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 미적판단과 경향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705838

생윤 황님들 부탁드립니다ㅠㅠ
학교에서 칸트가 미적 판단을 내릴때 경향성을 배제한다고 배웠는데 감성적 판단에 기초해서 미적판단을 내리는 것 아닌가요?
이렇게 되면 (감성에 기초->경향성에 기초)가 될 수 있지 않나요?
이에 관련해서 현돌님의 블로그를 찾아봤는데도 이해가 안 가서요ㅠㅠ (이해관심 무관=경향성 배제)가 이해가 안 돼요ㅠ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1덮 설경됨? 4
언 미 영 정법 사문 98 84 3 47 47
-
언미물생 96 93 48 47 실모벅벅한보람이있누
-
언매에서만 10점 나가리인데.. ㅁㅊ
-
1회 50 2,3,4회 44 5회 47인데 쉽다는 분들도 많길래 수능대비 난이도가...
-
인생 나락가는중이네 15
지금까지 성적 나오는거 보면 수능때 변수가 있지않는한 어쩔 수 없이 삼수할거 같은데...
-
2? 겠지.. 6번 29번 풀엇는대 틀렷네 미친것 ㅠㅠㅠㅠㅠ
-
이왜진
-
언매 2
어매
-
11덮 사문 4
아니 이게 맞나 뭐지 9모 백분위 98인데 ㄹㅇ 존나털림
-
국어: 독서는 무난무난 문학 조금 까다로웠음 화작 좀 어렵다고 느꼈음… 독서 4개...
-
13번 대체 뭐임?
-
36113 여자 문과고 수학을 못해서 반영비율 적거나 3개만 보는 곳으로 갈려고요...
-
보통 몇분내로 풀어야 적당한가요 문제는10문제입니다
-
다들 문학먼저 푸시나요? 독서먼저 푸시나요? 요즘은 문학이 어려운거같은데 독서먼저 푸는게 나을까요
-
실모 풀때는 안풀리거나 막히는 문제들을 시험 끝나고 다시 보면 너무 쉽게 풀리는...
-
11덮 영어 11
어땠나요
칸트는 미적분도 잘하나보군요
예..?ㅋㅋㅋㅋㅋㅋ
1.
칸트는 미적 판단이 쾌・불쾌의 감정(feeling of pleasure and displeasure)과 연관된다고 봅니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감각적 쾌감이나 주관적 선호와는 다릅니다.
2.
경향성(Neigung)의 배제란 개인의 주관적 선호나 욕구, 이해관계를 배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감성적 판단은 대상이 우리의 인식 능력에 주는 형식적 만족감에 관한 것입니다.
3.
감성은 인식 능력의 한 형식으로, 대상을 수용하는 방식입니다.
경향성은 개인의 욕구나 선호와 관련된 것입니다.

헉 완전 이해됐어요..감사합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