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거 완전 틀린말은 아닌거같은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714063
국어 3에서 벽느끼다가 수능날 백분위 99까지 올린데에는 후반기에 1일 1실모 했던 영향이 꽤 컸던 사람이라 완전히 부정하기는 힘듬
기출 공부가 분명 효용이 크고 특히 문학의 경우에는 모든 문제를 풀때 기출을 기반으로 사고해야 하는건 맞음, 근데 무조건 기출 회독만이 올바르다는 주장은 재능을 가진 사람의 책임없는 말이 될수 있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국,수 1등급 언저리 + 과탐 높2 ~1등급 언저리의 두루두루 애매한 인원들이 최대...
-
모든 재앙의 시작이아니었을까 그렇게 생각해요
-
국숭세단라인까지 봤을때… 사탐은 공학계열로넣으면 많이 불리해지나요
-
꿀더빨래 ㅠ.ㅠ
-
이런식으로 문자왔는데 걍 인강 듣다가 합류 or 현장 라이브 중 뭐가 나음. 참고로...
-
실제 시험지를 내는 집단이 우리에게 남긴 유일한 '이렇게 우리는 평가하겠다'는...
-
ㅇㅂㄱ 5
-
예비고3인데요 수능때 생윤사문 하려고 했다가 사문 도표 죽어도 못하겠어서 생윤한지로...
-
엘베에서 1층 눌러났는데 취소하는거 그래서 다시 눌렀는데 우리지하 몇층이지? 이러고...
-
최근 3개년 서울대 자연계 통계 6칸 이상: 90% 이상. 내신에서 cc 받지 않는...
실모하고 작년보다 더떨어진 사람도 있어서 케바케인듯
기출을 제대로 안한 상태에서 무작정 실모만 풀면 그렇게 될수 있음
말하고 싶은 요지는 공부는 기출로 하는게 맞는데 실모풀면서 일정 퀄리티 이상의 다양한 글 읽어보고 문제도 풀어보는 과정을 무시할이유가 없다는거임
어차피 우리가 수능날에 볼 지문과 문제는 지금까지 본적이 없는 새로운 것들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