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해의 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117924
여러분의 독해의 끝.
국어 독해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뭐라고 생각하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대학 와서 느낀 건 1 3
내가 상당히 자기비하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었구나 아무도 나를 병신으로 보지 않는구나...
-
사촌 군대간대서 알아봣는데 0 0
작년 봄부터 공군 떡상했는데 공군 떨한 사람들이 슬슬 육군 기술행정병 몰리는듯...
-
편의점 알바라 저 혼자밖에 없어서 할거 다 하고 수능 공부 가능 근데 손님 받아야함...
-
방학때 원준t 브크랑 김상훈쌤 문학론 들었는데 현역이라 학교 시작하면 익히마랑...
-
오르비 안녕히 주무셨어요 6 0
굿모닝
-
과탐 물지한정이긴 한데 물1지1시절 평가원 젤 못받은 백분위 95 (터진1)...
-
범준T 카나토미 6 0
대치에서 밥먹다말고 광클해서 수1 교재 받았는데 강의는 일주일째 1강 이후로...
-
화2 재능 3 1
화2 하려고 하는데 재능 탄다고 해서 그러는데 어떤 느낌의 재능이 필요한가요?
-
김동욱 수국김 4 0
유대종 현강 듣다가 잘 안 맞아서 김동욱 들으려고 하는데 수국김 필수인가요?? 커리...
-
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고최...
-
투표) 설전정 vs 조선치 5 0
※ 특정 대학이나 학과에 대한 비방 및 폄하의 의도가 없음을 밝힙니다 ※ +...
-
3.1절이구만 1 0
벌써 3월
-
님들 공통은 김범준 스타팅블록 미적은 이미지 세젤쉬 듣고잇는데 어떰? 4 0
미적은 이미지커리탈거같은데 그냥 미적도 새잴쉬 다 듣고 스블 ㄱㄱ? 공통 선택...
-
삼성스토어에 1 0
갤북 많음뇨?
-
자살률 최고 출산률 최저 1 2
초고렙지역 '죽음의 땅' 같아서 간지나지않음?
-
오르비 출석부 채우기 0 0
이것조차 잘 모다네 3일 연속도 모다는 듯.루틴이 잇는 생활이 아ㅜㅈ 어렵다
독해력이요
그렇죠 독해력이 가장 중요하죠. 독해력을 어떻게 키울 수 있다고 보나요?
어렸을 때 독서랑 재능이 가장 중요
재능이 안된다면 기출을 그냥 걸레짝이 될때까지 씹고 맛보는게 답인듯요
어렸을 때 독서라면 후천적 요인이고 재능이라면 선천적 요인인데,
살짝 범주가 넓다고 느껴지네요.
후천적 요인 + 선천적 -> 선천적 요인이 안된다고 기출을 반복하면 된다는 것도 결론 도출 과정이 살짝... 받아드리기 어렵네요 ^^
[제 생각] 선천적 요인, 즉 독서에서 어릴 때 부터 잘 읽는 아이들을 재능이라고 보지 말고, 그 재능을 한 번 뜯어보세요. 재능이라는 기표 속 기의가 무엇인지.
저는 어렸을 때 독서도 후천적 재능이라고 생각해서...
언어는 확실히 어리면 어릴수록 배움의 효용이 가장 크니까요.
선천적 요인이 안된다고 기출을 반복하면 된다<<<이것도 결국 후천적 재능을 늦게나마 키우는 행위라고 생각함요
반응 연결 서술범주 스키마 논리
반응, 서술범주, 논리는 범주가 다양해서 제하고, 연결과 스키마는 저랑 동일하네요. 저는 독해력이 좋으려면, 문장 단위별 어려운 소재를 이해할 수 있는 힘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그 힘은 스키마로부터 나온다고 생각을 하네요 ^^
반면 스키마가 안되는 뇌. 기초 사고 체계 부족
와씨 되게 진지하시네
저는 연결과 추론을 통한 도출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문장 하나하나는 누구나 이해 가능하지만 그걸 읽고 연결해서 추론해내고
결과를 도출해 다음 내용을 이해해 글 전체를 장악하는 능력이 핵심이라고 봐요
거기에 저는 이해를 돕고 정보를 정리하기 위해 글 내용의 표상을 떠올려 이미지화하기도 합니다
너무 진지했나요 ^^
우선 문장 하나하나 이해는 그렇게 쉽지 않아요.
오히려 아이들은 문장에서 이해가 안되는 것들을 문단과 다른 문장을 통해 어렴풋이 이해하는 습관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요.
[실제 독해력 향상 클래스에서 가르치는 문장 입니다.]
"니체는 “철학한다는 것은 일종의 최고 수준의 격세유전(隔世遺傳)이며, … 모든 철학적 사유 행위는 놀랄 정도로 가족 유사성(Familien-Ähnlichkeit)”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표상을 떠올려 이미지하기' 제가 올린 국어는 이해-에 나오는 내용인데, 저도 공감합니다.
표상화 + 명료화
기초만 알면 능지
그 기초가 뭐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저는 능지도 물론 학생들마다 차이가 있다고 보지만,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는 편 입니다. 결국은 스키마적 사고, 연결을 할 수 있는지가 핵심이라고 봅니다.
전 능지야 말로 천차만별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기초라는건 말씀하신대로죠
역시 소통의 장에서 다양한 생각을 가진 학생들과 선생들의 의견을 들을 수 있어서 좋습니다. ^^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