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모평 국어 23번 문제 설명해드립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9077503
안녕하세요.
[해커스 로스쿨]에서 '수능 국어'가 아니라 'LEET'를 강의하는 이재빈 강사라고 합니다.
아까 올려드렸던 24번 문제 해설 글에서 다른 분이 댓글로 요청을 주셔서 글을 남깁니다.
이 시에서 화자인 '백석'은 '북방'인 고향을 떠났다가 나이가 들어서 다시 돌아왔습니다.
그러나 정다운 사람들은 다 사라지고 '늙은 해'와 '파리한 달' '미친 바람' 등 밖에 남아 있지 않은 상황이죠.
여기서 '태반'은 당연히 우리가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 의지하였던 장소인 '태반'을 가리킬 것이며
비유적으로는 내가 태어나고 자란 '고향'을 의미할 것입니다.
고향에 돌아왔는데, 아무도 없네 -> '상실감'입니다.
두 번째 시는 더 간단한데요.
얼음장 밑에 옹기종기 숨어 있는 '피라미 어미와 새끼들 (피라미 가족들)'을 봤는데
그게 마치 내 '가족' 같았다라는 내용입니다.
피라미 가족들이 인간의 눈으로 보기에 얼마나 허접합니까?
이 시에서도 나오지만 인간이 피라미 잡으러 오니까 어미 피라미가 가장 깊은 곳이라고 속이면서 새끼 피라미들 데리고 돌 구석자리로 숨는데
그게 인간이 보기에는 '부처님 손바닥 위에 손오공'에 불과하죠
그런데 그렇게 살아보겠다고 어미가 새끼들 데리고 아둥바둥하는 꼴이
'생가'로 상징되는 자기 가족들과 별다를 바가 없어서 '피라미 가족'에 '자기 가족에 대한 생각'이 투영된 것입니다.
내가 저 피라미 같다고 느낀거죠.
그래서 '피라미 가족' 모습이 꼭 '나의 모습' 혹은 '나의 가족 모습' 같아서 애뜻한 마음이 들었던 것입니다.
-> '서글픔'입니다.
개인적으로 가족이라는 존재가 참 그렇잖아요.
어떨때는 구질구질하고 지겹기도 하면서도 그 모습이 애처롭고 애뜻해서 서글픈 마음을 찡하게 느끼게 하는
그런 존재가 가족이 아니겠습니까.
다들 추석 때는 가족들과의 애뜻한 정을 나눠 보시기 바랍니다.
갑자기 글 쓰고 있으려니 저도 엄마가 보고 싶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 실모 다시 봐야하나요 아니면 보내줄까요 그냥 풀고 빡쳐서 덮어놓기만 했습니다
-
6논술하는데 님들은 이거 학교마다 파이널 다 들으시나요? 아니면 꼭 가고싶은 학교...
-
풍경보는거 재밌자너
-
비판갤을 비판
-
레드불 에디션 뭐임?ㅋㅋ
-
( 사회 원로 1500여 명 시국선언 "2000명 증원이라는 대통령의 근거 없는 옹고집이 의료대란,,,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어야하냐" ) 2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
-
신촌맛집 5
디너맛집 추천해주세요!!
-
현실에서도 비내리네.. 우산 없어서 점심먹으러 비 다 쳐맞고 집옴
-
공통/미적 시간 분배 어느정도로 하시나요?
-
학교에서 풀만한 적당한 난이도의 교재 추천해주세요 16
정시준비하는 고2이고 뉴분감 하고있는데 아직 어렵기도하고 학교에서 난이도 있는 문제...
-
고려대학교 수학과 / 기대모의고사 9년차 저자 대학재학시절 수능(평가원) 현장응시...
-
저번주부터 화1 강준호t 온라인 단과 듣기 시작햇는데 재종 평균을 1등급 컷으로...
-
항상엔진을켜둘게 3
기다릴게~
-
비가 오는 관계로 패스
-
수능인곤가...
-
필수로 들어야할 수업이 자아와명상 1,2(각각 1학점) 불교와인간(2학점)...
-
사랑해요 6
이 한마디 참 좋은말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나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기쁩니다
안녕하세요 가능하시면 31번의 4, 5선지도 부탁드립니다.
1번선지에서 화자가 생가에 있지않은데 어떻게 맞다는건가요?
ㅇㄷ
"에서"가 장소의 의미가 아니라 "~로부터 (감정을 느끼다)"의 의미입니다. 장소적으로 생가에 있다는 것이 아니라 생가로부터 서글픔을 느낀다는 것이죠
23번 논란은 서글픔이 포인트가 아니라 생가에서 부분이 포인트입니다 화자가 서글픔을 느낀 장소가 생가가 아니란 거죠
위 댓글에도 썼듯이, 선지 문맥상 "에서"가 장소의 의미가 아니라 "~로부터 (감정을 느끼다)"의 의미입니다. 장소적으로 생가에 있다는 것이 아니라 생가로부터 서글픔을 느낀다는 것이죠
혹시 문맥상 그렇게 해석해야 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말해줄 수 있나요? 단순히 다른 선지들이 다 틀렸으니 1번 선지라도 맞도록 해석해야 한다는 이유 말고요
시 내용이 그러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