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창한미미래래 [1299504] · MS 2024 · 쪽지

2024-06-09 01:18:13
조회수 2,677

6모 영어 31번은 문제가 “전혀 없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351958

저는 영어권나라에서 5년정도 patent attorney를 목표직업으로 삼으며 공부했었고 서울대 텝스 입학시험도 일절의 공부없이 영어면제 (최고 등급)뜰 정도로 영어에 대한 실력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래 두 단락은 이번 사태(?)와 관련없이 수험생들을 위한 조언같이 쓴 글로, 문제가 없다는 주장의 근거는 아니라고 미리 밝힙니다.


수능영어는 일반 회화의 영어와는 당연히 다릅니다. 엄연한 영어권나라가 아닌 타국에서 제2외국어로 영어를 하는 한국인이 출제한 영어시험이고 

그러기에 지금까지 기출에 출제된 논리구조, 낚시 포인트들을 학습해야 빠르게 고득점이 가능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객관식 언어시험상 실전에서는 “가장” “가까운” 답을 고르는게 맞습니다. 다른 언어과목인 국어에서도 여러개 답”같아 보이는“ 경우는 많지만 평가원의 기출상 학습했다면 답 고르기에는 지장이 없습니다. 일부가 끌고오는 생2 하디-베인과는 전혀 다른 문제죠. 언어시험과 수과학시험의 가장 큰 본질적인 평가형식의 차이때문이죠. 언어시험은 평가원이 말그대로 왕입니다. 그렇다면 그런거에요. (특정 명백한 오류 제외, ****답의 논리구조는 그간 출제했던 거와 정합적으로 일치하기에****)




무엇보다도 “전혀”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Storage는 내용일치상, 중심화제의 대조적인 소재를 고려했을때 너무나도 어색합니다. Medium in the digital environment is not the part of the storage라고 한다면 내용일치 위배죠. <이걸 답으로 생각하고 (넣어보지않고) 골랐거나> <진심으로 이의제기> 한다면  *****언어 자체에 대한 감각이 없다 못해 언어를 매우 기계적으로 공부한 흔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기계적으로 풀었다는 것은 아래 1번을 뜻합니다.) 글을 읽고 오답인 storage를 넣었을 때의 위 문장이 어색하게 느껴지지 않는다면 명백한 본인의 언어이해 능력부족입니다. 

틀렸다면 아래 경우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1. 그동안 “기계적으로” 키워드 잡아서 무지성으로 빈칸을 푼 경우 (제가 생각하기에 평가원이 저격했다고 생각하는 부분이죠)


  -> “적어도” 빈칸 문장은 예민하게 읽으셨어야죠. 본인 문제이니 앞으로 잘 읽게 실력 향상하면 됩니다. 이 문제는 문제 없습니다.


2. message 뜻을 매우매우 수직적으로 해석+위 1번과 결합 -> 오답



누가 이걸 무슨 추상명사로 해석해서 preservation을 paraphrasing 후, it is not  the media itself but the information on the media that needs to be preserved. 이 문장에서 media는 preserved 될 필요가 없다; media is not part of the ________에 storage도 된다 이러는데. 

추상명사고 뭐고 서술어가 is not part of 라고 하면 내용일치상 너무 어색해요..가장 적절한걸 고르는 거라면 무조건 배제해야합니다. 무슨 강사는 이의제기어쩌고/ 어떤 수강생은 무슨 오점을 남기네 /교육자의 양심을 생각해서 이의제기에 동참해 달라 아니면 실망이네 / 어쩌네 하는데 웃음만 나옵니다. 개탄스러워서요. 엄한 다른사람한테 이상한 잣대 들먹이며 화내지 마세요. 틀렸다면 본인 잘못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