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캬난빌 · 1215868 · 06/14 02:05 · MS 2023

    작수19번

  • [파급효과 사문] 공식 계정 · 829399 · 06/14 02:06 · MS 2018

    산업사회 정보사회 채점 문제요?

  • 캬난빌 · 1215868 · 06/14 02:07 · MS 2023

  • [파급효과 사문] 공식 계정 · 829399 · 06/14 02:12 · MS 2018

    이런 문제 제가 푸는 팁(?) 알려드릴게요

    (1) 아니요, 1점일 때 : 'A는 B에 비해 정보 제공자와 수용자 간 구분이 명확하다'가 맞는 선지라고 머리로 생각하고 바로 A와 B를 구합니다.

    아니요, 0점일 때 : B는 A에 비해
    예, 1점일 때 : B는 A에 비해
    예, 0점일 때: A는 B에 비해

    이 문제의 모든 메커니즘은 여기서 풀리는 것 같아요
    ㄴ 선지도 같은 논리로

    (2) 0점이라면 들어갈 수 없다 -> 1점이라면 들어갈 수 있다고 놓고 풉니다. 그럼 ㄴ 선지와 같은 논리가 됩니다.

  • Yundori · 1257336 · 06/14 02:08 · MS 2023

    개념은 크게 어려운건 없죠
    문제가 괴리가 클 뿐
    도표도 도표지만 요즘은 사회집단 구분하는 문제 어렵게 내는게 개인적으로 가장 까다롭습니다.
    24년도 9월 모의평가 7번 문제가 그 예시이죠
    추가로 제 기준으로 나름 신유형이었던 24수능 6번도 어려웠죠

  • [파급효과 사문] 공식 계정 · 829399 · 06/14 02:13 · MS 2018

    이거 진심으로 안 풀어봤는데 기출 두 개랑 시중 문제들 좀 풀어보고 올게요 혹시 조금이라도 빠르게 풀어 내는 방법이 없는지(저도 처음 풀 땐 노가다로 풀었지만)

  • Yundori · 1257336 · 06/14 02:14 · MS 2023

    저는 그냥 처음부터 갑을병 얘네들 소속집단 따로 정리하면서 풀었습니다.
    어차피 선지에서 갑이 언급된 집단 고르라는건 다시 보면서 가능하지만 소속된 집단 고르는건 미리 정리할 필요가 있으니까요

  • [파급효과 사문] 공식 계정 · 829399 · 06/14 02:19 · MS 2018

    제가 봐도 다 적어두고 푸는게 빠른 것 같네요
    선지 1대 1 매칭으로 하면 시간이 훨씬 더 걸리는 문제..

    작수 6번 풀어봤는데 저도 처음 풀었는데 버벅거렸던 기억이 나네요 이제 기출이니 비슷하게 나오더라도 학생들이 어렵지 않게 풀어낼 것 같은

  • 무지성논술러 · 1125198 · 06/14 02:11 · MS 2022

    집단 갯수 그만 세고 싶다고 아 ㅋㅋㅋㅋ 갑이 자발적 결사체에 4개 속해있는지 안궁금해

  • [파급효과 사문] 공식 계정 · 829399 · 06/14 02:13 · MS 2018

    위에 답글 22

  • 무지성논술러 · 1125198 · 06/14 02:15 · MS 2022

    감사합니다. 이런 형태가 다른 개념에서도 적용될 부분이 있을까요?

  • [파급효과 사문] 공식 계정 · 829399 · 06/14 02:22 · MS 2018

    이런 형태가 다른 개념에서 적용될 여지는 없죠

    근데 자료 수집 방법, 일탈 이론에서 과거에 '적용할 수 없다'고 나온 부분, 문화의 속성, 문화 변동 등등 세 가지 이상의 개념이 나오는 파트에서 눈속임용은 얼마든지 개발해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문화 변동에서 읽을 거리를 많이 주고 사회 집단처럼 질질 끌게 하는 문제가 나올 수 있을 것 같아요.

  • Yundori · 1257336 · 06/14 02:16 · MS 2023

    참고로 기출에는 없지만 가끔 시대인재같은 곳에서 출제한 사설 풀어보면
    도표는 정말 가관입니다.
    값이 ’최소 15~최대 20이다‘처럼 범위 형식으로 나오기도 하고요
    진짜로 밴다이어그램까지 그려서 풀어야 하는 문제도 있습니다.

  • [파급효과 사문] 공식 계정 · 829399 · 06/14 02:26 · MS 2018

    제가 직접 컨텐츠를 평가할 순 없지만, 과거 계층 문제에서 나왔던 최소 최대 범위 설정의 요소가 사회 보장 제도 관련 표 문제에서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고 출제를 하시는 것 같아요. 상위권 수험생용 컨텐츠이기도 하고, 서바이벌 같은 경우에는 그 특성 자체가 어렵게 문제를 내는 목적도 있다 보니 그런 요소들을 접목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