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해의 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1117924
여러분의 독해의 끝.
국어 독해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뭐라고 생각하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중앙대 경영 24학번으로 최저학점반수를 했고 사탐공대를 생각해보고있습니다. 중앙대...
-
올해 중앙대 마저 모으고 내년엔 서울 연세 건국까지 수집 도전해야지 흐흐
-
가능성 있나요 여기라도 붙여두고싶은데……
-
학교 조퇴하고 숙제해감
-
경희 체육이고 추합 많아야 한자리수 후반 도는데 가능하겠죠...?
-
그래프 풀이랑 등가속도 운동 특수 상황들을 달달 외웠는데 정작 이번 16번은 진짜...
-
아 원래 비계 친친까지 들어가있었는데 걔 비계에서 삭제됨 ㅜㅜ
-
뭐 쓰지 흠... 보조사 '요'는 사실 '이오(이-+-오)'에서 왔다. 그니까...
-
TEAM 고대 반수참전 11
고민 해봤는데 이게 맞는거가틈.. 결과로 증명하자
-
LCK) [2025 LCK & LCK CL 정기 소양교육] 현장 스케치 0
유난히 눈에 띄는 멋쟁이 토마토들.. 어딜 내놔도 부끄러운 유니폼..
-
합격기원 0
-
정시론 서울대 띄우는 애들이라 별생각이없던..
-
22111 41121 21221 41121
-
풀어보니까 지문자체는 추상적이고 난해해도 문제 선지 판별이 쉬워서 풀만하던데요......
-
혼자 버려진 채로 서 있는 날 생각해 봤니 혼자 있는 밤이면
-
옯 이모티콘 2
어케 사요? 덬코를 모아서 사는 건가요?
-
진짜 모름....... 보기 원툴로 해석? 글자 그대로 읽는게 쉽지 않네요 자꾸...
-
어떤거를 1순위로 하실건가요? 배우고 싶은거 배우기 또는 자격증 취득 같은거 부터...
-
투데이 4
171130
-
ㅠㅠ 내일 상무급 인사 통역해야할수도 있는데... 이게무ㅏ꼬 ㅠ 직장에서 병주고...
독해력이요
그렇죠 독해력이 가장 중요하죠. 독해력을 어떻게 키울 수 있다고 보나요?
어렸을 때 독서랑 재능이 가장 중요
재능이 안된다면 기출을 그냥 걸레짝이 될때까지 씹고 맛보는게 답인듯요
어렸을 때 독서라면 후천적 요인이고 재능이라면 선천적 요인인데,
살짝 범주가 넓다고 느껴지네요.
후천적 요인 + 선천적 -> 선천적 요인이 안된다고 기출을 반복하면 된다는 것도 결론 도출 과정이 살짝... 받아드리기 어렵네요 ^^
[제 생각] 선천적 요인, 즉 독서에서 어릴 때 부터 잘 읽는 아이들을 재능이라고 보지 말고, 그 재능을 한 번 뜯어보세요. 재능이라는 기표 속 기의가 무엇인지.
저는 어렸을 때 독서도 후천적 재능이라고 생각해서...
언어는 확실히 어리면 어릴수록 배움의 효용이 가장 크니까요.
선천적 요인이 안된다고 기출을 반복하면 된다<<<이것도 결국 후천적 재능을 늦게나마 키우는 행위라고 생각함요
반응 연결 서술범주 스키마 논리
반응, 서술범주, 논리는 범주가 다양해서 제하고, 연결과 스키마는 저랑 동일하네요. 저는 독해력이 좋으려면, 문장 단위별 어려운 소재를 이해할 수 있는 힘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그 힘은 스키마로부터 나온다고 생각을 하네요 ^^
반면 스키마가 안되는 뇌. 기초 사고 체계 부족
와씨 되게 진지하시네
저는 연결과 추론을 통한 도출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문장 하나하나는 누구나 이해 가능하지만 그걸 읽고 연결해서 추론해내고
결과를 도출해 다음 내용을 이해해 글 전체를 장악하는 능력이 핵심이라고 봐요
거기에 저는 이해를 돕고 정보를 정리하기 위해 글 내용의 표상을 떠올려 이미지화하기도 합니다
너무 진지했나요 ^^
우선 문장 하나하나 이해는 그렇게 쉽지 않아요.
오히려 아이들은 문장에서 이해가 안되는 것들을 문단과 다른 문장을 통해 어렴풋이 이해하는 습관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요.
[실제 독해력 향상 클래스에서 가르치는 문장 입니다.]
"니체는 “철학한다는 것은 일종의 최고 수준의 격세유전(隔世遺傳)이며, … 모든 철학적 사유 행위는 놀랄 정도로 가족 유사성(Familien-Ähnlichkeit)”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표상을 떠올려 이미지하기' 제가 올린 국어는 이해-에 나오는 내용인데, 저도 공감합니다.
표상화 + 명료화
기초만 알면 능지
그 기초가 뭐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저는 능지도 물론 학생들마다 차이가 있다고 보지만,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는 편 입니다. 결국은 스키마적 사고, 연결을 할 수 있는지가 핵심이라고 봅니다.
전 능지야 말로 천차만별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기초라는건 말씀하신대로죠
역시 소통의 장에서 다양한 생각을 가진 학생들과 선생들의 의견을 들을 수 있어서 좋습니다. ^^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