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법 헌법소원심판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900002
이 두 문제에서 갑이 청구한 헌법소원심판이 다르던데, 재판 진행 중이면 권리구제형 헌소랑 위헌심 둘 다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어요.
하나는 ㅇㅇ법 시행령이라 법률이 아니라서 권리구제형이라고 하던데, 항소심 계속 중이라는 것처럼 재판이 전제된 상황이면 권리구제형이랑 위헌심 어떻게 구별해야하나요?
하나는 권리구제형이고 하나는 위헌심인 이유를 다른 근거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도 대학 좀 가자
-
설마 25 불국어...?
-
비데 쾌변 모드로 관장해야겠다
-
어부사시사 관동별곡 총석곡 낙지가
-
수능 다들 잘봅시다 수능끝나고봐용
-
제발 소원이없겠어요
-
뭔가 기술 지문에 스테이플러의 원리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함
-
예예
-
영어 짝수 1
짝수 찍특쓸까요, 안나온 한번호로 밀까요
-
사문황들 제발 4
알려주세여 문화동화랑 문화 융합 모두 정체성 유지해요??????
-
https://orbi.kr/00069900641 많은 참여 감사드립니다 11시엔...
-
어려워 보이네..
-
하 걍 갈까요….
-
등급궁예ㄱㄱ
-
난 집중이 안됨;;;;
-
제발
-
수능 수학 꿀팁 3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선택과목 시험지를 연습장처럼 쓰면 됨 복잡한 함수 추론이나...
-
연계예측 1
인공지능과 지도학습 사고실험 귀납법과 연역법 IMF 옥린몽 거울 오늘 깔짝 본 것만...
-
ㅈㄱㄴ
-
낙인만 인정안하는거임?
1번은 위법심 위심소 가능(제청신청 기각 여부가 안나와있음)
2번은 권리구제
5번
'OO법 조항의 위헌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된다고 판단' 여기서 위헌 심사형 헌법 소원의 단서를 잡을 수 있고,
기본권을 침해한 공권력의 작용에 대한 단서를 찾을 수 없어서 권리 구제형 헌법 소원보다는 위헌 심사형 헌법 소원으로 보는 게 맞습니다.
9번
일단 법률만 위헌 법률 심판이나 위헌 심사형 헌법 소원의 판단 대상이 될 수 있는데 여기선 대통령령이 대상이라 그냥 권리 구제형 헌법 소원으로 확정되기도 하고, 이 명령이 재판의 전제가 된 상황도 아닙니다.
그리고 법률의 위헌성을 따지기 보다는 공권력의 작용이 기본권을 침해했다는 내용이 있어서 권리 구제형 헌법 소원의 요건을 갖추고 있어요
6평 선지를 보면 권리 구제형 헌법 소원은 '기본권을 침해한 공권력의 작용'에 대해서만 판단해요 그래서 기본권 침해에 대한 내용이 없으면 권구헌소가 될 수 없습니다
이것도 하나의 기준으로 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