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과 대학원생(진) 무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0106291
3.8X/4.3
이론물리학 연구실 진학예정
심심합니다.
학업적인 것, 대학생활 관련된 것도 답해드릴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SSG가 2위라 1
호오
-
옯태식이 돌아왔구나!!
-
알면 눈치껏 행동해
-
오르비 하지말라는 뜻인거 같네요 잘자요 모두
-
오르비어케그만함 4
탈릅빼고
-
힌트:공부랑 조금이라도 관련 있음
-
감사일기 비슷한 거 쓸려고요. EX)안 졸기 같은거
-
흠
-
인,현강이랑 업로드 차별은 왜 하는지 모르겠네 영상 편집,검토 땜에 며칠 차이 나는...
-
아이고
-
클로할사람ㅇ 8
잇음?
-
오르비엔 이과충들이 많아서 좀 그렇네요;따듯한 감성 문과들과 지내고 싶어요
-
이번엔 진짜 적어드림 55
짧고 간결하게
-
벚꽃 ? 2
다음주에 만개 할 듯
-
[얼버잠] 3
-
하니와 민지 0
-
사평우많관부
-
뉴르비를 위한 오르비N GUIDE (feat. 마지막 뻘글) 51
오르비. 처음 들어왔는데 어떤 커뮤인지 궁금하다고?? 오르비는 현생이랑 별반...
-
저는 3가지 꼽자면 1. 군대 빼기 위해 메디컬 목표 2. 남들의 인정으로 자존감...
-
적느라 힘들었다 3
휴
-
개뻥치네ㅋ 2
구라쟁이들
-
진격거나 봐야지
-
ㅠ
-
옯바 5
-
라이브시치 얘 때문임
-
알고있는 범위 3
흠
-
인지도메타참전 2
아무리 생각해도 전생보단 모를 듯 한데..
-
짧게 이미지 적어드려요 31
컴온
-
?
-
쟘네요
-
옛날엔 금테 이상은 진짜 오래 쉬다 오지 않는 이상 모르는 사람이 드물었는데 이젠...
-
이미지 ㄱㄱ 15
써주셈 아는 분들은 맞이미지
-
무서워지노
-
같은 똥을 싼다는거잖아 ㅠㅠㅠㅠ
-
모두 고마워요 4
이 귀염둥이들
-
인지도평가 5
ㄱㄱ
-
내신휴강때 구매해서 들을려는데 3원리 수업에서 제일 좋았던 회차 3개 정도만...
-
일단 저부터
-
1명만 차단하면 글 리젠이 확 줄어든디ㅏ
-
메타 탑승 8
친하다 기준은 그냥 본인이 알거라고 생각함 많이 말해봤으면 친한거
-
빡세도 할만하겟죠? 편의점알바여
-
이제쯤이면 3
내 인증 다 까먹었겠지
-
야간알바 없어서 문닫으시나보네
-
맨날 남의 이미지만 적어줬는데 내꺼도 적어줘요
-
3모 쳤는데 독서론 화작 문학 풀고 시간 끝났습니다. 문학은 1개 화작 3개...
-
전여친나카톡차단햤나보네 11
송금표시없이기본프로필이네
-
인지도 메타 0
ㄱㄱ혓
-
떡밥뭔데 2
?
-
내 마음이 들키면 안대!!!
물리 좋아하게된 이유
원래 화학을 하고싶었는데 복잡한 구조식과 반응에서의 찝찝함을 못이기고 멋져보이는 물리를 선택했습니다
왜 수학은 고려대상에 없나요 ㅜㅜ
수학 전공과목 들어봤는데 너무 어려워서 포기했어요
그러쿤요 감사합니다
자교 가시나요?
넵
샤워주기.
2 times/ day
?? 물리학이 적성이 아니신것같은데
물리 한다고 다 그러진 않아요 ㅠㅠㅠ
지구과학은 과학이 맞나요
과학은 귀납적 학문의 성격과 수치적 분석의 영역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는데, 아닐이유가 없죠
그럼 혹시 이번 네이버 지최대 독자상 '과학고 사변' 보실 생각 없으십니까
방금 보고왔는데 옛날생각이 많이 나네요
과학고 출신이신가용?
아뇨 학부 1학년이 떠올라서요
이론 물리학에서 뭐하고 싶으신가요?
거인의 어께 위에 서서 엡실론 만큼의 성취를 거두고 싶네요. 운이 좋다면 델타 만큼의 성취를 거두어 대가가 될 수 있겠네요. 분야는 밝히지 않겠습니다.
입시물리 성적이 그저 그러면, 대학 이론물리학에서도 가망이 없는건가요? 물리학과 가서 입자물리학 공부하고 싶은데
가서 하기나름이지만 시작지점이 다른건 팩트입니다. 컨택과정에서도 원치않은 분야로 갈 수 있기에 넓게 분야를 생각하시는게 맞을 것 같아요.
대학 이름 보고 물리과 입학한 뒤에 공대 복전은 난이도가 높을까요?
난이도는 어떤 전공이나 복전하기는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주위의 친구들 케이스에서 물리 주전공 공대 복전을 하다가 공대 복전 포기해버리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물리에 흥미가 있으시다면 학부 물리학과로 보내는것도 나쁜 선택은 아닙니다.
기업으로 취업한다면 반도체 디스플레이 광학분야로 진출을 많이 한다는데 맞는 말인가요?
학부는 아무대나 다 갑니다. 일반학과들 가는 것처럼요. 박사급은 자기가 연구한 분야로 가는데 포닥을 갈건지, 기업체로 취직할 건지는 반반정도 되는 것 같아요.
물리학과는 어떤 학생이 가면 교수님들이 좋아하나요? 곧 면접인데 저를 어떻게 어필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인 견해로는 자기가 아는것과 모르는것의 경계를 명확히 알고 (메타인지) 아는 것을 최대한 활용해서 이미 알려져있지만 내가 인지하지 못한 어떤 개념을 생각해내는 학생이 학부공부나 연구에 적합해보입니다.
많은 경우에 어떤 개념을 읽고 이해를 하는 도중에 뭔가 껄끄러움을 느끼고 이 부분을 보완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탠데 놀랍게도 더 advanced한 물리학이나 책의 뒷부분에서 그 부분을 해결해줄겁니다.
대단한 것이 아니더라도 고등학교에서 이러한 경험을 해보았다면 면접에서 동기로 쓸 수 있겠네요.
오 어쩌다 글 봤는데... 이론물리학은 어떤 느낌으로 전개되는 걸까요? 저도 대학원 진학 예정인데 제가 하려는 건 수리통계학에 가까워서 결국에 프로그램이나 시뮬레이션 돌려야하는 거라서 이론 분야는 항상 궁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