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언) 수학 못하는데 과탐이 좋다 << 이 사람들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441828
혹은 바리에이션으로
문과인데 사탐보다 과탐이 좋다
경험자로서
이 사람들은
과탐 성적 제대로 안나오면
본인이
과학적 지식을 좋아하는 건지
과학 이론 + 계산 및 이에 기반이 되는 수리적 사고력이 좋은 건지
다시 생각해 봐야 됨
만약 본인이 수리적 사고력 요하는게 싫거나 어려운데
사탐은 암기량 많다는 고정관념땜에 하기 싫고
그냥 전자의 경우,
즉 상대성 이론, 빅뱅 우주론 이런 거 들으면
개념이 사탐보다 재밌고 흥미롭다
막 공부하고 싶어진다
이러면 과학, 특히 과탐에 흥미가 있다고 보기가 어려움
오히려 이래서 본인을 이과하고 자부하며
수학 과탐 동시에 333 띄우거나
-> 목표 대학에 따라 다른데 뭐 굳이 문과에 흥미없고
본인이 다른 과목도 비슷한 성적이다 하면 하면 이건 좀 애매한데
단언할 수 있는 건,
13133(과탐) 특히 ㅇㅈㄹ이면
-> 이건 빨리 문과 안오고 뭐하냐?
실제로 본인이 3모때 12131(물1지1, 영어 만점, 국어 백분위 100)
재수생 보정 무려 13133 이였음
1n1nn (n>2 혹은 넓게 잡아 n>1) 이 패턴은
본인이 국영을 1등급 띄움에도 불구하고
이과 가서 자기가 잘하는 국어 영어는 써먹지도 못하고
평생을 본인이 진정 흥미가 있다고 보기도 힘든
‘개념에 대한 흥미’는 있으나 못하는 수학, 과학에 바칠 것인지
아주 잘 생각해 봐야 함
1n111 111nn 이런 경우는
발전 가능성이라도 있지
수학과 과탐을 동시에 못하면 이과 가시면 안됨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약간 수학으로 치면 미적 수분감 lv2 느낌 이렇게까진 안나올거 알지만 그래도...
-
논리도 병신같네
-
대인라도 없고.. 응시반이라도 있나 소수방이나 유빈에도 잘 안올라옴 5,6,7,8 회차 없는데..
-
'해설'강의는 '풀이'강의가 아닙니다. (9월 미적분 28, 29번) 0
"해설 강의라는 것은 강사가 선택한 풀이를 보거나 듣는 것이 아닙니다" 이 문제를...
-
영원한 오르비언이 된다는 것. 탈릅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윤회사상
-
공부가 짜증날땐 0
독서실건물 코노에 가서 시원하게 목 조지고 옵니다
-
위정자: 정치를 하는 사람 이라네요..
-
수학 2뜨면 다른거 백분위 10ㅔ수렴해도 안될까요..?
-
올해 여러분은 수능 전까지 몇개의 수학실모를 풀건가요? (올해 푼 실모 다합쳐서)
-
연애 시작함 2
사자마자 -20% 쳐 맞아서 26년7월까지 매달 매수해서 전역할때 뚜껑 까볼려고...
-
진지하게 15
뱃지 있는 사람은 ㄱㅁ 금지어로 해야됨
-
실모푸는데 오히려 도표를 맞고 연구 윤리랑 문화 속성을 틀려버림
-
여기서 쓰는 기호만 가지고 논리식을 만들고 작동시키는거임.. 그런프로그램없음?

1n1nn이라 ㅈㅅㅎㄴㄷ그게 고3 시험지 성적이면
중3이시니까 일단 해보시고
본인이 어느정도 했는데도 계속 1n1nn이면
잘 생각해보시는것도….
사실 영어는 별 상관 없어서
과탐하면서 국어만 잘나오는애들 특임 ㅋㅋ;
과탐 11133 13111 이런 경우면 뭐라도 잘하는 게 있으니
발전 가능성이 있는데
수학 과학을 동시에 못한다 + 국어 영어 1등급이다
-> 이과 오면 안됨 이건….
제기준 1n1nn 이과는 포텐셜 덩어리임
진짜 현역시절부터 한결같이 n1111 받은 입장에서 보면...
이과는 국어 약간 미스나도 뭐
수탐만 잘해도 먹고들어가죠
지금은 좀 나아진거지 저 현역때는 n이 4,5였음;
수학은 좋아하는데 과탐은 싫어하는 경우도 많나여
그건 취향 차이죠
입시는 잘하냐 못하냐의 문제기도 하고
과탐이 싫은데 성적이 잘 나오면 하면 되고
성적이 잘 나와도 너무 싫다 << 이건 입시 문제라 도박이긴 한데
이과 가기 싫으면 사탐 하는 것도 방법이긴 하고
과탐이 싫은데 성적도 안 나온다 하면 잘 생각해 보시는 것도…
수탐은 시간쳐박으면 오르긴함
국어영어11고정이 젤포텐있는데
저는 1년 반을 박아도 안오르더라고요…
주변에 비슷한 애들도 그랬고
근데 사탐 돌리자마자 바로 1n111 직행함
1n221이라 울었어
n1n11인데 어카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