시설 별로, 윗층이 헬스장이라 밤만 되면 런닝머신 쿵쿵대는 소리...
-
제가 수1.2 상중하를 샀는데 상중은 기본개념이고 하는 실전개념이라고 들었어요...
-
니들이 씨발 좆같게 만들었잖아 시빨내가 원서잘못써서 인문대와서 하고싶지도않은공부...
-
오늘 점심 3
학교근처인데 맛남
-
화학1이랑 경제 좀 결이 비슷한가요? 계산 빠른편이고 수능때 화학 1~2등급...
-
어지러워요 어지
-
1. 판매 페이지 캡처 후 댓글에 써주시면 2000덕 보내드려요~! 2. 사전 구매...
-
장재원, 박종민, 김현우 중에 추천 좀 해주세요 그리고 난이도는 어떤지도 알려주세요
-
앞으로는 평생 직장의 개념이 많이 흐려질 것으로 보입니다...
-
216 듣고 우리나라 국어 교육은 허울뿐이라고 느낌 6
216 들으면서 논리적으로 생각하는게 무엇인지 처음 배움 이걸 학교에서...
-
요즘 유행 2
-
항상 시험때 시간이 부족해서 28 30은 거의 못보는거 같은데 그냥 실모는 6월쯤부터 할까요?
-
우하하하핳 0
-
프라모델 모으기 미친사람 입갤...
-
이 모자 쓰고 나가는 사람 보면 속으로 뭔 생각 드실거 같음
-
가사가 그렇게 멋진지 어제 처음 알았음
-
이렇게 입고 나가면 어떻거같나요
-
요즘 경2마 불법도박 광고가 있긴 한가 있어도 뭔 죄다 알22리 테22무 이러던데...
-
젤 이쁜거 골라줘 우걱우걱
-
저번에 포카칩 난만한 대전에서 포카칩이 라그랑주로 풀었던데
-
2점3점+4점 2문제 (총 19문제) 1 2 3 4 5 6 7 8 9 10 / 16...
-
기초(선크림까지다하고) 파데로 얼굴 바르고 이걸로 제일어두운 색으로 눈 라인 따주고...
-
알바 좃같네 진짜ㅋㅋ 28
근무날이 예비군이랑 겹침. 딱 예비군 끝나는 시간에 근무 시작이라 아슬하게 벗어나긴...
-
일주일에 얼마나 쉬셨어요..?
-
늦버기 0
어제ㅜ새르비해서 너무 졸령
-
9.93이면 내가 현질을 어케 함
-
상위권에 한해서 알면 좋을거같은데
-
더프랑 모고랑 이렇게 많이 차이가 나는게 맞나요..??? 1
작수랑 3모 둘 다 국어 1등급인데 더프 5등급 받아서 너무 충격받아서 말을 잃음,,,이게뭐야
-
국어 기출 고민 중인데 둘 중 어떤 책 추천하시나요? 만약 마닳을 추천하시면 마닳은...
-
16수능 해시함수>>>비트코인열풍 22 6평 재이론>>>>윤석열탄핵
-
하하
-
물1 물2 지1 지2 화2 생2 화1 생1?
-
내신때메 1달정도 국어랑 영어 모고대비 못할 거 같은디 5일정도면 금방 끌어올릴 수...
-
그 심정 충분히 이해는 하는데 다만 주식할 때도 남들 다 하니까 남들 하는대로...
-
레버기 0
부지런행
-
스1,스2 문제만 다르지 문제 관련된 개념 설명은 똑같이 다 해주시는 편인가요?
-
시대인재 브릿지 1
브릿지를 50분 잡고 푸는게 맞나요? 확통인데 얼마정도로 푸는게 맞을까요? 3모 81점입니다
-
파멸적 숏
-
예전에 재수학원있을때 원래 교대붙은애였는데 의대간 친구한테 "교대??ㅋㅋㅋ 돈은...
-
인데 건훌들은 이거부터 어떻게좀 바뀌고 날뛰셈 제발 ㅜㅜ
-
아무 생각 없이 또 전활걸며 웃고있나봐 사랑해 오늘도 얘기해 믿을 수 없겠지만 안녕...
-
대한민국 공대 중 인지도 압도적 원탑 나오기만 하면 큰 돈을 벌 수 있음 이름이 멋있음
-
멍때리고 아무것도 안한 나
-
4수 vs 편입 6
국어는 애매하게 함 현역때는 백분위 99였고 작년 수능은 4등급 맞고 나락감 확통은...

자아가 단단하네요 멋있당
이걸 읽으시네요 너무 길어서 아무도 안읽을줄스스로 인문학적으로 고찰해보고 그걸 적어보고 사람들과 얘기해보고.. 그러면서 가치관이 단단해진 것 같아요
글 지우지 말아주세요~
나중에 답글 달고 싶어요!

답글 달고 있었는데 댓글 지우셔서 ㅋㅋㅋ아무튼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열심히 쓴 글이라 냅둘 것 같아요
멋진 청년
잡담태그좀요
일부러 뗀거임 ㅠㅡㅠ 다른글엔 달아요

좋네요생각이 깊으시네요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부럽당...
아버지랑 이렇게 지낼 수 있구나

공감이 가는 글이네요. 이런 생각 들 때가 많은데근데 메인 가서 눈치보임.. 이럼 지우고싶은데
생각해볼 게 많은 글이라 그냥 냅두시는게...
스스로 남들보다 한 수 앞서 있다고 말하는 것 자체가 정진이 필요한 거라 생각함.
자존감을 가지는 건 좋지만, 사람은 누구나 잘나고 못난 것 없이 길가의 풀 같은 존재 아닌가 싶음.
결국 보면 내가 특별하다는 착각이 마음 속에서 온갖 시비를 만들어 내는 거라
저도 생각해봤는데 자신감과 자만은 한 끗 차이인 것 같아요 제가 전달하려는 의도는 스스로에 대한 자신과 확신을 갖자는 의도였는데 글이 좀 난잡해진 감은 있네요 저도 자신감은 가지되 자만하지 않도록 노력하려고요

그런데 그런 생각을 하는 님이나 같이 이런 얘기를 나눌 수 있는 아버님이나 두 분 다 대단하신 겁니다굿굿
글 스크랩해가요
스크랩 특) 스크랩해놓고 다신 안봄
재밌음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