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학 선생님의 두부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114962
수학실모라는 것의 정체성 및 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어제 쓴 글을 보충해보려 합니다.
우선 이해를 돕기 위해
이명학 선생님의 썰 하나 보고 가시겠습니다.
외국에서 받은 충격 #1-두부편 (youtube.com)
이 영상에서는 칼닦는 두부를 맛보는 선생님의 모습이 코믹하게 나타나 있습니다.
이 두부는 그냥 칼만 닦으라고 갖다놓은 것인데,
용도에 맞지 않게 사용하였기 때문이겠지요.
그러던 어느날,
사람들이 너도나도 문득 칼닦는 두부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리고 하나 둘씩 호기심에 이걸 먹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심지어는 손님들 사이에 이 두부가 맛있어야 찐맛집이라는 믿음이 생기고,
몇몇 레스토랑도 이러한 손님들의 기호를 맞추기 위해서
칼닦는 두부에 간을 하기 시작하면서 이를 메인 요리로 내세웁니다.
그 결과, 손님들도 레스토랑을 선택할 때
이 칼닦는 두부가 얼마나 맛있는 지에 주목하게 되는데요.
칼을 닦은 후 이 두부를 맛있게 먹어야 메인요리도 잘 소화시킬 수 있다는 믿음이 생기면서
레스토랑 맛집=칼닦는 두부 맛집
으로 통하게 됩니다.
이상, 현재 수학 실모 메타에 대한 저의 생각을 예시로 들어보았습니다.
요즘 학생들이 수학 실모를 선택할 때
개별 문항의 퀄리티가 좋은가? 배울점이 많은가?
등을 많이 고려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저는 이러한 요소들이,
위의 예에서 '칼닦는 두부의 맛'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원래 실전모의고사는 100분이라는 시간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용도입니다.
시간을 정확히 재고,
100분동안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체크하면서
부족했던 사항들을 복기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쉬운 문제 같은데 풀이방향이 보이지 않을 때:
일단 넘어갈 지 조금 더 붙잡을 지 자신만의 기준 세우기.
다른 문제에 지장이 가지 않도록 마인드컨트롤 하는 연습 등등...
풀이방향은 보이는데 계산실수가 계속 나올때:
자신의 풀이에서 계산실수를 잡아내는 연습, 그 과정에서 긴장하지 않고 의연함을 유지하는 연습 등등...
풀긴 했는데 정답인지 확신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을 때: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검토하는 방법 고민,
만약 그게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다른 문제에 지장이 가지 않도록 어떻게 마인드컨트롤을 해야할 지 고민 등등...
이 외에도 각자의 스타일에 따라 다양합니다.
특히 수학실력에 비해 점수가 나오지 않는 케이스라면 더더욱 다양한 훈련 소재가 있겠죠.
이러한 연습을 하려면,
실전모의고사는 수능과 유사한 난이도와 단원 배치, 문항의 서술을 하고 있어야할 것입니다.
이 30개의 문항은 그저 여러분들이 실전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재료일 뿐이에요.
개별 문항 자체로 어떤 수학적인 교훈이나 가르침이 적더라도
이런 훈련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계산실수는 소위 배울점이 많은 문제에서만 하는건 아니죠.
오히려 그와 정 반대인, 계산량이 다소 많은 문제에서 계산 실수가 나기 쉬울 것이고
이 문제가 더 좋은 훈련 재료가 될 것입니다.
(물론 계산량이 너무 많으면 수능과의 유사성이 떨어지겠죠. 그래서 '다소 많은 문제'로 한정하였습니다.)
또한 풀었는데 확신이 없는 상황은, 수학적인 교훈을 주는 문제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도리어 문제들이 저마다 수학적인 의미와 교훈을 담고 있으면
아무래도 난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그와 별개로 수능시험지와의 유사성도 떨어지게 됩니다.
수능은 출제자들이 여러분들에게 수학적인 의미와 교훈을 가르쳐주는 시험이 아니라,
0점부터 100점까지 줄을 세우기 위한 것입니다.
물론 배울점이 있는 문제들도 출제되지만,
어떻게 하면 만점자 수나 등급컷을 원하는 수준에 맞춰서 줄을 잘 세울 수 있을 지가 중요한 시험입니다.
따라서 저는 실전모의고사에서
문항 하나하나마다 여러분에게 어떤 수학적인 교훈이나 가르침을 줄 필요가 있는가? 라는 의문이 듭니다.
칼닦는 두부는
칼을 넣었을 때 뭉개지지 않도록 어느정도 단단하고,
칼이 잘 닦일 수 있도록 깨끗하면 될 것입니다.
맛있는 두부가 먹고 싶다면 두부를 요리하는 식당을 가면 되지,
레스토랑에서 칼닦는 두부를 먹어야 하는건 아니잖아요.
마찬가지로, 문제로부터 수학적인 교훈이나 가르침을 얻고 싶다면
N제나 인강 교재 또는 기타 시중 문제집에서 찾으면 충분히 많을텐데
이걸 실전모의고사에서까지 찾아야할 필요가 있는가? 라는 생각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습니다.
----------------------------------------------------------------------------------------------------------------
이 글은 제가 2020년에 모 카페에 썼던 것을 가져온 것입니다.
그리고 원본은 2018년 오르비에 있구요.
(링크: https://orbi.kr/00018649894 )
이렇게 4~6년전의 저는 변화하는 실전모의고사 시장에 대해 의문이 많았습니다.
물론 그것이 도움이 되니까 유행하는 것이라 생각하면서도
실전모의고사라는 것의 정체성이 희미해지는 것에 대한 우려가 있었는데요.
그리고 시간이 흘러...
그동안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수학 실모에 대해 고민하고 연구한 결과,
현재까지 내린 결론은 어제 쓴 글에서와 같습니다.
즉, 최상위권 학생들에게는 꼭 두부로 칼을 닦을 뿐만 아니라 그걸 맛보는 것도 학습에 도움이 되지만,
(실모 한 세트를 푸는게 재미가 있고, 집중이 잘 되며, 어렵게 나오는 시험을 대비할 수 있고,
여기에 모래주머니 효과까지.)
그외 절대다수의 학생들은 두부의 맛까지 볼 필요가 없고 두부로 칼만 잘 닦으면 된다는 것입니다.
그게 그 두부의 존재 이유이니까요.
이러한 점을 떠올리면서 실전모의고사를 학습해보시면 어떨까하여 몇 자 더 적고 갑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구 커리 0
고2 때 물화생하고 수능 지구하려고 하는데 현재 노베임 대성, 메가 다 있는데 커리...
-
과탐과목을 시작하려고 하는데요 첫시작을 (개념터득) 시중문제집 하나 구매해서 독학을...
-
1편 : https://orbi.kr/00024342767 참고로 올리는 시간은 제...
-
올해가 개정되기전 마지막 수능이라 자료 대방출합니다! 자료는 1~4단원 총...
-
지금 고 2고요 학교에서 화1 생1만 배우고 있고 요번년도에 다 끝내요. 근데 전...
-
과학탐구(생1, 지1) 인터넷강의 이렇게 들으면 될까요..? 13
생1은 윤도영 올어바웃지1은 오지훈 개념완성이렇게 들으려고 하는데, 어떤가요?생1은...
-
과탐 고민 5
화1, 생2러입니다 제가 겨울방학과 여름방학을 제외하고 생2에만 거의 올인을 한...
-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위해서 무료 과외 합니다. 저는 수원 지역 모 의대 재학...
-
과탐인강 배기범하고 오지훈 지금 사면 이번수능까지만 볼수 있는건가요? 다음해...
-
8월되면 인강실모도 슬슬 나오고 할텐데 요즘은 풀 게 없네요 생1 시대인재 반이라도 가야 할까요
-
케미 옵티마 0
케미 옵티마 개정판 언제쯤나올까요? 빨리풀어보고 싶어요 ㅠㅠ
-
작년에 물1생2를 했는데 둘다 등급이 ... 그래서 한과목만 바꾸려고 하거든요!...
-
화1 물2 vs 물1 지2 vs 물1 생2 vs 물1 화2 36
재수 결심한 고3입니다!....ㅠ 무튼 현재 서울대로 목표를 확고히 다진상태인데요....
-
저희학교에선 물1화1생1 다배웟구요 제가 수업은 물1만들었어요(공부한수준은 진짜...
-
6평 11122(98 100 100 41 44) 9평 11114 탐구 화1 생2...
-
안녕하세요! 오늘 핵모의평가를 실시합니다. 일단 말해드려야 할 점은... 저는...
-
이노베이션 화학1 final 모의고사 검토진 모집. 3
기존의 검토진 중에 이탈하신 분이 생겨서 1~2명 정도 추가 모집하게 되었습니다....
-
올해는 저렇게 평범하게 유지되는건가? 사람수가늘어서저러나..? 권위자형들 분석좀
-
생2를 2년연속으로 망해보니 두려워요지2는 어떤식인가요? 전 생2의...
-
안녕하세요 이번에 화공과에 들어가게되는 15학번인데요ebsi 에서하는 물리1,2...
-
생2는 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과목인가요? 올해 수능처럼 극헬로 나와서...제가...
-
과학탐구 선택 0
저는 올해 2학년에서 3학년으로 올라가는 이제 진짜 수험생입니다ㅠㅠ 서울대에...
-
딱 천체만 놓고 봤을때 인강 선생님 누가 짱짱맨이에용?? 15
천체만 들을려구 하는데요 인강 들어보신분 오지훈 김지혁 최석영 박선 선택 넘...
-
인강 들어보신분들 추천부탁드려요!
-
이번에 5월부터 지구과학 1을 시작했습니다 개념서로 쭉 읽으면서 외워나가고 학원...
-
운에따라 결정되는 수능 탐구 점수 - 15년 6평 물리2를 중심으로 4
표준점수 증발전 원점수 45 표점 66 백분위 95 원점수 44 표점 66 백분위...
-
과탐 2 치면 가산점 주는데도 있다는데 그 대학 수가 많은가요? 글고 그 가산점이...
-
화학2 생물2 무리일까요..?
-
교육과정 바껴서 기존의 문제집 중에 어느게 나은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평가원에서...
-
재수n수분들 지금 다들 탐구공부 어떻게 하시나요?? 2
저 화일이랑 생이하는데 화일은 처음이구 생이는 작년에 하던건데.. 진도가 둘다 너무...
-
일단 재수생이구여 ... 목표는 연대 의대구...물1 생1 을했었는데.. 물1같은...
-
제가 현역때 예체능이라 공부를 아예안해서 과탐을 새로시작하는데 하이탑 화학1을 사서...
-
회로마다 빨리풀리는 테크닉이 다릅니다.아그리고 숫자는 아무거나둔거라 숫자가 ㅈ같이...
-
제가 화1공부 전혀 안하고 수능 선택과목으로 화2를 했는데요.... 논술준비때문에...
-
화학고수분 한문제만 풀어주세요... 삼양성자산과 염기의 적정에서의 PH구하기 0
삼양성자산 H3A 0.1M 50mL용액을 NAOH 0.1M용액으로 적정할때 주어진...
-
화1 질문입니다 0
N-H 결합이있으면 수소결합이 물과도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나일론같은경우 분자내...
-
생2 질문이요 2
잎이 떨어졌는데 반절은 물에 닿아있고 반절을 그냥 땅에 닿아있다고 하면 물에 닿은...
-
-----------------------------------------------...
-
화1 탄소화합물 2
아닐린하고 아세트산하고 축합반응시에 중화반응이라고 할수 없는이유가 뭐인지 알려주세요...
-
1.알코올은 알칼리 금속과만 반응하여 수소기체가 발생한다. 2. 카르복시산은...
-
고산지대 사람들은 헤모글로빈이나 적혈구 수치가 높은이유? 3
단순히 적응을 했다라고하면 알겠는데 그 고산지대에서 생활하면서 주위환경의 어떤...
-
안녕하세요 비루한 고3 화2선택자입니다 평가원문제중에서 보통 증기압곡선문제 그래프가...
-
삼투압이 높다는게 어떤 상태인거죠????정확하게???? 용매가 많이 들어온 상태가...
-
화학전지 원리에서 (-)극에서 산화가 일어나면서 전자가 나오잖아요 근데 그 전자가...
-
http://gall.dcinside.com/list.php?id=scienceexa...
-
수능 물리1적인 관점에서, 재질이 동일하다고 제시되었는데 비저항이 다를 수...
-
물리1의 굴절파트 기출문제를 보면 공기에서 유리판으로 들어가는 빛에서 파장이 더...
-
이번 중간고사에서 생물1문제중에서 쓸개즙이 쓸개에서 분비된다가 옳은 진술이라는...
-
2006년 9월 모평을 보고 의문이 생겼는데요 14번과 관련된 질문입니다(굳이...
칼닦는 두부 썰 개웃긴데 ㅋㅋㅋㅋ
이명박으로 봤다

두부..감옥갔다와서..
불미아가..

좋은 글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마파두부덮밥 땡긴다
이명학쌤 저번에 두부 외상으로 사가시는거 봤어요!
님아.
…;; 부끄러운 줄 아세요
아 나도 하려다 참았는데 이눔아
좋은 글에 개추 누르고 갑니다 !:)
두부두부두부 으쌰으쌰으쌰으쌰
와.. 비유가 정말 .. 잘 읽었습니다
이두부 맛있게 맵다!
결론은 기출이다인가욤
순두부도 되나요?
취두뷰면 어떻게함 ㅈㅅ..
댓글 개썩창 났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