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영어강사 구성연입니다.^^(예열지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45601
TheCAT’sEye(예열지문).pdf
TheCAT’sEye(예열지문)(손글씨).pdf
안녕하세요, 영어 강사 구성연입니다. 올해도 작년과 마찬가지로 시험장에 들어갈 때 가져가면 좋을 예열지문을 가지고 왔습니다. 시험장에 들어가셔서 영어 시험 볼 때 이것만은 꼭 지켜주세요!
1. 글의 흐름을 반드시 잡는다.
2. 지시사와 연결사의 흐름을 꼭 잡도록 한다.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37번 순서 문제(정답률 35%)
Clearly, schematic knowledge helps you ― guiding your understanding and enabling you to reconstruct things you cannot remember.
(A) Likewise, if there are things you can’t recall, your schemata will fill in the gaps with knowledge about what’s typical in that situation. As a result, a reliance on schemata will inevitably make the world seem more “normal” than it really is and will make the past seem more “regular” than it actually was.
(B) Any reliance on schematic knowledge, therefore, will be shaped by this information about what’s “normal.” Thus, if there are things you don’t notice while viewing a situation or event, your schemata will lead you to fill in these “gaps” with knowledge about what’s normally in place in that setting.
(C) But schematic knowledge can also hurt you, promoting errors in perception and memory. Moreover, the types of errors produced by schemata are quite predictable: Bear in mind that schemata summarize the broad pattern of your experience, and so they tell you, in essence, what’s typical or ordinary in a given situation. [3점]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이 문제의 정답은 "⑤ (C) - (B) - (A)"였습니다. 이 문제의 경우 만약에 틀린 다면 다음과 같은 이유로 틀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1. 많은 학생들이 (B)를 앞으로 두는 치명적인 실수를 많이 하는데요, 그 이유는 "normal" 이라는 단어의 의미(정상적인)에 너무 많은 의미 부여를 한 나머지 "ordinary, typical, normal"을 이 글에서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흐름(error)을 못 잡아서 오답을 고르는 그런 경우
2. 즉, (A), (B), (C)가 다 도식적 지식에 대해 "부정적"으로 말하고 있으므로 주어진 문장의 긍정적인 면을 반대로 해주는 접속사인 "But"이 나와야 하는 (C)가 먼저 나온 후, (C) 뒤의 "what's typical or ordinary"를 (B)에서 "this information about what's normal"로 받아야 하므로(당연히 부정을 부정으로 그대로 받으므로 therefore 가능) (B)가 그 다음에 와야 하는 것을 모르는 경우
-> 의외로 1등급 친구들이 "연결사"보다 "지시사"를 못 봐서 순서와 삽입 문제를 틀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this information about what's normal"을 해석하면 "무엇이 정상인지에 대한 이러한 정보"라고 해석되므로 normal과 같은 말 다른 표현의 언어가 앞에 있었어야 하는데 주어진 문장에는 없다는 점을 detail 하게 못 봐서 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3. 마지막으로 (B)의 마지막 부분에서 "don't notice -> gaps를 채운다"라는 표현을 보고 (A)의 Likewise를 봤을 때
don't notice -> gaps를 채운다
Likewise(마찬가지로)(첨가 - 대상 다르고 동사 관계는 같음)
(A) can't recall -> gaps를 채운다
라는 논리적인 부분을 놓쳐서 틀리는 경우
이 3가지의 경우가 하나라도 작동이 안되면 틀리는 문제였기 때문에 상당히 꽤 어려운 문제였습니다. 1등급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에게 당부드리고 싶은 것은
1. 요즘은 흐름을 강조하므로 끝까지 글을 읽도록 하자.
2. 단어에 의미 부여 하지 말자! -> 그 단어의 의미가 맥락과 흐름에 따라서 같은 단어라도 긍정 또는 부정의 흐름으로 쓰일 수 있다.
이 두 가지를 꼭 강조하고 싶습니다. 수능 때 좋은 성적 꼭 나오세요.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흐흐
-
전쟁 안 남 1
그냥 공부하시면 됨
-
연논 후기 0
수능공부 열심히 하자
-
물소들 많으니 하고 싶으면 할수있자나
-
자이하르의 쓴소리
-
회귀하고싶다 0
로지스틱회귀
-
경시를 하셨다면 보자마자 풀릴 간단한 문제입니다. 꽁 덕코 가져가세요~ (현우진...
-
엘지에는 에르난데스가 있다 24 준PO 전경기(5차전) 등판 5차전 9회 0out...
-
발음 3
2e^2 이거 진짜 이이의 이승 이라고함?
-
탈릅하려니 5
시원섭섭
-
야근 싫다 1
구지 왜 그런지는 님들 상상에 맡김 ㅋ
-
탐구나 국어는 잘 모르겠는데 수학이 진짜 가능한거임? 물론 한두달은 말이 안되고...
-
3~7회차까지 풀었는데 왜이렇게 어렵지? 나만 그런거임?
-
1-1 복기 0
(나)입장에서 너뒤져도 혁명하는게 유전자명령임 ㅋㅋㅅㄱ (가)입장에서 시발...
-
연논 합격 7
좋아요 누르시면 연논 인문이든 수리든 다 합격합니다! 인문은 예비 3번받아도 합격~^^
-
모의고사 거의 매일 푸는데 실력이 정말 전혀 안 느네요
-
좌파스러운 글을 예전에 많이 쓰셨네…..
-
연습지 받자마자 수열 합 공식 적은 ㅂㅅ이 여기 있다?? 근데 경희 상경 수리가...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