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난 어원 이야기: "언니=형님"의 가능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866534
'언니'라는 단어는 사실 19세기 말에야 문증되기 시작하는, 친족 어휘 중에서는 비교적 따끈따끈한 어휘이다. 이 갑자기 튀어나온 어휘의 어원을 다루는 기존 설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고유어 형태소의 결합설. 母을 뜻하는 어근 '*엇('어ᅀᅵ'에 보이는 그 어근)에 모종의 접미사 '-니'가 결합해 '언니'가 되었다는 주장. 그렇지만 만약 그랬다면 어째서 중세국어나 근대국어 문헌에서는 보이지 않는지 설명하기 어렵다. 어근 '*엇(母)'은 근대국어에는 쓰이지 않았으므로 만약 '언니'가 파생되었다면 고대 아무리 늦어도 중세국어에선 '언니'의 선대형이 형성되었어야 한다.
- 일본어 ‘ani(あに)’ 유래설. 형태가 유사한 다른 고유어가 없다는 점에서 다른 언어에서 차용됐다는 주장. 그렇지만 19세기에 차용되었다기에는 하필 기초어휘 중의 기초어휘인 친족어휘가 차용됐다는 점이 문제이다. 신문물의 명칭도 아니고 '동성의 손위 형제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이 차용되기는 어렵다.
그래서 다카요시(2020)에서는 '언니'는 사실 한국어 내적 변화에 의해 형성됐다고 보고 그 변화를 육아어에서 찾았다. 육아어란 성인이 유아를 대상으로 말을 할 때 유아가 발음하기 쉽도록 변형된 단어를 얘기한다.
우선 '어니'가 먼저 등장하긴 하지만 '언니'보다 고작 30년 일찍 문증되기 때문에 문헌만으로 무엇이 선대형이라고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그렇지만 지리적으로 ‘어니’의 사용 지역이 서울에서 떨어진 해안 지역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어니'가 고형일 가능성이 있다. 또 유아어에선 단비음보다 장비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엄마', '맘마', '맴매' 등이 그러하다. 이미 육아어가 된 후의 변화라고 본다면 '언니>어니'보다 '어니>언니'가 자연스럽다. 그렇지만 '형님'에서 바로 '언니'가 나왔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언니'의 기원을
- 형님>어니>언니
- 형님>언니
이렇게 두 가지로 본다. 다카요시는 육아어 연구 내용을 인용하면서 '형님>언니/어니'라는 과정은 한국어 음운사에서는 드물지만 육아어의 특징에는 부합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 /hj/ 탈락: 충청 방언에서 ‘형아’가 ‘엉아’로 변한 사례가 존재한다. 유아가 /h/나 /j/ 같은 음소를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형님'의 제1 음절의 초성이 탈락하였을 개연성은 충분하다.
- /ŋ/ 탈락 및 ‘ŋ > n’ 변화: ‘형님’의 중간 자음 /ŋ/이 사라지거나 /n/으로 대체된 것은 유아 언어에서 조음 위치 동화와 자음 탈락 경향과 일치한다. 자음 연쇄 /ŋn/에 포함되어 있는 두 자음은 서로 조음 위치가 다른데 18개월 이후 유아 언어에서는 조음 위치가 다른 자음 연쇄에서 한 자음을 탈락시킨다고 한다. 그렇다면 '형님>엉님>어님'이라는 변화를 상정할 수 있다. 또, 유아어에서는 /ŋ/ 이 치경음 앞에서 [n]으로 발음되기도 하는데 ‘깡총깡총 → [kʼɑnʨʰoŋkʼɑnʨʰ oŋ]’이 있음. /ŋn/을 기피하기 위해 /ŋn/이 /nn/이 됐을 수도 있다.
- /m/ 탈락: ‘-님’이 ‘-니’로 변화한 것은 유아가 /m/ 같은 자음을 발음하기 어렵다는 육아어의 성격을 반영한다. ‘어마니, 아바니, 할아바니, 할마니, 아주바니, 아주마니, 조부니, 누니’와 같은 친족어의 ‘-니’는 사실 '-님'에서 왔다. ‘-니’형에는 꼭 선행하는 시기에 대응하는 ‘-님’형이 존재한다는 점과 ‘-니’형과 ‘-님’형 사이에는 의미적인 연결이 존재한다는 게 그 근거로, ‘형님>언니/어니’에서 상정되는 ‘-님>-니’의 변화를 ‘어마님 > 어마니’ 등의 변화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임금님’을 나타내는 ‘임금니’, ‘선생님’을 나타내는 ‘선생니’라는 육아어가 없는 것처럼, ‘-님 > -니’ 변화는 친족어에 한정된다. 이는 친족어가 유아 생활에 매우 중요하고, 아직 발음에 대한 제약이 많은 시기부터 사용해야 하는 어휘기 때문이다.
이 '-님'이 다소 이상하게 보일지도 모르지만 다카요시는 ‘형님’의 ‘-님’이 격식과 존경의 의미뿐 아니라 친근함을 나타낼 수 있다고 봤다. ‘해님, 달님’과 같은 예에서 보이듯이, 유아와의 소통에서 긍정적인 정서를 나타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언니'는 현재 여성 사이에서만 쓰이는 말로 여겨지지만 원래는 남성 사이에도 쓰이던 말이었다. 한영자전(1897)에서 '어니'를 동성이기만 하면 쓴다고 뜻풀이하였다.
그니까 19세기 말 문헌에서 ‘언니’와 ‘형님’은 연상의 동성 동기를 나타내는 유의어였다는 거다. 당시 ‘언니’는 남녀 구분 없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현대의 ‘언니’와는 다른 '언니/어니'가 사실은 ‘형님’에서 출발해 어린아이에게 친숙한 육아어로 변형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나 더 중요한 점은 경상도 방언에서는 ‘형님’과 ‘언니’의 성조가 일치한다는 사실이다. 韓國精神文化硏究院(1989: 141, 1993: 130)에 따르면 경상도 방언에서 ‘형님’도 ‘언니’도 성조가 [HM/高中]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어 기원설보다 '형님'의 변화에서 '언니'가 형성되었다는 설이 훨씬 개연성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참고 문헌
다카요시 (2020), "‘언니’ 어원고(語源攷)", 국어학 93, 국어학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요새 재릅이나 천박하고 수위 높은거 앵간하면 제재 안 해서 걍 그쪽으로 생각회로가 돌도록 함
-
등록해서 한 달 동안 재밌게 다녔지만 공부가 제 적성에 전혀 맞지 않고, 계속...
-
내 자식은 2
생기긴할까
-
작년 브릿지 그림 그대로 복붙해뒀네
-
1학년 1.96 2학년 1.64인데 이번에 3모 11142나왔습니다 3학년때 그래도...
-
ㅈㄱㄴ
-
본인 생윤사문러인데 진짜 과탐러들은 시간 내에 그 수많은 어려운 계산문제들을 어떻게...
-
노력파로 사는건 힘드니까
-
어제오늘 모고푸는데 자꾸 2점 3점 틀려서 석나가네...
-
대학들 많이 복귀하니까 다시 3000으로 가는 건가요? 파면빔 맞고 난리 나니까...
-
국어 3
예술 경제 기술 쉬운 문학, 언매 수학 쉽게, 확통 어렵게 영어 1등급 비율 10%...
-
자꾸 같잖은 배경지식으로 문제 풀어서 고3때보다 오히려 더틀림
-
과외 시간이 오후 3시라 진짜 애매함 만약 과외 시간 옮길 수 있다면 일요일에 몇...
-
수능 기술지문에 나오는 종목 투자했더니 +15인가 찍었다는데
-
확통 질문 4
답이 206으로 6차이나는데 어디서 잘못한건지 도무지 모르겠어요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머릿속을...
-
내가 아직 수능을 안 봐봐서 그런가
-
도와주세요 2
안녕하세요 공부 별로 안해본 고2 남학생입니다. 최근 주변 친구들 보니 저도 공부를...
-
걍 따옴표로 하지. 낫표 쓰기 ㅈㄴ 귀찮음
-
반수반으로 6월에 독학기숙학원 들어갈건데 성적표 필수로 제출이래서 작년 6모...
-
국힘은 이길 생각있으면 안철수출마시키셈.. 골수 우파층은 기껏해야 10~15%고...
-
잠이 안 와 5
-
연애썰 또 풀기 12
-
전 항상 준비가 돼 있음
-
초등학생들한테 28,30 풀라고 주는거?? 진짜 풀줄 아는 애들 있나
-
구조 깔끔, 지문 난이도 평이, 짜치는 선지X, 적당히 추론능력 보는 문제 이 와중에 변별까지
-
술게임이 40%를 차지한다던데 문제는 제가 술을 못함
-
브릿지 3회 26분다맞
-
기분 ㅈㄴ 좋다
-
저 정도 분량의 글이 오르비 한계 분량의 반의 반도 안 됨
-
작화의 색감이 너무 마음에 들었고 표현들이 정말 몽글몽글하다. 피아노 소리에 감정이...
-
집에 왜 모기가 있지 하 3방 물림
-
다 같은사진으로 돌렸는데 일관되지 않음
-
맞팔할사람 10
하품물범이랃
-
https://orbi.kr/00072740989/ 자신이 언매러이고 중세국어를...
-
음중 ‘사랑해’ 해리포터 우기
-
외모 = 수능성적 14
수시에도 최저가 있고 와모가 좋으면 정시로 글 수 잏음
-
지금 수1수2 개념원리로 복습 후 미적 쎈발점 하는중이에요 수1 수2는 작년에...
-
티비 시트콤 보는 거 같았음 캐릭터간 유기성이나 이런거 ㄴ무 잘짜여있고 ㅋㅋㅋ
-
지브리는 신이다 1
한남콘도 훈남으로
-
집착하는 여자만 걸러라
-
인생좆됐다진짜ㅋㅋㅋ
-
낭만을 찾아 떠나고 싶어 5등급이 입시를 해봤자 무슨 의미가 있겠어
-
중세국어를 좋아하신다면 육진 방언 글이 재밌게 읽힐 겁니다
-
이전 글 *컴퓨터로 보는 걸 권장합니다. (만약 글자가 깨진다면 아이폰이 옛한글을...
-
솔직히 이제 중복조합 경로(수형도)는 필수급 아닌가 0
제한사항 늘어날수록 실수 줄이려면 필수인거 같은데
-
엔제 추천 ㅂㅌ 2
지금 나온 / 곧 나올 엔제 ㅊㅊ 부탁해요 2컷정도 나옴요…
어 이거 재업인가요 비슷한 글을 봤던 기억이
네 재업입니다. 그때 생략한 내용이 많아서 좀 더 자세히 썼습니다
일본어기원설은 국립국어원이 좋아할듯한 학설이군..
국립국어원은 대부분 인정 안할걸요
아 예외적으로 기억나는건 닭도리탕 같은건 있지만요
어원고의 '고' 한자 저거 맞아요??
네 생각할 고 攷 맞습니다
보통 考 쓰지 않나... 신기하네요
오 생각해 보니 그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