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반모음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64994
주격조사 파트를 배울 때에는 ㅣ 나 반모음ㅣ 이외의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는 'ㅣ'가 붙는다. 예시로 부텨 + l -> 부톄 이렇게 배웠는데 그렇다는 건 ㅕ가 반모음ㅣ 이외의 모음이라는 뜻이죠?
근데 구개음화 파트를 배울 때엔 (구개음화 : 모음 ㅣ나 반모음ㅣ에 선행하는 ㄷㅌ가 ㅈㅊ로 바뀌는 현상) 구개음화가 안일어난 예시로 '됴코'를 배웠습니다. 그렇다는 건 ㅛ가 반모음ㅣ가 포함된 모음이란 건데...
ㅛ가 반모음ㅣ에 해당된다면 ㅕ도 해당되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간단한 미적분 문제입니다 덕코 그지여서 상금 내려갔으니 양해부탁드립니다;; 난이도 : 2.5/5
-
Curl-Div 0
Curl-Divergence lemma라고 함수열의 수렴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데...
-
변표차별 드가자 0
과탐러의 유일한 구원 ..
-
못참겠다 다풀면 S1도 풀어야지
-
아무도 없다 흐흐
-
흑흣. 무슨근거가한줄이뗑이야.
-
현재 고2고 진로가 아직 명확히 정해지지 않았습니다,,,,,ㅜ.ㅜ 아마!! 넣는다면...
-
할거추천부탁드림미다 24
뭐든 상관없어요
-
중국의 문인화 화원화 이거 뭐임 ㅋㅋㅋ 앞에 지문들은 맛있게 먹었는데 이거만...
-
하... 공부하기 개싫다
-
진짜 존나 피곤하네 뭐만 하면 찡찡거리고 전화 안되냐 나 너무힘들다 뭐 씨발 이...
1. 구개음화는 근대국어를 지나면서 일어난 현상입니다
2. 맞습니다. ㅕ도 ㅣ로 시작하는 이중모음이기 때문에 중세에는 '부텨'로 쓰였다가 근대~현대에는 '부처'로 쓰이게 됩니다. 이는 '둏다(중세국어)'가 근대를 지나면서 '좋다'가 된 과정과 동일합니다
제가 묻고 싶은 건 ㅕ도 반모음이면 주겻조사가 안붙어야하는 게 아닌가? 입니다
ㅣ로 끝나는 이중모음이어야 붙지 않습니다
ㅐ, ㅔ, ㅚ 등은 ㅣ로 끝나는 이중모음이고,
ㅛ, ㅠ, ㅕ 등은 ㅣ로 시작하는 이중모음입니다
그니까 주격조사에서 말하는 반모음 'ㅣ'는 ㅣ로 끝나는 이중모음 ㅢ ㅐ ㅔ ㅚ ㅙ 이런거고 구개음화는 ㅛㅠㅑㅕ 이런것만 따진다는 건가요?
네 맞습니다. ㄷ, ㅌ이 반모음 ㅣ와 만나야 일어나는 게 구개음화입니다. ㅣ로 끝나는 이중모음과 만나면 반모음 ㅣ와 만나는 게 아니고 단모음과 만나는 거죠
'대'의 ㅐ는 ㅏ+ㅣ인데 ㄷ+ㅏ니까 구개음화의 환경이 아님
감사합니다
이는 근대국어에 들어서며 ㅈ, ㅊ, ㅉ의 조음위치가 중세국어와 달라졌기 때문에 일어난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