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자가 스캠? 7
잘아는 사람 없을까요 ㅇㅇ?
-
원래 서연고 대학생인데 컨셉잡는단 거 사실이죠? 같은 댓글 많이 보이는데 진짜로...
-
성능 ㅅㅌㅊ 조회수도 노뱃일때랑 다른듯
-
야추라도깔게요 10
펑
-
그건 진짜 레전든데
-
최초합 ㄱㄴ?
-
9모 이후 정신을 놓지않는게 가장 중요한듯.. 나는 그럼..근데 나는 항상 정신이 나감..
-
답지 활용법. 3
결론은 해볼 수 잇는 아이디어를 다 써보고 답지를 보는 것. 그리고 답지를 제대로...
-
수능 끝나면 그 많던 고닉들 소리소문없이 사라진다더니 2
아직도 있네요
-
나 ㄹㅇ 지원금 받나 교재 살 수 있남......
-
싸우는거 얘기하는건데 이상한 생각하신거아니죠?
-
배고프다 2
-
기하 vs 미적 0
삼수생이고 수리논술 응시할 예정인데 25수능 때 공통 20,21,22 틀렸고,...
-
내신 bb라는 가정하에 설대식 몇점정도가 최초합권 일까여? 서울대 기계 설대식 점수 수능
그냥 머리속으로만 대충 이런 구조겠거니 하고 파악하는거져
그냥 코드에 해당하는 것 같은 부분만 머리 속으로 챙겨도 괜찮은가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5.png)
근데 보통 쭉 이어져서 머리 터짐뇨아하
그냥 예쁘게 그리다보면 어느샌가 내용은 같고 그림만 다름
그림도 이상하고 내용도 달라요ㅛ
사실 스키마 구조도를 제대로 똑같이 그리는걸 체화 하기 보단 어디 부분을 정보처리를 해야하는지를 집중해야 하는거라 그걸 연습 ㄱㄱ 이건 계속 풀고 강의 들으면 규칙이 있음 과학지문은 함수 그리는 규칙같이
아하 그건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정보를 인지하는 것을 시각화한 것이 스키마인지라 선생님과 그림은 다르더라도 표상하는 것이 같다면 상관없어요
해당 정보처리의 구조를 일반화한게 논증이나 인과관계 도식이니까요
홍희주다
본질이 같으면 괜찮습니다
형태는 달라도 핵심 내용만 들어있으면 좋은 스키마입니다
다만 선생님이 짚어서 그려넣으신 부분을 놓친거면 독해과정에서 살짝 부족했던 것이니 선생님의 스키마를 통해 연습하는거죠
사실 그게 원준쌤 커리의 주목적입니다
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