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정이 대체 뭐라고(독서력 강화 플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60274
<얻어갈 개념어들>
상호 인정(mutual recognition), 주인-노예 변증법(master-slave dialectic), 적절한 존중(adequate regard)
초기 인정(elementary recognition), 인정의 망각(forgetfulness of recognition), 사회적 병리(social pathologies)
인정의 정치(politics of recognition), 교차성(intersectionality), 사회적 자유(social freedom)
참여적 동등성, 오인정, 인정의 이중성
안녕하세요 독서칼럼에 진심인 타르코프스키입니다.
여러분, '인정투쟁'이라는 말을 들어 보셨나요. 호네트, 낸시 프레이저, 헤겔 등의 사상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많은 수험생들이 치열하게 공부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가 결국 인정이 아닐까 싶은데요. 인정이라는 일상적인 현상 이면에 얼마나 다양한 사유와 철학이 숨어있는지 경험해보시기 바랍니다.
이제 서론 읽을 시간도 없습니다.
핸드폰 켠 김에, 인정에 관한 다양한 철학적 개념을 분석한 아래 지문을 읽어보세요.
(좋아요 누르고 시험운 받아가세요!)
출처: https://plato.stanford.edu/entries/recognition/
참조 및 재구성.
(연습문제 1)
|
(연습문제 2)
인정(recognition)의 개념은 다면적이며, 역사적·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인간의 기본적 욕구이자 인류학적 상수로 여겨지지만, 구체적인 인정 요구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가치 체계에 의해 결정된다. 전근대 사회에서의 위계적 명예(honor) 개념은 현대에 이르러 자율적 개인에 대한 평등한 존중과 개인의 업적에 기반한 존중으로 변모하였다. 현대의 인정 질서는 기본적 존중을 보장하면서도 성취에 따른 존중의 불확실성을 내포한다. 칸트주의와 자유주의는 자율적 존재의 평등한 존엄성을 강조하는 반면, 헤겔의 인정 이론은 더욱 포괄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는 헤겔의 사상을 반영하여 세 가지 인정 형태를 구분한다: 보편주의적 정치, 차이의 정치, 그리고 구체적 개별성의 인정이다. 이는 헤골의 주체론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자기신뢰(self-confidence), 자기존중(self-respect), 자긍심(self-esteem)의 발달 단계로 분석된다. 일부 이론가들은 이러한 현대적 인정 영역 아래에 '초기 인정(elementary recognition)'이라는 더 근본적인 형태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인간 주체들이 상호 인정을 통해 세계를 협력적으로 구성한다는 사회존재론적 주장과 연결된다. 로버트 브랜덤(Robert Brandom)과 같은 철학자들은 인정을 규범적 태도로 보며, 이는 타인을 책임과 권위를 지닌 규범적 지위의 주체로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인정 이론은 의미와 규범 구성에 있어 개인들의 상호의존성을 강조함으로써 원자론적 주체성 관점에 대한 비판의 근거를 제공한다. 심리학적 연구는 아동의 인지 발달이 주 양육자와의 정서적 애착에 의존한다는 점을 밝히며, 이는 타인을 인격체로 인정하는 데 있어 공감과 관점 수용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초기 인정'은 비인간화하는 사회적 관행이나 이데올로기에 의해 훼손될 수 있으며, 이는 '인정의 망각(forgetfulness of recognition)'으로 이어진다. 이 초기 형태는 주체의 정체성 형성뿐만 아니라 평등한 존중과 같은 다른 인정 형태의 기반이 되는 규범적 태도를 나타낸다. 평등한 존중은 현대 인정의 핵심으로, 모든 이의 자율적 행위 능력을 인정하고 도덕성의 기초를 형성한다. 도덕 및 정치 철학에서는 타인을 동등하게 인정하는 것의 의미에 대해 논쟁이 이어진다. '인정 존중(recognition respect)'은 각 개인의 인류성에 대한 존중을, '평가 존중(appraisal respect)'은 개인의 도덕적 특성에 기반한 존중을 의미한다. 극단적인 무시는 개인의 인간성을 부정하고 기본적인 자기 신뢰와 세계에 대한 신뢰를 해친다. 덜 극단적인 형태의 부당한 대우도 동등한 도덕적 또는 법적 지위를 부인함으로써 무시를 나타낸다. 개인을 법적 권리의 소유자로 인정하는 것은 인정을 제도화하여 자기존중의 발전을 촉진한다. 그러나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부정적 자유에만 의존하면 사회적 병리(social pathologies)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시민에게 동등한 민주적 권리를 부여하여 법질서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은 개인들이 공익을 지향할 수 있는 능력을 인정하고, 개별적 자유를 더 넓은 사회적 틀 내에 통합하는 과정이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연습문제 3)
|
(연습문제 4)
인정(recognition)과 재분배(redistribution)는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핵심 개념으로, 전자는 개인과 집단에 대한 상호주관적 승인을, 후자는 경제적 자원의 공정한 분배를 지칭한다. 낸시 프레이저(Nancy Fraser)는 모든 구성원의 동등한 사회 참여를 의미하는 "참여적 동등성(participatory parity)"을 달성하기 위해 이 두 차원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녀의 분석에 따르면, 동성애자들은 주로 문화적 차별, 즉 인정의 부족에 직면하는 반면, 노동자들은 경제적 착취, 즉 재분배의 필요성에 시달린다. 프레이저는 대부분의 불의가 이 두 차원의 조합으로 나타나며, 특히 성별과 인종 관련 사례에서 개인들이 경제적 착취와 문화적 무시를 동시에 겪는다고 설명한다. 그녀는 이 두 차원의 독립성을 강조하며, 한 측면에만 집중된 정책이 다른 측면에 의도치 않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예컨대, 적절한 인정 없는 재분배 조치는 수혜자에 대한 낙인을 야기할 수 있고, 인정 중심 정책은 경제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 악셀 호네트(Axel Honneth)는 이에 대해 재분배 문제를 존중(respect)과 존경(esteem)의 차원을 통해 인정 개념 내에서 재구성할 수 있다고 반박한다. 그는 사회적 권리와 적정 보상이 개인의 업적과 지위를 인정함으로써 경제적 불의를 해소하는 인정의 형태라고 제안한다. 그러나 프레이저는 많은 글로벌 불의가 오인정(misrecognition)을 넘어선 자본주의의 구조적 특성에서 비롯된다고 반박하며, 인정만으로는 이러한 문제를 충분히 다룰 수 없음을 강조한다. 이는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인정의 효용성과 현대 불평등의 복잡성에 대한 지속적인 논쟁을 촉발한다. 더불어, 인정의 해방적 역할에 대한 논쟁도 이어지는데, 일부는 이를 비판이론의 초석으로 제안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그 규범적 성격을 경계한다. 비판론자들은 인정 강조가 특정 선(善) 개념을 강요할 수 있다고 우려하는 반면, 옹호론자들은 자율성 증진이 개인의 선택권을 보장한다고 반박한다. 정당한 인정 투쟁과 부당한 투쟁을 구별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인데, 모든 무시 주장이 정당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인정 질서는 비판을 위한 규범적 자원을 제공하지만, 기존 사회 구조에 내재되어 급진적 변화를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사상가들은 프랑스 전통에서 영감을 받아 인정을 권력 관계와 종속성을 강화하는 이데올로기적 메커니즘으로 해석한다. 포스트구조주의자들은 인정 투쟁 내 정체성 범주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며 자유와 주체성의 영역 확장을 주장한다. 인정 관계가 권력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인정 행위는 개인을 동시에 강화하고 제약할 수 있다는 점이 명확해진다. 이러한 복잡성에도 불구하고, 인정 개념은 우리의 규범적 프레임워크와 그것을 형성하는 사회적 역학의 미묘한 측면을 조명하는 중요한 분석 도구로서의 가치를 유지한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단원 -> 문학이 주로 무슨 내용을 다루는가 3단원 -> 1단원에서 다룬 내용을...
-
ㅇㅇ
-
정답은 김치찜이였습니다 11
저 그런사람 아닙니다
-
왜 일반화되는가 1
AG가 아니더라도 cos 제곱합은 2임 x,y,z축에 대해서 어떤 직선이 이루는...
-
당분간 질받글 안올릴 예정이라 쓰려면 지금 이 글 작성시점 12시간 이내의 질문만 받을 생각
-
ㄹㅇ 김치녀 먹은게 드립이아니었냐
-
픽고 성훈 승희 4
승희 성격 ptsd ㅈㄴ온다 하..픽고를 보는게 아니였어
-
삼김 괜히먹었다 1
소화가안됨
-
힌트:김치가 들어감
-
연애보단 결혼하고싶음 12
아이 10명 낳아서 행복하게 살고싶다
-
24수능은 난이도 꽤 있는거 같던데 이정도면 ㄱㅊ아요..? 그래도 화작에 15분은...
-
하나 배웠다 죽은위인 나오면 그분 뼛가루 아니었나요 시전하면 됨 ㅇㅇ 이거 ㄹㅇ 창의적임
-
킬캠 오티떴네 2
오티 재밌음 ㅋㅋㅋ 별별 얘기 많이하네
-
아뭐야 센츄 2
연동계정이면 기본정보 이름으로 바꿔야 하는구나 한달 어케 기다려
-
자격증 시험 수준이면 어카냐 교재 본다고 풀 수 있는 정도가 아니잖아
-
조합 nCr = n!/((n-r)!*r!)에 대해, 이라 할 때, f(n)=2^n,...
-
어싸 70문제 풀었음
-
하 엄마 잔소리 그만해 13
내가알아서할게
-
본인 역삼각형 등짝 . 두툼한 팔뚝. 둘중 하나 이상 해당하면 쪽지좀
-
나랑 뽀뽀할사람 9
입술 임대해드립니다. 가져다 쓰십시오
-
확통 의대?? 18
언매 확통 생지로 만점 받으면 메디컬(의치한약) 가능한가요
-
진짜네
-
하
-
없나 3.8 동의한 지역인재 드가자잇
-
문학 기출적용편은 데이가 안나와있길래.. 하루에 몇지문씩 하는게 좋을까요? 독서는...
-
다른 점이 뭔가요? 김승리 듣고 김승리 방법 적용시켜보려고 8개년 기출 샀는데 다들...
-
사륜안이라는거 5
좀 야한거같음..
-
커리어하이라 빨리 얻고싶다 확통런 화학 지구 치대 피램 생명 화1 언매 물2 사문...
-
진짜 나는.. 국어를 진짜 그래도 좀 친다고 생각했음..남들보다 조금은 하는편이...
-
올해 최악의 칼럼이 될 예정
-
수2 샹련이 내 발목을 잡는구나 넌 내일부터 좀 맞자
-
뭔 내가 불법 사이트를 보는 것도 아니고 나무위키에서 성인 웹툰 광고가 저따구로...
-
2026학년도 나락덕후 세미파이널 모의고사 출제를 위해 2025학년도 수능 세계사를...
-
대학생들이 이러면서 시험 시작 며칠전에서 직전까지 똥줄이탈때 수험생들은 매일이 이런...
-
문제에 벽느껴짐 5
231122풀다가 벽느낌 어캐풀지도 감이 안잡혔는데 해강도 대가리 깨지며 이해함
-
진심남편. 2
진심남편. 내남편. 또 내 남편. 내 남편이 맞나요? 내 남편이 맞아요.
-
모든걸 다 대변해버리면 완전 똥쟁이임
-
감사해 2
널 만나게 된 기적에
-
초비상
-
문제 안풀고 바로 답지 외우기
-
내일 어쩌면 상무이사급들 앞에서 망신 겸 쫓겨날것 같은데... 그 스트레스 풀겸...
-
뭐가 정배임요?
-
목욕하고 싶은데 0
목욕하고 나오면 땀범벅 되어있을까봐 못 하겄네
-
작년 실모중에 1컷 80~84정도 될법한거 뭐있나요 2
수학이요! 히카는 다 풀어서 제외
-
방학때 수1,수2,확통 시발점이랑 쎈 1회독 하고 개학한 다음에 뉴런은 너무 어려울...
-
짜장하나배달 1
괜찮겠
-
역시배움엔끝이없군
-
확통런 0
재수생이고 지금까지 스블로 수1,2 다 듣고 필기노트로 복습하고있습니다 스블 미적은...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