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의X울의X연치] 9평 이후 수능 공부는 이렇게 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115015
안녕하세요, TEAM 수리남입니다.
TEAM 수리남에서 론칭하여 올해 7-8월에 진행한 시즌1 강의에서 가장 많이 받았던 질문 중 하나인,
"9평 이후 실모 기반 공부는 어떻게 하는게 가장 효율적인가요?"
주제에 대해 저희의 작년 학생 지도 경험을 바탕으로 다루어 보겠습니다.
1. 9평 이후 수능 대비 학원들의 기본 시스템
보통 이 시기의 실모반들은 대부분
전범위 실전 모의고사 시험 진행 + 문항 해설 및 실전 TIP 전달
정도의 구조로 진행됩니다.
9-11월의 시기는 그 무엇보다 실전 감각을 끌어올리는 것이 중요한 시기이죠.
- 시간 관리 능력
- 실수 관리 능력
- 생소한 문제에 당황하지 않는 침착성
- 킬러 문제간 우선 순위를 정하는 판단력
등 지속적으로 연습해야 하는 실전 감각을 종합적으로 훈련시키기 위해 꾸준히 실전 모의고사를 봅니다.
실전에서 단순히 문제의 정답을 맞추고 틀리고도 물론 중요한 부분이지만, 풀이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는 문항의 경우 가장 효율적이고 빠르며 정확한 풀이 방법을 선택해 이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풀이 과정 선택의 기준을 큰 틀에서 파악 할 수 있고, 출제자의 의도대로 올바르게 풀어냈는지 점검하며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풀이에 대한 피드백 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이러한 점들을 문항 해설을 하는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가 많죠.
물론 그저 그런 학원들에서는 실전 개념(주제별 태도 정리)이나 이러한 유형의 문제를 보고 취했어야 하는 행동 등 실전 TIP의 영역까지는 가르치지 않고 단순 해설만 하는 곳도 많으리라 생각된다만, 이런 학원은 배제하고 이어가보겠습니다.
하지만 모두가 공감하듯, 이러한 질 좋은 문제와 뛰어난 강사의 수업만으로 성적 향상이 바로 보장되지는 않습니다.
본인이 풀지 못했거나 틀린 문제들을 점검하는 방식에서 실력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2. 나의 약점을 다루는 방법
하나의 실모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개의 문항 각각은 출제된 유형, 즉 문항 주제가 존재합니다. 그리고 같은 실모를 푸는 학생들도 학생들별로 틀리는 문제는 각기 다를 것입니다.
공통 부분에서 계속 점수가 깎이는 학생들 중 <삼각함수의 도형 활용>이 약점인 학생도 있을 것이고, <등차/등비 수열과 기하적 연관성>, 또는 <제곱근의 정의 활용> 등이 약점인 학생도 있겠죠.
본인이 풀게 되는 모든 실모 1회분마다, 본인이 틀린 문항의 문항 주제를 인지하는 것이 1단계입니다.
그리고 그 직접 연계 문항을 20-30개 모아놓고 한 번에 풀며 반복 학습/훈련을 통한 해당 유형 정복이 2단계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말로 들으면 굉장히 직관적이며 쉽게 들릴 수 있지만 많은 학생들이 이것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1. "문항의 출제 단원"이 아닌 "문항의 출제 주제"를 인지하는 것의 어려움.
2. 인지하더라도 그에 대한 직접 연계 유형 20-30문제를 찾는 것의 어려움.
3. 본인의 약점 주제이기 때문에 혼자서 그 주제를 관통하는 핵심 아이디어를 찾고 적용하는 것의 어려움.
위와 같은 원인들이 있을 것입니다.
직관적 이해를 위해, 실제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도형의 활용> 주제가 약점이라면, 위 사진과 같이 <도형의 활용> 주제로 출제된 평가원 기출 문제와 고퀄리티 N제들을 한 군데 모아놓고 풀어봐야 합니다.
직접 연계 문제들이 기출로만 구성되어 있다면, 문항의 수도 적고 풀이/답이 기억날 수도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학습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꼭 직접 연계 N제나 기출 변형 문항들도 함께 학습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여력이 된다면,
Step 1. 연계 기출 복습
Step 2. 연계 비킬러/준킬러 N제
Step 3. 연계 킬러 N제
의 단계별 학습으로 그 주제를 관통하는 핵심 원리(KEY POINT)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좋겠죠.
이러한 모든 과정(1.자신의 약점 주제에 대한 인지, 2.직접 연계 문항을 모으는 것, 3.모아서 풀며 핵심 아이디어를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은 수험생 혼자서 감당하기에 어려운 부분이 있고, 대형 학원에서도 여기까지 신경써주기에는 학생이 많아 벅차기 때문에 개인 과외 선생님이나 멘토의 도움을 받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입니다.
3. 질문/의문/혼동은 생겼을 때 곧바로 해결하자
9평과 수능 사이 시기에 한 가지 더 중요한 것은 질문 해결의 즉시성에 관한 것입니다.
수학뿐만 아니라 모든 공부를 하다보면 사고가 한 단계 발전할 때마다 본질적인 고민이나 의문이 들 수밖에 없으나, 마땅히 곧바로 물어볼 곳이 없다면 뒷전으로 미뤘다가 까먹거나, 한 문제에 시간 소요가 너무 크다는 불안감에 대충 이해하고 넘어가고...
가장 지양해야 할 현상입니다.
얼마 안 남은 시기일수록, 수능에서 9평과 똑같은 결과를 마주하고 싶지 않다면 꾸준히 본인의 약점 단원에 대해 깊이 있게 파며, 가까운 멘토 혹은 개인 과외 선생님께 의문이 드는 모든 점에 대해 즉시 질문하세요.
학교/재수학원에 즉각 답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없다면 이렇게 SNS를 활용한 질문 시스템도 좋습니다.
어떻게든 본인의 약점을 찾고 이를 극복하는데 초점을 두고 공부해야 할 시기입니다.
TEAM 수리남에서 다양한 등급대의 학생들과 상담하고, 실질적 백분위를 올리며 쌓은 노하우를 기반으로, 9모 이후 2달 간의 공부법에 대해 간단히 작성해 보았습니다.
수능 공부와 관련하여 추가 질문이 있거나, 본인의 공부법에 대해 상담이 필요한 경우, 또는 곧 오픈 예정인 <TEAM 수리남의 '25 수능 대비 파이널 실모반>에서 적용하고 있는 시스템이 더 궁금한 학생들은, 아래와 같이 문의해주시면, 성심성의껏 답변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EAM 수리남이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작수 성적(현역) 13232(언매미적생지) 인서울 대학 다님(이과였으나 문과로...
-
쳐먹는거임 레전드 상여자
-
보면볼수록 아동애닌가 의심이듦
-
이제 나도 대치키드임
-
아님 뭐 여러 슬픈일아니면 안먹음
-
얼버기 1
지금 기상
-
나 못생김 9
nail 생김
-
강기원 즌1 0
쫑느 즌1 수2부터 Qed_N까지 커리탔는데 재수생이라 기출도 다 풀었고 해서...
-
난 매운거라면 바로 노예가 되버림
-
bxtre.kr/
-
나 잘생김 3
jar이 생김
-
엄마 미안해 3
나 오르비해 ㅠ
-
하남자 TMI 14
난 매워서 진매를 못먹는다
-
누난교수나는학생
-
사실 초 엘리트 ms 영재반들의 활약임
-
이거 그래서 채팅에다가 영혼담는 거 어케하는 거임? 0
막 우악이이익하면서 그럴수 있어 괜찮아! 이게 최대한의 영혼을 영끌한거다
-
라면먹어야겠다 진매로 간다
-
가렌.. 0
-
화해시킴
-
난 차은우할래
-
지적유희로 할만한데요 중학생때 열심히 한듯,,,
-
거의 코끼리임 맞아보실 분
-
잠이 안오노 2
아까 수특푸느라 머리를 너무 많이 씀
-
컵라면 먹을까 18
먹으라고 하셈
-
빠르게 수능을 완주해내겟다는 뜻도 잇다만 남들 신경 안 쓰고 내 페이스 유지하면서...
-
뿌직 헤헤
-
음악 얘기 보고 ptsd 왓음순간 눈이 뒤집혓음
-
잠이부족해서 그런게 분명
-
팬티 달래주는 중임
-
엉덩이에 누워잇음
-
뉴비입니다. 5
3덮 치고나서 오르비 몇번 들어왔다가 어느순간 이렇게 새벽까지 보고 있네요. 처음엔...
-
내 손이랑 발이랑 코랑 분신 보면 키 190은 찍어야하는데
-
안녕히 주무세요 4
-
미쳤다 ㅇ이건
-
특히 손 발은 존나 큼
-
뻥임뇨
-
왜 나는 근데 몸무게가 이러지
-
뻥임
-
재수생 달린다
-
뻘글장인 찾아서 함 물어봐야겟음
-
정글링해야겟다 0
ㄱㄱ
-
뻥임
-
비가 언제와요? 5
벚꽃은 못보겠군
-
나 키 1cm임 3
뻥임
-
이거 외워야함 9
1001=7*11*13ㄹㅇ임,
-
북향이라 그런가 밤에는 아직도 겨울같다
-
나 고1때는 210cm는 찍엇는디
-
데이트하러가기로함 11
바지랑 데이트임
-
비무장지대에 있는 유일한 마을이라네요,,,
-
남자면 좋은 점 4
분신이 잇음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