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국어 질받해봐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124794
다들 파이널기간 국어 화이팅!!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능때지구 8
진짜존나어렵게 내주세요 22수능가자
-
작년에도 6,9때 쉽게 내다가 수능때 어렵게 냈는데 설대 표본이 처음으로 아니어서...
-
꼭 이번 수학 잘 봐서 나중에 과외해야지
-
제 과제 빵입니다 푸하하 ㅈㅅ
-
내 자리 문제가 아니고 표점떨어지니까 좀 나가
-
대 미 적 ㄷㄷ
-
수시 논술 넣으려고 하는데 피어싱 착용한 상태로 수능원서사진을 찍었어요. 이거...
-
남르비들 군대 3
언제감? 필자는 2학년 1학기 끝나고 공군으로 토낄 예정인데
-
40점 ㄹㅇ 간당간당했다.. 어려움 순위 원탑은 최여름모인듯 서바 쳐도 맨날 47 48인데
-
연대, 경희대 말고 또 어디있나요?
-
ㅈㄴ 맛있네 ㅌㅋㅋㅋㅋㅋ 수2를 못해서 다 맞진 못했지만 ㅈㄴ 맛있게 어려움
-
수시 원서 접수 사진이랑 같아야하나요? 뒷 배경만 다른 색깔인것도 가능하나요? 제발...
-
아랍어랑 페르시아어 중에 고민되네요..
-
수능 사진이랑 같은 사진으로 넣어도 되죠?
-
현실 친구 0명이라 오르비하면서 외로움 해소중 할 말 없는데 그냥 외로워서 아무말이나 쓰는 중
-
정부, '플랫폼법' 제정 포기…공정거래법으로 '독과점' 규제 1
정부가 새로운 법안 제정이 아닌 '독점 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
제발 멈췄으면 좋겠다 ㅋㅋ쿠ㅜㅜ
-
지스트 자소서 쓸때 2학년때 학과 어떻게 선택할 지 넣고, 커리에 따른 공부 계획...
-
접수결과 현황 3
로또맞은놈:사문생윤정법 좆된놈:화생지1 꿀빤놈:생2
-
어디가 더 나음?
미띤
엇 오랜만임둥
빵가룽
혹시 +1 하시나여
아녀 정착 잘 했습니다! 이젠 수능문제도 다 까먹어버린..
과와해주세요
선생님이 저보다 더 잘하실거같..
허수입니다..
님오랜만이내…

날 기억하는사람이 있다니 이럴수가국어 단기간에 끌어올리려면 뭐가 좋나여

솔직히 말씀드리면 국어는 단기간에 확 올라가기는 어려운거같아요.. 문학 비문학 모두 쌓여있는 독해력을 바탕으로 하는지라..독해력은 좋은것같은데 백분위 92즈음에서 어느 파트에서 많이 틀리면 그파트만 따로 많이풀고 실모 많이 돌리면 되겠져..? ㅠㅜ
말씀하시는 부분이 주로 어떤 파트일까요?
비문학 보기3점이나 화작 40번이나 고전시가에서 자주 나가요
일단 화작은 그부분만 뺑뺑이로 푸시면 틀릴 일은 없을거에요! (제가 언매선택자라 이부분은 잘..)
저도 고전시가 진짜 어려워했었는데, 그래서 저는 아예 일주일 정도 날잡고 고전시가 부분만 쭉 푼 적이 있었거든요. 고전시가는 대부분 작품 주제의 결들이 비슷해서.. 우선 나만의 문풀 루틴을 만들어보시고, 최대한 다양한 작품을 보시는걸 추천드려요. 틀린 문제들은 주로 작품 해석에서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이 크니 작품 해석도 꼭 확인하시구요
비문학 3점은.. 그쵸 어렵죠.. 제 경험상 대부분의 3점은 글을 잘 이해했는지, 그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보기에 관련된 내용과 관련지어 생각할 수 있는지를 물어보는 문제가 많기 때문에 이 부분은 단순히 문제를 많이 풀기보다는 최대한 이해해서 풀어보려고 노력해보시고, 틀렸다면 어느 부분에서 잘못 생각했는지 등등을 체크해보시는게 좋을거같아요!
쓰다보니 너무 길어졌네요 하하;;
97~98에서 100까지 올릴때 팁있을까여
저는 4등급에서 한번에 고정 100으로 올라온 케이스라.. 혹시 본인이 파악한 문제점이 따로 있을까요??
와 진짜 대단하시네요 ㄷㄷㄷㄷ
국어공부를 좀 과하게 안 해서.. 극한의 날먹 팁같은거 없나 궁금해서 물어본거에요 ㅎㅎ;;
개인적으로 순간판단능력/자신에 대한 믿음이 제일 중요한거같아요. 다른 과목에도 통용될 수 있지만 특히 국어는 더.. 그정도 실력이시면 좀 더 다양한 지문들을 접해보고, 자기만의 시험 운영방식을 만들어가시면 충분히 백분위 100 받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당
4등급에서 100까지 가는데 어느정도 걸리셨나요??
23수능 4등급이었고 바로 다음해 6모부터 백분위 100 받았습니다
와 대단하시네요 ㄷㄷ 혹시 23수능에서 미끄러지신건가요 아니면 이후 공부를 통해 오른건가요?
아뇨 현역때는 모의고사에서도 3등급 정도 받는 평범한 수험생이었어요 ㅋㅋ;; 이후로 재수 시작하면서 국어 공부방법을 싹 뜯어고치니까 성적이 쭉 올라가더라구요
성적 올리는데 제일 중요했던것 딱하나 뽑자면 뭐였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어떤식으로 공부를 하신건가요?
글을 개떡같이 읽던 습관 전부 뜯어고치고, 재수 초반에 국어에 시간 투자를 많이 하면서 독서 읽는 태도교정을 많이 했었어요. 해설서 보면서 선생님과 나의 차이는 어디서 벌어지는지, 이 문단은 어떻게 처리해야하는지 등등 하나부터 열까지 꼼꼼히 점검했습니다.
제일 중요했던건..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국어는 진짜 자기랑 잘 맞는 선생님을 찾으면 성적이 잘 올라가는거같아요
모든 시험에서 공통적으로 현대/고전 소설에서 시간이 많이 걸리는데 앞으로 EBS연계 위주로 공부하는게 나을까요?
저는 소설 ebs는 하나도 안봤어요. 시면 몰라도 소설은 겹치는 부분이 출제될 가능성이 적다고 생각해서.. 대신 다른 텍스트를 많이 접하면서 훈련했습니다. 어떤 소설 상관없이 주요 사건, 인물관계 등등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요. 소설파트 ebs는 개인적으로 시간을 너무 잡아먹는다고 생각해서..
다들 독서를 유기적으로 읽어라, 연결해서 읽어라 하는데 너무 막연하게만 느껴져요.. 어떤 생각을 하면서 읽어야 잘 독해할 수 있을까요?? 성적은 2~3등급 와리가리 하는 상황이에요 ..
저도 현역일때 그부분에 집착했었거든요. 그런데 오히려 연결해서.. 여긴 여기랑.. 이렇게 신경써서 읽다보니 오히려 글이 더 안읽히더라구요
글은 있는 그대로 텍스트로 받아들이시고, 한번 1문단에 힘을 주시면서 읽어보세요. 이 글은 어떤 주제인지, 하려는 말이 뭔지 등등 생각하면서 글을 읽어내려가보는걸 추천드려요! 처음에 이해가 잘 가지 않는다면 일단 그런가보다~ 하고 받아들이시고, 후에 문제 풀때 내용이해가 필요한 부분이라면 다시 돌아와서 곱씹어보며 이해해보시는걸 추천드려요
지금쯤 풀만한 컨텐츠 추천하시는거 있나용?
저는 이맘때 이감오프 실모랑, 우기분 문학 들었었어요! 문학에 힘을 실어보자는 마인드였어서.. 언매 하시면 언매 미니 실모도 꼭 풀어보시구요!
국어 계속 백분위 2등급 중간 정도가 나오는데 뭘 해야 할까요...? 항상 문학 독서 언매에서 골고루 틀리는 편이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23수능 백분위 98, 24수능 백분위 91이었고 쉬운 시험은 1등급 어려운시험은 2등급 정도 나오는 것 같아요
혹시 문학 독서 언매 푸시는 순서가 어떻게될까요?
22때부터 수능을 쳐서... 문언독 이렇게 풀어요 한 번에 안 풀리는 건 바로 별표 치고 넘어가는 식으로 해서 문학 25분 언매 10분 독서 30분 정도 풀고 남는 시간에 별표 다 해결하는 식으로 풀어요
시간배분은 이상적으로 잘해놓으셨는데 문학에서 조금 세이브해야겠네요.. 그러면 주로 틀리는 이유가 시간이 부족해서라기보다는 문제를 잘못 푼 경우인건가요?
시간은 약간 부족하고 검토까지 다 해도 맞았다고 생각했는데 채점해보면 틀려있는 경우가 많아요!
강사 누구 들으셨나요?
시대인재 유신쌤 들었습니당
국어 3,4등급 나올 땐 시간부족 때문이었나요 아님 풀긴 다 푸는데 정답률이 낮았던 건가요? 제가 읽는 속도가 느려서.. 기출 공부해서 정답률은 이제 푼 건 거의 안 틀릴 정도로 크게 올랐는데 어려운 시험에선 항상 한 지문정도 날려서 백분위 93에서 더 오르지가 않습니다..
저의 경우는 시간이 부족하진 않았고 문제를 엉터리로 풀었던거같네요.. 사실 시간 부족은 크리티컬한데 이 부분은 수능 전에 어떻게든 보완해야할거같아요.
읽는 속도가 느리시다는건 주로 독서파트에서 시간을 많이 쓰시는걸까요?
빨리 푸시는 분들보다 전체적으로 많이 쓰는 것 같아요.
보통 독서 35~37분 문학 25분 언매 15분정도로 계획하고 푸는데 제가 독언문 순으로 풀어서 좀 어려운 시험에서는 문학 풀다가 종 치거든요.. 독서 혹은 문학 그 시험에서 어려운 파트에 따라 저 위에 언급한 시간에서 +5분정도 더 쓰는 것 같아요.
우선 읽는 속도에 관해서는, 정말 순수하게 글을 읽는 속도가 느려서 오래 걸리는건지, 아니면 문제나 주제가 낯설어 거기에 적응하는데에 오래걸리는지를 진단할 필요가 있어보여요
전자라면 다양한 텍스트를 최대한 많이 접하고 꾸준히 글을 읽다 보면 어느정도 해결되는 문제고, 후자라면 자신이 약한 주제의 글들을 날잡고 모조리 풀어보면서 해결해볼 수 있구요.
또 평소에 읽는 속도가 느려서 시간 압박을 많이 받으셨을텐데,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시험 운영을 해나갈지에 대한 훈련도 필요하구요!! 예를 들자면 오래 걸릴것 같은 문제는 과감히 패스하고 다시 돌아온다거나, 압박을 받아 흔들릴때 심리적인 멘탈 단련을 하는 방법이 있겠죠. 시간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전략적인 운영으로 최대한 점수를 확보하는게 중요합니다!
수능이 얼마 남지 않은 하반기에는 글을 드라마틱하게 빨리 읽을 수 있게 하기는 어려워서 이렇게 연습해보는게 최선일 듯 합니당..
6모 77 9모 75인데 공부 방향을 어떻게 잡아야 할까요.. ebs는 끝냈고 기출은 10년치는 다 풀었어요..
본인이 피드백했을때 점수가 잘 안나오는 이유가 있었을까요? 어느 부분에서 시간을 잡아먹는다거나, 특정 주제 지문에 어려워한다거나 등이요!
헉 선생님께서 이런 누추한곳에..
문학 좀 빨리 풀기 위해선 어떻게 하는게 맞을까요?? 풀면 평가원 기준으로 만점~2틀 사이인데.. 항상 시간이 모자라서 독서 마지막 문제 풀기가 힘드네요
시 / 소설 중에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 파트가 따로 있을까요? 아니면 고루 시간을 쓰시는 편일까요?
전체적으로 시간을 고루 많이 쓰는 편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