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철학 지문, 우선 플라톤부터 시작하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331392
안녕하세요 독서칼럼에 진심인 타르코프스키입니다.
"유럽 철학 전통에 대한 가장 안전한 일반적 특징 묘사는 그것이 플라톤에 대한 일련의 각주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The safest general characterization of the European philosophical tradition is that it consists of a series of footnotes to Plato. -Alfred North Whitehead
긴 말 필요 없이, 플라톤은 정말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이제 서론 읽을 시간도 없습니다.
핸드폰 켠 김에, 플라톤 사상을 상세히 다룬 아래 철학 지문을 읽어보세요.
이 글을 완독하면 적어도 12개의 개념어를 얻어갈 수 있습니다.
-형상론(Theory of Forms), 아나므네시스(Anamnesis), 대화편(Dialogue)
소크라테스식 담론, 플라톤의 간접성, 대화편의 교육적 기능
이데아론, 엘레아의 방문자, 대화편의 상호 연관성
형상 이론, 변증법적 방법, 철인왕 개념
(좋아요 누르고 시험운 받아가세요!)
(연습문제 1)
출처: https://plato.stanford.edu/entries/plato/
Kraut, Richard, "Plato",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pring 2022 Edition), Edward N. Zalta (ed.)
참조 및 재구성.
|
(연습문제 2)
소크라테스(Socrates)는 플라톤(Plato)의 대부분의 대화편(dialogues)에서 중심적 인물로 등장하며, 이는 "법률(Laws)"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작품에 해당한다. 이는 소크라테스가 플라톤의 철학적 저작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을 반영한다. 이 대화편들은 등장인물들 간의 대화를 통해 철학적 사상을 탐구하는 문학적 작품이다. 소크라테스는 실존 인물이었으며, 플라톤에 의한 그의 묘사는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s)나 크세노폰(Xenophon)과 같은 다른 작가들의 소크라테스 묘사와 함께 더 넓은 문학적 전통의 일부를 이룬다. 아리스토파네스는 그의 희극 "구름(Clouds)"에서 소크라테스를 풍자적이고 비판적으로 묘사하여, 그를 난해한(abstruse) 탐구에 몰두하는 단정치 못한 지식인으로 그려냄으로써 당시의 철학자들을 비판했다. 반면 크세노폰의 기록은 더 호의적이지만, 플라톤의 묘사에 비해 철학적 깊이와 섬세함이 부족하다고 평가된다. 플라톤의 대화편은 간접적 스타일과 소크라테스식 담론(Socratic discourse)—비판적 사고를 자극하기 위한 질문과 답변의 탐구 방법—을 특징으로 하며, 주로 소크라테스가 주도적 화자로서 대화를 심오한 철학적 결론으로 이끈다. 그러나 플라톤은 자신의 목소리로 직접 독자에게 말하지 않고, 대신 등장인물들을 통해 복잡한 사상을 탐구하고 제시함으로써, 당시에 흔했던 논문(treatises)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철학적 저술 형식을 창조했다. 이러한 간접성은 플라톤이 대화편 내에서 명시적 주장을 하지 않기 때문에, 그의 실제 철학적 입장을 어느 정도까지 확실히 알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일부 학자들은 플라톤의 개인적 신념을 밝히려는 시도보다는 대화편 자체와 등장인물들이 제시하는 논증에 집중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플라톤의 의도를 이해하는 것은 그의 등장인물들의 발언 배후의 의미를 해석하는 데 중요하며, 대화편들은 독자들을 철학적 추론으로 이끌고 지적 성찰을 자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화편의 구조는 종종 다른 이들을 특정 결론으로 설득하는 지배적 화자를 포함하며, 이는 플라톤이 그의 저작을 통해 특정 철학적 교리들(doctrines)을 전달하고 독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고자 했음을 시사한다. 더욱이, 플라톤이 "파이드로스(Phaedrus)"와 같은 작품에서 글로 된 텍스트에만 의존하는 것의 한계를 경고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러한 텍스트들이 기억을 자극하고 더 깊은 토론을 촉진하는 보조적 도구로서 가치가 있음을 인정했다. 따라서 그의 대화편들은 독자들을 철학적 과정에 참여시키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며 글을 넘어선 지식을 추구하도록 격려하는 수단으로 볼 수 있다. 대화 형식과 소크라테스라는 인물을 활용함으로써, 플라톤은 독자들에게 제시된 논증뿐만 아니라 그 이면의 원리와 가정들도 고려하도록 도전하는 철학적 탐구 방법을 창안했다. 이러한 접근법은 그의 저작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하여, 독자들이 지혜의 추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결과적으로, 플라톤의 저작은 소크라테스 철학의 반영일 뿐만 아니라, 그의 등장인물들의 상호작용과 토론을 통해 전달되는 그 자신의 철학적 교훈의 매개체로도 작용한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연습문제 3)
|
(연습문제 4)
플라톤(Plato)은 서양 철학의 핵심 인물로, 형이상학적 경향에도 불구하고 인간 사회의 실제적 문제에 깊이 관여한 탁월한 정치 철학자로 인정받는다. 그는 평범한 인간관계의 저속함을 초월하여 '형상'(Forms)이라 불리는 영원불변의 이상 영역으로 도피하고자 하는 열망을 표현했으나, 동시에 감각 경험의 불완전한 세계를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형상'(또는 '이데아'(Ideas))은 모든 현상의 완벽한 원형으로, 오직 지성적 추론을 통해서만 접근 가능한 비물질적 영역에 존재하며, 플라톤의 철학적 탐구의 근간을 이룬다. '변명'(Apology)과 같은 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Socrates)는 자신을 현실과 동떨어진 '구름 속에 머리를 둔' 사람이 아니라 일상을 개선하고자 노력하는 인물로 묘사하며, 이는 플라톤의 실천적 참여에 대한 헌신을 예시한다. '고르기아스'(Gorgias)에서도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에서 유일한 진정한 정치술의 실천자임을 선언하며 윤리적 통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국가'(Republic)에서 플라톤은 가족, 사유재산, 다수의 지배로 정의되는 민주주의와 같은 일반적 사회제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형상에 대한 엄격한 교육과 명상을 통해 통치에 가장 적합한 철인왕이 다스리는 정의로운 사회의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그러나 후기 작품인 '법률'(Laws)에서는 비철학자들이 상당한 통치력을 지니는 도시를 위한 상세한 입법 체계를 제시하여, 통치에 있어 계몽되지 않은 자들의 참여를 수용하는 실용적 필요성으로 그의 정치사상이 변화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명백한 모순은 플라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민주적 통치의 장점과 비철학자들의 통치 역할에 대한 견해를 변경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학자들은 플라톤의 대화편이 발전적 궤적을 반영한다고 주장하며, 초기 작품은 형이상학적 사변 없이 윤리적 탐구에 중점을 둔 역사적 소크라테스의 강조와 일치하고, 중기와 후기 대화편은 그의 고유한 철학적 교리를 소개한다고 본다. 플라톤의 서신들이 진품이라면, 이는 그의 실용적 관심사에 대한 추가적 증거를 제공하며,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오스 2세(Dionysius II of Syracuse)를 교육하고 도시의 정치를 개혁하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플라톤의 후기 작품에서 철학적으로 덜 계몽된 통치자를 수용한 것이 그의 사상 발전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검토는 그의 정치철학의 일관성과 발전에 대한 심층적 탐구를 요구한다.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화편의 극적 맥락과 제시된 철학적 논증을 고려한 신중한 분석이 필요하다. 더욱이 플라톤의 대화 형식 사용은 단순한 문학적 장치가 아니라 철학을 능동적이고 대화적인 탐구로 보는 그의 믿음을 강조한다. 플라톤 철학의 중심인 변증법적 방법은 논리적 논증과 반론의 교환을 통해 비판적 사고와 자기반성을 촉진한다. 또한, 플라톤의 사상이 시간에 따라 발전하거나 변화했는지에 대한 질문은 그의 대화편이 윤리적 딜레마에서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개념으로 전환되는 방식과 비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대화편은 소크라테스가 명확한 해답 없이 윤리적 토론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후기 작품들은 형상 이론과 영혼의 불멸성을 탐구한다. 이러한 진행은 플라톤의 철학적 여정이 소크라테스로부터 물려받은 사상을 확장하고 때로는 재평가하는 과정을 포함했음을 시사한다. 플라톤의 초기, 중기, 후기 대화편 구분은 단순한 연대순 배열이 아니라 주제적 복잡성과 철학적 깊이의 진화를 반영한다. 학자들은 이러한 변화가 플라톤 자신의 견해 변화를 나타내는지, 아니면 다양한 청중과 목적을 위한 전략적 적응인지에 대해 논쟁한다. 결국, 플라톤이 자신의 정치 이론을 탐구하고 수정할 의지를 보인 것은 철학적 탐구를 정적인 교리 집합이 아닌 지속적인 과정으로 보는 그의 헌신을 강조한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평가원은 학생이 새로 미지수 잡는거를 3개 이상 못하게 함 이게 수능 출제 매뉴얼에...
-
같이 몇마디씩 하는 애들은 많은데 깊게 친한 애는 거의 없음. 모르겠어. 주변인이...
-
핫식스 몬스터 종류 상관x 맛있는거 ㅊㅊ좀요
-
지2 컨사실분? 1
리바이벌 플로우 브릿지4회까지인가까지 받음 다구매하면 나진환책들, 지2유자분새책걍드림ㅇㅇ
-
6모까지 국수영만 파기 11
올 111 ”가능할까요?“
-
일반물리학 질문 2
스카이콩콩+사람 계의 역학적에너지를 구하라는데 챗지피티가 1/2*k*x^2-mgx로...
-
외모가 젤 중요한거 아님? 돈은 내가 잘살라고 버는거지 결혼 불가능 -> 결혼 가능...
-
뭐지 좀 무서움요
-
지구 1
작년에 오지훈쌤 들었는데 이훈식쌤으로 바꿔보고싶은데여 개념 강의는 볼륨이 좀 있어서...
-
암 고치는 종양외과 의사 되고싶음
-
네
-
난 사람이 아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냥 그대로 다 버릴각나오는거임 그냥
-
n수는 개추 일단 나부터
-
신체비율 3
위에부터 0:0:10:0ㄹ
-
둘중 뭐가 더 좋나요?
-
신체비율 5
머리 상체 하체 8:1:1
-
6평전까지 진짜 미친새끼마냥 달려봐야지
-
애들이 뭘 모르네 11
남자는 오히려 외모 좀 떨어져도 여러 전형으로 여자한테 호감 사는게 가능한데 매력이...
-
나만 들을꺼니까 아무도 듣지마 꿀은 조용히...
-
오른팔 못 쓰게 붕대로 칭칭 감아버라고 싷다
-
공부 비율 2
국:수:영:탐=3:5:2:0.1
-
6모땐 언매할거지만 공부하기 귀찮아서 개념기출 아직도 못 끝냄 이슈로 화작으로...
-
수학 6~7 과탐 5~6 국어 유기 ~ 30분 영어 유기 ~ 1시간 단어는 자투리 시간에 외움
-
1.점심에 양치 흡연자라면 꼭 하셈 입냄새 걱정 줄일수있고 시간도 5분밖에...
-
한의대생 집단 제적 오늘 판가름...일괄 구제될 듯 1
https://www.yna.co.kr/amp/view/AKR19960831001600004
-
독서<<절대안되는데….
-
무브링묻었다고 안사는 거 아냐?
-
22편
-
1.국어 풀기 2.영단어 외우기 뭐가 좋음?
-
25수능 생1 42점(백분위90)/ 사탐은 썡노베 사탐런 하고싶은 이유: 1.내...
-
이해원 4
공통 작년에 비해 난이도 좀 올라간 거 같은데 기분 탓인가
-
은총에그만정신을잃음
-
2025학년도 3월 고3 국어 모의고사 공통 영역 손해설 0
안녕하세요, 오랜만입니다! 국생국사 현입니다. 오늘로 3월 모의고사 실시 후 딱...
-
시발 국어 두문제 수학 한문제만 더 맞으먄 가는거얐는데 동의동의시바류ㅠ
-
내 프로필 밑으로 쭉 내려가는건가 엄청난 게시물도 아니였는데
-
현역 때 부터 교육청 평가원 서바 수학을 88~80 사이에서 벗어난적이 없습니다....
-
사실 정확히는 6시간 반 정도긴 함 더 늘리면 탐구 시간이 줄어드는데 늘리는게 나은가
-
키작고귀엽고하얗고슬랜더인 사람이랑 연애하고 싶다 나는 도대체 언제쯤 할 수 있을까
-
내년 수능 치려고 하는데 다른과목은 괜찮은데 영어가 발목을 잡아서 올려봅니다....
-
연락은 ㅈㄴ 안 되는데 실제로 만나면 재밌는 사람
-
조급해하지 마 1
진짜로 하니까 되긴 되더라 트럭 처음 운전할때 기어 제대로 못 넣었는데 도로주행...
-
수특 문학 내신 0
수특 문학 분석 강의 들으려고 하는데 매E네 괜찮나요? 매E네 책 구성에 해설이...
-
심심해 0
-
수탐이 괜찮으면 5
어디 계산식이 유리함 ??
-
3연술 3
소주 위스키 소주 좋습니다
-
3모 4 6모 3 9모 2 수능 1 재수는 만점을 목표로..
-
잇올 그만둬야하나..
틀린선택지가 틀린선택지를 고르라는건가요?
모두 틀린 선택지인데 틀린 이유를 찾아보자는 취지입니다!
ㄱㅅㄱㅅ

만드는데 고생 엄청할거같아요 감사합니다 GOAT
어려운 주제를 흥미롭게 읽을 수 있도록 정리하셨어요!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