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과통계 신기한 풀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409634
이런 문제 식 세우기 귀찮지 않나요?
구분구적법의 원리를 이용해 생각해보면
f(k) < 2f(2k) 일때는 P가 증가하지만,
f(k) > 2f(2k) 일때는 P가 감소합니다.
f(2k)앞에 2가 붙은 이유는 2k의 변화율이 k의 변화율의2배이기 때문이죠
마무리로 그래프의 대칭성을 이용해 식을 세우면 깔끔하게 k를 구할 수 있어요!
정석적인 풀이입니다.. 생각하기도 싫네요..
확통풀다가 아이디어 생각나봐서 적용해봤어요!
이 풀이가 틀리지 않은 풀이인지는 모르겠지만 답은 일단 맞게 나오네요
수학적으로 오류가 있는지 혹시 알게 된다면
댓글로 피드백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디 유퀴즈 나온걸 놓쳤네
-
붙으면 진짜 만족하고 이제 가겠습니다. 진짜 감사하면서 살겠습니다. 뭐든 다 할 수 있어요.
-
씨발. 자이게 2509 비문학 분석 드가자..
-
원점수는 먼가먼가인데 수치는 잘 뜨니까 기분은 좋다
-
D-15 1
보름밖에 안남다니 시간 진짜 개빠르네
-
이시점 여기 주면 가냐 17
경북대학교 전자공학부 (모바일공학 전공)
-
Gs, cs, em 등등이 유의미하게 늘어날수 있음?
-
10덮 0
84 92 77 47 44 언미화생1 서성한이상만 가고싶다
-
요새 몇시간씩 잠? 전 10시간자서 조짐
확통 모르지만
근데 생각해보니까 확통하시는 분들은 구분구적법 몰라서 풀이 이해 안가고,
미적하시는 분들은 확률밀도함수 몰라서 모르실테고 참 ㅋㅋ…
제가 이해한 대로라면 f(k)를 넓이 변화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보고 풀어서 k가 증가할 때 -f(k)+2f(2k)>0 이여야 넓이가 늘어나니 f(k)<2f(2k)여야 P가 증가하는 방향이라고 생각했는데, 왜 아닌지 설명해줄 수 있나요...? 혼자 계속 고민했는데 안 나와서ㅠㅠ
아 부등호 거꾸로 적었다 ㅈㅅ…
지적 감사합니다!

적분하면 F(2k)-F(k)니까 미분해서 2f(2k)-f(k)=0 일때 최대라고 생각해도 똑같네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