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매황님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50657
실모 해설에서
얹고 -> 언ㄷ고 (음절의 끝소리 규칙) -> 언꼬 (자음군 단순화 + 경음화)
이거라 ‘얹고’가 [언꼬]로 발음되는 게 <음절의 끝소리 ㄱ,ㄷ,ㅂ 뒤에 오는 ㄱ,ㄷ,ㅂ,ㅅ,ㅈ이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에 해당한다는 데 이거 맞나요?? 저는 <어간 끝소리 ㄴ,ㅁ 뒤에 오는 어미의 첫소리 ㄱ,ㄷ,ㅅ,ㅈ이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알고 있어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ㅇㅇ
-
근데 실모 확통은 드럽게 안풀림 ㅜㅜ 난이도 차이 머임 ㄹㅇ
-
뉴비에요! 3
반갑습니다 모두 수이팅!
-
84, 88, 92 / 80, 92 S2 1회 ㄹㅈㄷ로 어렵네요…;;;ㅜㅜ
-
최소 어디 이상 가야됨?
-
수1 수2 뉴런 끝냈고 김기현으로 갈아타려는데 개념은 킥오프부터 들으면 되냐?
-
한비자같은거 15분 박으면 시간분배를 어떻게 해야하지...
-
아흐레 남았구나 2
일의 자리네
-
기겁나 빨려서 저녁먹고는 집중전혀 안되던데 이거 저만그러나요...n제 풀어야하는데...
-
한국사 답 선착 4
-
Adh가 분비되는곳이 10
뇌하수체 후엽이고 생성 (합성)되는곳이 시상하부죠?
-
확통 다맞고십다 2
제발재잘제발 기도메타
-
응애... 6
-
학교에서봄 언미영한화1지2 98 89 95 45 45 50 지2 첫 50이라...
한 단어 내부라서 얹 받침 발음 실현 전에 그 안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음운변동 일어난 후에 나머지 각각 일어나야하는걸로 아는데 정확하진 않네요 ㅜㅜ 와드
어떤 실모인가요?
상상 파이널1 2차입니다!!
표준발음법 해설에서도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먼저 적용합니다
"그러나 이론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ㄴ’ 뒤에서의 경음화와 ‘ㄵ’ 뒤에서의 경음화는 차이가 있다. ‘ㄵ’ 뒤의 경음화는 실제로는 ‘ㄷ’에 의한 경음화이다. 겹받침의 일부인 ‘ㅈ’이 탈락하기 전 대표음 ‘ㄷ’으로 바뀐 후 그 뒤에서 경음화가 일어난다. 그러므로 ‘ㄵ’ 뒤에서의 경음화는 제23항에서 규정하는 ‘ㄱ, ㄷ, ㅂ’ 뒤의 경음화와 동일한 성격을 지닌다. 다만 ‘ㄵ’이 표면적으로는 음절 종성에서 [ㄴ]으로 발음된다는 측면을 중시하여 이 조항에서는 ‘ㄵ’ 뒤의 경음화와 ‘ㄴ’ 뒤의 경음화를 하나로 묶어 놓았다"
표준발음법 제24 항
'앉-'의 어간의 '신-', '안-(hug)'처럼 기저형이 [안-]으로 인식되어야 하는데 모음어미 때문에 '앉-'으로 인식됩니다
헉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