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원t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83793
후기같은거 계속 찾아보니까 ‘문제를 읽으면서 미리 길을 설정해두고 효율성있게 문제를 푼다’라는 느낌이신 것 같은데 맞나요?(머리 좋은 애들이 푸는 느낌?)
혹시 아니라면 어떤 식으로 강의하시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표본급상승 이악물고 무시하며 22수능이 지금 나와도 1컷이 45아래일 거네 뭐네...
-
몇시쯤에 시작해서 몇 지문 본다 이런게 있나요 예열 처음이라
-
올해 육구모랑 작수 국어 다 풀긴 했었는데 또 다 풀어봐야할까요
-
1. 평탄 우주는 팽창 속도가 감소한다 2. 현재 우주는 평탄하고 가속팽창 중이다...
-
토탈리콜 2
원솔멀텍 파이널 회독 끝났는데 토탈리콜 하루컷 가능할까요? 걍 유기가 답??
-
ㅈㄱㄴ
-
수능장들어가서문제풀기시작하면긴장한거싹사라짐 그전에대신에긴장해서공부를못함
-
우리학교도 이상했음 뚜겅이 안끼워져서 들고 마킹하고 심도 눌렀는데 안들어가고 부러짐ㅋㅋㅋ
-
한 3박 4일 100인가? 애들 수능 끝나면 같이 갈려는데
-
대학원갈때도 5
학벌 중요함?
-
연계였다.
-
어근인지 접사인지 헷갈리는 단어들이 많은거 같은데 어떻게 구별하나요?
-
찍맞 제외 6,9모 모두 1컷이고 실모는 약간 기복이 있어서 72~92까지...
문제 독해를 중요시하심
잘 푸는 애들이 그렇게들 풀더라구요...잠깐 고민하다가 막힘없이 슥슥
문제에 적혀진 모든 조건들을 해석해서 한번에 바라보고 종합해서 답인 상황을 찾는 연습을 많이 하게 함
아무 이유없이 그냥 맞는말만 적어가면서 방향성 없이 그때그때 보이는대로 풀어나가는걸 지양하심
그 외에 단원마다 강기원만의 풀이&해석은 강의를 들어봐야 와닿으실거임
킬러 풀 때 가끔 이러이러하게 하면 이런게 나오고 이렇게 해서 답이 나오겠지?하고 계산해서 답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걸 말하시는 걸까요?
그런 과정들을 익힌다기보다는 좀 더 거시적인 문제 발문 해석법을 익히고 이를 문풀에 일관되게 적용하면서 여러 조건들을 동시에 바라보며 푸는걸 연습함
가끔 해설지에 써있는 당연한 말들만 적어가면서 답을 내는 풀이를 싫어?하심
음 저는 오히려 약간
항상 효율적이진 않아도 일관된 방법으로 일관되게 해석해서 푼다 는 느낌이 강했음
추상적이라 잘 안와닿네요...너무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