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력 강화) 중국어 방과 에이어 심화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243654
안녕하세요 독서 칼럼 쓰는 타르코프스키입니다.
오늘은 레전드 지문으로 꼽히는 중국어 방과 에이어 관련 지식을 더 심화해서 지문을 제작해 보았습니다.
실제로 수능 국어는 이미 출제된 주제와 연관된 내용을 새로운 지문으로 출제하는 경우가 많은데, 기출 지문만 익혀서는 새로운 주제에 대처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핸드폰 켠 김에, 독해연습 4문단 도전해보세요.
출처는 스탠포드 철학백과입니다.
(연습문제 1)
인공지능(AI)에서의 이해 개념은 존 설(John Searle)의 중국어 방 논증(Chinese Room Argument)을 통해 철저히 검증되었으며, 이는 컴퓨터의 작동 능력이 진정한 이해와 동일시될 수 없음을 역설한다. 설은 영어 사용자가 중국어 기호를 구문 규칙에 따라 조작하는 사고 실험을 통해 이를 예시하는데, 방 안의 인물은 중국어 질문에 적절히 응답할 수 있으나 실제 언어적 이해는 전무하다. 이는 구문론(syntax)과 의미론(semantics)의 본질적 차이를 부각시킨다. 더불어 설의 의식(consciousness)과 지향성(intentionality)에 관한 후속 논의는 정신적 이해와 고유 의식 간의 복잡한 연관성을 드러내며, 단순한 계산 과정만으로는 진정한 이해나 사고가 불가능함을 주장한다. 지향성, 즉 정신 상태가 특정 대상을 향하는 능력은 설이 기능주의(functionalism)를 반박하는 데 핵심적 요소로 작용한다. 기능주의는 정신 상태를 인과적 역할로만 정의하지만, 설의 비판은 이를 넘어선다. 만약 비생물학적 시스템이 정신 상태와 유사한 기능적 특성을 보일 수 있다면, 이론상 모든 기계적 조립체가 유사한 정신적 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주장은 심오한 철학적 질문을 야기한다. 설의 비판은 이해가 단순한 기능적 복제를 초월한다는 개념을 강화하며, 알고리즘적 처리를 실제 인지 상태와 동일시하는 것의 한계를 명확히 한다. 결과적으로, 중국어 방 논증의 함의는 인지과학 분야에서 광범위한 담론을 촉발하여, 의식의 본질, 이해의 본질, 그리고 형식 체계와 인간 정신 생활의 풍부함 사이의 중요한 균형에 대한 탐구를 고무시켰다. 이러한 논의는 컴퓨터의 기능적 모방과 인간의 고유한 인지 능력 사이의 근본적 차이를 부각시키며, AI의 한계와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설의 주장은 단순히 AI의 한계를 지적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인간 정신의 독특성과 복잡성을 재조명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는 AI 연구자들로 하여금 단순한 정보 처리를 넘어선 진정한 이해와 의식의 구현 가능성에 대해 재고하게 만들었으며, 인공지능의 발전 방향에 대한 철학적, 윤리적 논의를 촉진시켰다. 더불어 이 논증은 인간의 언어 습득과 이해 과정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여, 언어학과 인지심리학 분야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궁극적으로 중국어 방 논증은 AI와 인간 지능의 본질적 차이를 명확히 하면서도, 동시에 두 영역 간의 상호작용과 통합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AI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인지 능력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요구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인공지능과 인간 지능의 상보적 발전 가능성을 시사한다. (https://plato.stanford.edu/entries/chinese-room/#LargPhilIssu) |
<선택지> |
<선택지> |
(연습문제 2)
중국어 방(Chinese Room) 논증은 존 설(John Searle)이 제시한 철학적 사고실험으로, 컴퓨터의 구문론적 조작이 진정한 이해나 의식과 동일시될 수 없다는 주장을 전개한다. 설은 컴퓨터가 구문(syntax)을 따를 수 있을지언정, 그들이 준수하는 작동 규칙이 순전히 형식적이며 내용(content)과 상호작용하지 않기에 의미론(semantics)이 결여되어 있다고 역설한다. 이러한 구분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마음(mind)을 구성할 수 없다는 결론으로 귀결되며, 이는 인공지능의 영역을 초월하는 함의를 내포한다. 그의 논증은 세 가지 전제로 구축된다: 프로그램의 형식적 본질, 인간 정신의 의미론적 복잡성, 그리고 구문만으로는 의미를 생성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러한 논의의 파급효과는 인간의 인지를 근본적으로 계산적(computational)으로 간주하는 기존의 인지 이론에 의문을 제기한다. 비평가들은 컴퓨터의 물리적 상태가 단순한 구문적 조작을 초월할 수 있다고 반박하며, 계산 과정에 내재된 복잡한 인과관계가 설의 모델에서 간과된 이해의 차원을 도입한다고 제안한다. 더불어, 지향성(intentionality)에 대한 탐구는 이중성을 드러낸다; 설이 구분한 원초적 지향성(original intentionality)과 파생적 지향성(derived intentionality)은 인간의 정신 상태가 지닌 고유하고 의식적인 특성을 기계에 귀속되는 파생적 측면과 대비시킨다. 이러한 진행 중인 담론은 심신 관계에 대한 더 심오한 형이상학적 질문을 반영하며, 지향성과 의식이 생물학적 기질을 초월하여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재평가를 촉구한다. 따라서 설의 논증을 둘러싼 논의는 인지에 대한 체계적 정의뿐만 아니라 심리철학 분야에서 진화하는 개념적 틀에 도전장을 내민다. 이는 인공지능의 본질적 한계와 가능성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요구하며, 동시에 인간 의식의 독특성과 기계의 인지 능력 사이의 근본적인 차이를 조명한다. 더 나아가, 이 논증은 의식의 본질과 그것이 물리적 세계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철학적 탐구의 지평을 확장시킨다. (https://plato.stanford.edu/entries/chinese-room/#LargPhilIssu) |
<선택지> |
<선택지> |
(예시문제 3)
알프레드 줄스 에이어(Alfred Jules Ayer)는 영국의 경험주의 철학자들인 데이비드 흄(David Hume)과 G.E. 무어(G.E. Moore)의 사상을 계승하면서도, 비엔나 학파의 논리실증주의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독창적인 의미 이론을 구축하였다. 그의 초기 저작 "언어, 진리, 논리"에서 제시된 의미의 기준은 모든 명제가 분석적 진리이거나 경험적 관찰을 통해 검증 가능해야 한다는 엄격한 조건을 내세웠다. 이는 결정적 증거를 요구하는 강한 검증과 관찰 진술과의 연역적 추론을 허용하는 약한 검증으로 세분화되었다. 그러나 알론조 처치(Alonzo Church) 등 동시대 철학자들의 비판에 직면하여, 에이어는 자신의 이론을 수정하게 되었고, 이는 "언어, 진리, 논리" 제2판에서 직접적 검증과 간접적 검증의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의미 기준이 강한 의미와 약한 의미 사이에서 모호성을 지니고 있음을 인정하였으며, 이로 인해 과거 사건에 대한 진술과 개인의 주관적 경험을 다루는 데 있어 일관성 유지의 어려움을 직면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이어는 도덕적 진술이 검증 불가능하며, 따라서 사실적 주장이 아닌 감정 상태의 표현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그는 진리에 대한 공허론적 견해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진리에 관한 철학적 담론의 불필요성을 주장하며 "진실이다"라는 표현이 명제 구성에서 중복된다고 보았다. 에이어는 진리의 본질이 명제의 검증 과정에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는 도덕적 발화가 진리값을 지닐 수 없다는 함의를 지닌다고 보았다. 이러한 검증주의와 진리의 공허론 사이의 상호작용은 에이어 철학의 근간을 이루지만, 동시에 지식의 본질과 경험적 탐구에서 언어의 역할에 관한 더 깊은 존재론적 질문들을 야기한다. 그의 이론은 20세기 분석철학의 주요 흐름을 형성하였으나, 동시에 인식론과 언어철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복잡한 철학적 문제들을 제기하였다. 에이어의 사상은 경험주의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후대 철학자들에게 중요한 출발점이 되었으며, 현대 철학에서 의미와 진리의 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를 촉발시켰다. (https://plato.stanford.edu/entries/ayer/) |
<선택지> |
<선택지>
|
(예시문제 4)
에이어(Ayer)의 지각론(知覺論)은 현상주의(現象主義, phenomenalism)와 실재론(實在論, realism)의 철학적 함의를 심도 있게 탐구하며, 특히 감각자료(感覺資料, sense-data)의 렌즈를 통해 이를 고찰한다. 초기에 그는 물리적 대상에 관한 진술이 '감각내용(感覚内容, sense-contents)'이라 불리는 감각적 경험에 대한 진술로 직접 변환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엄격한 형태의 현상주의를 옹호했다. 그러나 후에 이러한 환원주의적 입장을 비판하며, 물리적 대상에 대한 우리의 주장이 감각자료로부터 정당화될 수 있으나 단순히 그것으로 환원될 수는 없다고 주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상적 변화는 그로 하여금 '정교한 실재론(精巧한 實在論, sophisticated realism)'을 주창하게 했으며, 여기서 '퀄리아(qualia)'라 불리는 감각적 경험이 우리의 지각적 판단을 이해하는 데 근본적 요소로 자리 잡았다. 에이어는 이러한 퀄리아의 이해가 물리적 대상의 일차적 체계의 존재를 상정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역설했다. 또한 그는 환각 논증(幻覺論證, argument from illusion)을 도입하여, 우리의 지각 가능한 경험이 환영적일지라도 물질적 대상의 존재를 필연적으로 요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J.L. 오스틴(J.L. Austin)과 피터 스트로슨(Peter Strawson) 같은 비평가들은 에이어의 진실한 지각(veridical perception)과 비진실한 지각(non-veridical perception) 사이의 구분에 의문을 제기하며, 우리의 지각적 판단이 이차적 체계에 속하는 개념들을 전제하지 않고도 일관된 이론적 체계를 구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에이어는 지식이 맥락 기반의 상대주의를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특정 맥락 내에서 믿음이 참이고 개인이 그 믿음에 대한 적절한 정당화를 가질 때 지식이 발생한다고 제안했다. 더 나아가, 에이어의 귀납(歸納, induction)에 대한 관점은 귀납적 추론의 정당화에 대한 회의주의를 드러내며, 흄(Hume)의 통찰과 유사하게 귀납적 추론의 근본적 한계를 지적했다. 그의 비판은 확률(確率, probability)의 해석에까지 확장되어, 논리적 해석과 빈도 해석 모두가 귀납적 추론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필요한 기초를 결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https://plato.stanford.edu/entries/ayer/) |
<선택지> |
<선택지> |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무제한인가요
-
이게 1티어가 아니면 나정말 죽어버릴지도 몰라
-
입시 난이도 질문 11
다들 옛날이랑 지금이랑 어느시대가 입시난이도가 더 어렵다고생각하심? 나는...
-
안녕하세요. 기출의 파급효과 지구과학1팀 입니다. 여러분들 덕분에 2024,...
-
강도가 머리에 총대고 못가면 죽인다고 협박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해야지
-
드뎌퇴근~ 3
또 이렇게 한주를 무사히 클리어~~~
-
담배피고 들어가면 딱맞네
-
님들은 수학 공부할때 16
일관적인 풀이를 하기위해 연습하는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함 아님 여러가지 풀이를...
-
생지 이상? 그정도면 그냥 생지 중에 하나 할 생각인데
-
닉 뭐로 바꾸지 6
-
더럽고 게으른 새끼가 아니라 진짜 아무것도 하기 싫어 근데 그게 게으르고 더러운...
-
학고반수가 나을까요? 아니면 2학점 교양 원격강의 토익리스닝? 이런거라도 들어서...
-
어쩌다 작년 책이 생겼는데 저걸로 독학 ㄱㄴ한가요? 통사는 학교 프린트 +...
-
닉 뭐로 바꿀까 6
흐음... 고민되는구나
-
06이고 이번년도 평백84받고 국숭라인 자전 붙었는데 27대입에선 지기균 조건이...
-
한양인터칼리지 신설인데 새터나 엠티는 안하는건가요 ㅋㅋ
-
한완기 수1,2 사려하는디 한완수 공통 (상),(중) 부터 봐야하나요? ㅇㅣ제 곧...
-
미적 공부법 0
올수 76점 3틀입니다 올해는 빨더텅 1회독 작년 수특수완 2회독 씨뮬 ebs...
-
꼭 좋은건 아니겟죠? 좋게말해야 몰입이지 고통스럽지 않을정도면 그냥 뇌를 덜 쓴거고...
-
안녕하세요. 얼마 전에 1주일 동안 영어 교재 무상 지원을 진행하였습니다. 사실,...
-
화작+확통+사탐으로 메디컬 갈 수 있는데 어디있나요? 0
그리고 백분위는 어느정도 나와야하나요?
-
걍 프린트 뽑을걸 엄마 미안해
-
갑자기 돌아보니깐 공부해야할것이 너무많음 방학동안 이룬게 없다니
-
이거 정량적으로 점수까는 대학있음? 수시나 정시나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지금 공부를 거의 안 한 개허수인데 지금부터라도 하려고 하는 중 지금 세젤쉬 하고...
-
흠 경제 내신 전교 2등이라 2등급 ㅋㅋ..고 3때 3월 모고는 1이였는데 그...
-
베르테르 71번 5
이제 담배펴야지
-
이화여대를 1학기 학고를 받고 2학기 휴학을 하려하는데 학교가 제대로 안 알려주고...
-
2d만큼 변형됐을 때 속력 최대라는 건 알겠는데 그럼 2d만큼 압축됐을 때도 속력...
-
강대 퀀텀관 ㅅㅂ 담배냄새남....
-
경제 불평등은 최소수혜자에게 이득이 되어야'만' 정당화 될 수 있다 내 생각엔 맞는...
-
고역이다 고역 ㅠㅠ
-
경제하고싶다 1
재미원탑경제 끼고 사문경제하고싶어 근데 지1은 점수땜에 버리기아까운데
-
누워서 과자쳐먹으며 유튜브 보고싶어
-
6등급인데 수1 수2 워크북 공부할때 결국 풀리긴 하지만 처음 봤을땐 시발점 노베...
-
정말 하기싫다, 머리에 넣으면 다시 뱉어낸다.. 하지만 이 짓거리 1년 더 하기...
-
섞어서 안하고 일단 무조건 그것만 잡고 팜?하니 내가 너무 왔갔다 하나..
-
이해가안됨
-
1월달에 잇올 다님=너무 멀어서 포기함 지금 독서실 다님=나름 만족중 근데 건물...
-
확통+사탐 vs 미적+사탐 한약수 목표 뭐가 좋을까요? 7
확통+사탐 vs 미적+사탐 한약수 목표로 뭐가 더 좋을까요? 한약수 중에 아무거나 상관없어요
-
오프라인 전용이랑 인강 차이 나는 편인가요?
-
보약n제 3
라고 하시죠 마약이라는 말......
-
제노 챌린지 샤프 (2025 수능샤프) 컴퓨터용 사인펜 대학수학능력시험 채택...
-
일찍일어나는법 0
빰빰빰빰빰빰빠라밤빰빰빠라밤빰빰빰빰빰빰빰
-
내가 수능 더 잘봤어 이 씹련아. 잘 살아라.
-
저녁 16
돼지갈비
-
일하기 싫어.. 5
-
신이시여...! 1
제발..
-
내가 핑계대는 것들 다 보면 걍 좆까고 공부하러 가면 해결되는 문제들 뿐임. 늦게...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