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671668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루고루 틀리고 시간도 부족함… 우짬?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 제발 살려줘 최저...
-
1. 덩치 좀 있던 친구 초4때 같은반이었는데 미적분 했던 것을 기억함. 중학교때...
-
보통 6모 전까지 사문은 개념강의 +도표강의+마더텅 생윤은...
-
공군 준비 1
-
코리아리서치라는데
-
문제는 2분이면 다 품정답률은 20% 정도 됨
-
지구 개념 1
기억 안나는거 복습하려는데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
논리실증주의자는 예측이 맞을 경우에, 포퍼는 예측이 틀리지 않는 한, 1
논리싫증주의자는 관심이 없다
-
나 이때 6살이었는데 ㅇㅅㅇ
-
극우 논란이라도 있나요 되게 싫어하는 분들이 많군뇨
-
64점 10분대에 다 풂 진짜 일 내나??
-
뭐하는거니
-
오공완 1
퇴근
-
다들 최고집중시간 대충 몇까지 해봄? 진짜 딴짓 아예 안 하고 순빡집중 시간...
-
출시 됐을 때 부터 고민하다가 , (개요식 아닌 줄글, 이야기 형식이 잘 맞을지...
-
원래 하루 이틀씩 걸렸는데 질문 하자마자 바로오네
-
공부ㅇㅈ 1
-
그치만 이제 에스파 원탑인가
-
사문도표기출풀다가 틀렸길래 어?하고봤는데 앞에 있는 문제 인구 배수 쓰고있었음ㅋㅋㅋ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958128&memberNo=4168959 이런 내용이 있긴 한데 고등학교 물리 수준에서 얼마나 구체적으로 탐구할 수 있을지는 제가 물리를 안 해봐서 모르겠어요ㅠ
부담스러우시면 그냥 이과적인 탐구를 하시는 것도 ㄱㅊ을 것 같습니다 내신 물리 선택은 이과적 역량을 드러내기 아주 좋은 요소니까요
종합 다 떨어진 사람이라 신뢰성은 낮을 수 있지만 감히 말씀드리자면
저도 차라리 정통적으로 이과적인 탐구가 나을 것 같긴 합니다
고등학교 물리 내용에서는 유체역학이 나오지 않는지라
저 내용을 하게 되면 유체역학의 기초적인 부분부터 공부했음이 담겨야 할 것 같은데 그걸 선생님이 얼마나 유기적으로 써주실 지가 미지수라..
찾아보니 브라운 운동이나 운동 에너지 보존 관해서 경제물리학에 주제가 있나 봅니다.
전자는 열역학에 관련된 얘기라 너무 어렵지 않게만 쓰시면 괜찮을 것 같긴 하네요
경제 물리학이라고 하는 분야가 따로 있나봐요
윗 댓처럼 브라운 운동 괜찮은 주제임 랑주뱅 방정식 쪽으로 찾아보시길
아니면 몬테카를로 도 물리학에서 쓸 수 있긴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