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공통점찾기"가 중요하다고 보는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60958
현상속에서 규칙이나 패턴을 찾는게 공통점을 찾는거라고 생각하고
문제속에서 배웠던 개념을 인식해내려면 공통점을 알아야하고
제가 빡대가리긴한데 나름대로 모든 지능적인 생각이 공통점찾기에서 시작된다고 봅니다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디서 볼 수 있음?
-
근데 공부해도 3등급 ㄱㄴ
-
ㄱㅇㅇ쌤 라이브 반 들으려고 하는데 지금 수럽 뭐하시나요??
-
공부
-
원서장사에 대한 고마움 표현인가
-
아마 경영학,공학,의약학은 대학에 수십년뒤에도 있을겁니다. 1
응용된 학문이 남는다는 것이 특징이죠..
-
수학 무불개 확통 10강 데이오프 하려했다가 양심에 찔려서 짧게나마 공부했습니다
-
홍대인데 9
혼자 할거 추천좀
-
낙지의 역사를 아시는분 있나요 낙지로 돈 엄청 벌듯
-
증거 있어요
-
아시는 분 있나요??? 언매요
-
2
-
. 2
-
예전에는 독서에 시간 엄청 잡아 먹었는데. 기출풀고 해설보고 문제가 풀리니깐...
-
도와주세요
-
3명 중 누가 노래 젤 잘하나요?
-
모든 유전자 담은 정자 한마리만 만들면 안될까 왜 감수분열해서 비분리만들고 야랼이야
-
비갤이 뭐야 6
엉아들 도대체 저기서 왜 싸우는 거야
굉장히 좋은 인싸이트입니다.
본디 사물이란 것은 만물이 '이'로부터 탄생하는 것. 이이선생님(아님말고)이 백골 두개골 뚜겅이 닳도록 말씀하셨죠.
만물의 물상을 파악하기 위해선 공통점을 찾아야 할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