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잘팁] ??? : 그것이 「문학」이니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329201
가끔 문학 문제를 풀다 보면
진짜 애매한 문제
가 나올 때가 있다.
이런 문제들의 특징은
해설을 읽어보고
강의를 들어봐도
제대로 납득이 되지 않는다는 거다.
더군다나 그게
남들은 다 쉽게 푼 문제라면?
'썅'
그래서
국어에서 가장 어려운 걸 뽑자면
독서 지문인 경우가 많지만
가장 빡치는 건 문학이다
내가 왜 틀린지
그게 왜 정답인지
명확하게 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도대체 왜??
도대체 왜??
도대체 왜??
문학은
답이 명확하게 떨어지지 않는 걸까??
독서는 선지의 근거가 명확하다.
즉,
선택지의 표현과 지문의 서술이
명백히 대응되어 참/거짓이 명확하다.
그런데 문학은?
③이 적절하려면
유년의 화자가 "순간적 감동"을 느꼈다고 할
<근거>
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지문에는
'감동'의 '감'자도 적혀 있질 않다.
그런데 평가원은 ③를 올바른 해석이라고 한다.
ㅅㅂ?
이상하지 않은가?
국가 공인 시험 중 가장 최대 규모의 시험인 대수능에서
명확한 <근거>도 없이 선지를 적절하다고 하다니
더 큰 문제는
문학은 본래
'다양한 감상과 해석이 가능한'
예술의 영역이라는 점이다.
어떤 해석은 맞다, 어떤 해석은 틀리다고
답변을 내놓는 게 과연 올바른 걸까?
그런데
.
.
.
.
“다양한 해석과 감상이 존중되어야 한다”
이 말은 거꾸로 말해서
어떤 해석도 함부로 ‘틀렸다’고 말할 수 없다
는 뜻이 되기도 한다.
똑같은 문학 작품을 읽고도
누구는 ‘엄청 슬프다’고 말하는 반면
누구는 ‘엄청 슬프진 않았다’고 말한다.
누구는 ‘감동적이다’고 말하는 반면
누구는 ‘그 정돈 아니다’라고 말한다.
그렇다고 이 중 누군가가 틀린 걸까?
아니다.
틀린 게 아니라, 다른 거다.
각자의 해석과 감상을 말했을 뿐이니까
그리고...
그것이 ...
그것이.. ‘문학’이니까
뭐, 뭐, 뭐
뭐라고?
그것이.. ‘문학’이니까
‘문학’은 다양한 해석과 감상이 존중되어야 하니까.
다양한 해석과 감상을 존중
해야한다.
여기에
문학 문제풀이의 비밀이 있다.
다시 아까 문제를 살펴보자.
지문에서 화자는
< 아, >라고 감탄사를 사용해.
유년의 화자는 푸른 하늘을 보고 순간적으로 감동을 느낀 거라 볼 수 있어’
.
.
.
우리는 함부로
위 해석이
틀렸다고 단언할 수 없다.
문학은 다양한 해석을 존중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선지는
적절하다.
당신은 어떤 해석을 했다 하더라도,
이 해석은
다른 거지, 틀린 게 아니니까.
그렇게 해석할 수도 있는 거니까
그리고 그것이...
그것이 ‘문학’이니까
그런데 문학을 못하는 학생들은 이걸 이해하지 못한다.
다양한 해석 중 자기 생각만이 맞다고 주장한다.
“아니 저는 순간적 감동이 안 느껴지는데 어쩌라구욧!!!!!!”
응.. 근데..
애초에 당신 개인의
감상과 해석은 출제자의 관심사가 아니다.
당신의 생각과 관계없이
이 작품을 '이렇게도' 해석할 수 있을까..?
를 묻고 있는 것이다.
가륏???
.
.
.
.
.
말은 쉽지
그럼 모든 선지가 다 맞다는 거잖아
틀린 선지는 어떻게 골라?
그렇다.
웬만하면 모든 해석은 인정된다.
그렇기에 웬만한 해석은 모두 적절하다.
‘웬만하면’
말이다.
다음 문제를 풀어보자.
위 사진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상큼하다.
② 얻어터질 것 같다.
③ 초록색 배경의 색채가 강조되어 있다.
④ 셔츠가 터질 것 같다.
⑤ 아이유 노래 좋다.
답은?
답은 당연히 ⑤
왜?
①②③④는 다 사진에 대한 해석이다.
다시 말해, 그렇게 해석할 ‘껀덕지’가 사진에 있다.
여기서
껀덕지 = 그렇게 해석할만한 여지
를 뜻한다.
즉,
당신이 그렇게 생각하는 거랑 상관없이.
지문에 '껀덕지'가 있는 해석은 인정해줄 수 있다.
예술은
다양한 해석과 감상이 인정되는 영역이니까.
그럼 ⑤는 왜 틀린 선지인가?
⑤ 혼자 사진과 관련 없는 얘기를 하고 있다.
즉, 사진에 <아이유 노래 좋다>고
해석할 껀덕지가 전혀 없다.
이게 바로 내가 수업에서 강조하는
<껀덕지의 존재성> 판단이다.
어떠한 해석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할 때,
나의 개인적인 작품 해석/감상과 비교하는 게 아니라,
지문에 그러한 해석이 가능하게끔 하는
"껀덕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라고 해석할 껀덕지가 지문에 쓰여 있다?
-> 적절하다!
~라고 해석할 껀덕지가 지문에 쓰여 있지 않다?
-> 적절하지 않다!
그럼 이제 우리는 이 선지가
왜 적절한지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아>라는 감탄사가
'순간적 감동'의 껀덕지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고로 적절한 선지가 된다.
-----
그럼 문학 기출 분석의 방향은 확립된다.
애매하게 느껴지는 선지들을 모아놓고,
그 선지들에 대한
껀덕지를 지문(보기)에서 찾아봐라.
그리고 그 껀덕지와 선지의 연결하라.
이를 반복하다 보면,
어느 수준의 해석이 껀덕지로 인해
적절해지고, 부적절해지는지를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이 수능 ‘문학’이니까...!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안녕하세요 국어 강사 조예성입니다.
매주 1~2개씩 이렇게 국어 영역에 도움이 될만한 사소한 팁들을 칼럼으로 올려보려 합니다~!
정규 수업에서 다루는 내용을 짤막하게 정리도 하구요.
좋아요와 팔로우를 눌러두시면 주기적으로 보실 수 있을 겁니다
[ 조예성T 안내 ]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555/l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555/l
0 XDK (+50)
-
50
-
전국민에게싸이버거25개를뿌리도록하겠읍니다!!
-
대한민국 경제 힐팩 섭취 완료
-
친구들아 안녕
-
잇올 6모 2
잇올 6모 신청해서 1시에 결과 나온다는 창까지 봤는데 지금 들어가서 결과 보니까...
-
작년 모평, 교육청, 사설에서 백분위 90정도 나오다가 수능날 70초중으로 떨어져서...
-
수업 5분남았다 1
-
아무리 불수능이어도 1컷 70점대는 가능성 매우 낮음 5
국수가 1컷 70점대인 마지막 수능이 11 가형인데 그때보다 수능이 훨씬 고인물화된...
-
아니 그게 무슨 소리니 튤립튤립아
-
킬러 배제정책 배제
-
속마음을 숨기는 버릇이 있어서 명확하게 전달을 잘 못해요
-
[속보] 윤석열 파면 조기대선 영향으로, 6월모의평가 5/27로 앞당겨져…...
-
예체능 이번 모의고사 19211인데 국어는 항상 고정1등급에 간간히 하루 리트...
-
이 노래 4
질리기전에 어서 신곡을 내도록.
-
미치겠네
-
과외 곧 시작 3
화상 키자마자 바로 정치얘기 히시는거 아니겠죠
-
수학 N제 2
6모전까지 풀 수학 N제 추천해주세요 6모 1후반등급 목표입니다 !
-
문 정권때보다 남녀 갈등은 완화됐던거 같기도... 근데 그때 영향 쎄게 받았던...
-
나오면 컷 얼마정도일꺼같음?
-
뉴진스 2
재판 이길줄알고 응원했는데.. 차라리 어도어에 몇달 수납당하다가 명분더생기고 무슨...
-
ㅈㄱㄴ 어떻게 될 가능성이 높음?
-
애인이랑 법적으로 묶이고싶음
-
두 눈을 의심했음
-
병원인데 걍 들어가있자
-
메탈슬러그 뭐가 제일 명작임?
-
공휴일로 인해
-
1. Lim(x=a)f(x) 함수가극한값을 가질 조건을 구하시오. 2.함수...
-
이민 가면 그만이야 하는데 그딴식으로 나라 맘에 안 들면 회피 ㅇㅈㄹ하면서 이민 가면 잘 살거같음?
-
브이 3
쁘이
-
윤석열 탄핵될 만한데 앞으로 여소야대 형국이면 걍 나라 ㅈ댄다고 보면 됨ㅇㅇ 근데...
-
한완수 기출? 3
1. 한완수 기출문제집인가요? 2. 인강 선생님 한완수 해설 있나요?(꼭 들어야하나요?)
-
그러면 이성이 비이성을 다시 이길날이 올까? 일단 말을 관철시킬려면 많은 조건이...
-
삭제후탈퇴엔딩 ㅋㅋ 지 주인마냥 질서있는 퇴진 하노 ㅋㅋㅋㅋㅋ
-
이런거 나올법한데
-
가끔 어빠이럼 엨ㄱㅋㅋㄱㅌㅋㅋ
-
이재명 한명이 싫으신거에요 아니면 민주당 전체가 싫으신거에요 전자를 얘기하고있는거 같긴한데 맞낭ㅛㅇ
-
윤 드릴테니 찢만 언되면 됩니다~~
-
윤석열 욕한다고 7
이재명 지지자가 아님 아니 시발 독서문제 이따구로 풀면 다틀려요 생각을 좀 합시다
-
러셀 vs 잇올 잇올도 급식 신청 가능한가요?
-
윤석열 계엄한 날에 부모님한테 계엄령 터졌다고 하니까 지랄하지 말고 자라는 소리 들음 2
아마 우리 부모님도 45년만에 계엄령을 다시 보게 될 줄은 몰랐을듯
-
여가부 폐지시킨다느니 단일화니 온갖 지랄 똥꼬쇼를 다 해서 이대남 표 겨우겨우...
-
더프 현장응시 0
3월은 집에서 치고 4월은 학원에서 쳐도 성적표에 지난 성적?? 기재해주는 칸에...
-
대한민국 유일 탄핵대통령 배출학교 타이틀을 내려놓게 되었습니다
-
고려대 멘토링 팀 Hitch-up이 3모 이후 멘토링 해드립니다! 0
안녕하세요, 저희는 전원 고려대학교 재학생으로 구성된 교육봉사 소모임 Hitch-...
-
[속보] 문재인 "헌법으로 민주공화정 지켜내‥모두 국민 덕분" 3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하자, 문재인 전 대통령이 "헌법과 정의의...
-
예상했던 대로 됐네 걍
-
일단 답은 5번
문학의 해석은 펀하고 쿨하고 섹시할수잇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 칼럼 예전에 읽었던 것 같아요. 그때 강사님 칼럼 덕분에 문학에서 선지 판단 기준을 잡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궁금한 점은, 예시로 들어 주신 지문에서
밑줄 친 건 감탄사가 아니라 '청청히'인데 앞에 나온 감탄사를 통해 순간적 감동이라고 판단할 수 있음을 확인 -> '청청히'에서 "색채를 부각해" 줄 수 있음을 확인 이라서 맞는 선지인 것인가요?
만약 감탄사가 없었다면 '순간적 감동'이라고 판단할 만한 여지가 없어지고, 따라서 해당 선지가 틀리게 되는 것인가요?
1. 네 맞습니다 ㅎㅎ. 밑줄 친 부분의 기능은 색채 부각이지요. 밑줄 친 부분의 기능은 반드시 그것이 나타난 전체 맥락과 결부지어야 하구요.
2. '아'라는 감탄사를 지우면, 순간적 감동을 느꼈다고 볼만한 근거가 삭제되어, 해당 해석의 정합성이 떨어지게 되겠지요. 다만 <청청히 푸른던> 이라는 수식어까지도 유년시절의 화자가 하늘을 보고 느낀 감정과 맞물려 있기에, 감동을 느꼈다 볼 여지는 여전히 남아있긴 합니다. 따라서 틀렸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평가원에서는 <아>라는 감탄사에 근거해 <순간적 감동>이라는 해석을 실어두었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감탄사가 없었다면 애초에 이런 선지를 만들지 않았을 거란 생각이죠 ㅎㅎ
확실한 틀림을 찾기
요약goat

선지 분석은 정말 막막했는데 하나의 길을 찾은 거 같군요.. 감사합니다 앞으로 칼럼도 기대할게요!김승리t가 가장 시비털게 많은 선지가 틀린거라고 하셨던게 생각나네요
웃긴데 엄청 유익하네요 ㅋㅋㅋㅋ
ㅎㅎ 감사합니닷
대부분의 문학문제는 이렇게 풀리죠 그냥 감으로 풀어도 이런건 다 풀수있구요
하지만 최근 문학 기출중 오답률이 높은 몇몇 문제들은 정확한 감상과 해석을 요구합니다 “허용가능성” “껀덕지” 같은 얄팍한 판단기준으로는 뚫을수 없는 정확한 한가지 감상을 묻는 문제들은 이런식으로 풀수가 없어요
어떤 문제가 그렇다고 느끼셨을까요? 저는 게시글에 써두었듯 평가원의 모든 적절한 선지는 그 근거(본문에서 말하는 껀덕지)가 있다고 보아서요.
한석웓쌤 뭐 뭐 뭐라고 음성지원이 되네ㅋㅋㄱㅋ
ㅋㅋㅋㅋㅋㅋㅋ 석원쌤의 오래된 팬입니다..
가끔 지엽적 사실 평가랑 헷갈릴때도 있는데 이해 잘 되게 짤 가져오셧네 ㄷ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