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태는 찬성해야 하는 이유(투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846373
낙태 반대의 논리
(논의를 위해) 태아는 수태 순간부터 사람이라는 점을 인정하기로 해보자. 임신 중절을 반대하는 논증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내가 보기에 대략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사람은 누구나 생명권(right to life)을 갖는다. 물론 산모는 자기 신체에 대한 결정권을 갖는다. 이 점은 누구나 다 인정한다. 그런데 사람의 생명권은 산모의 신체 결정권보다 분명히 우선한다. 따라서 태아를 죽여서는 안 된다. 즉 임신 중절을 해서는 안 된다. 이 논증은 그럴듯해 보인다.
낙태 반대 논리의 허점
하지만 다음과 같은 상황을 한번 생각해보기로 하자. 당신이 아침에 눈을 떴는데, 당신이 침대에 의식이 없는 바이올리니스트와 등을 맞대고 누워 있는 것을 알게 된다. 의식이 없는 그 사람은 유명한 바이올리니스트이다. 그 사람은 치명적인 신장병을 앓고 있다. 음악 애호가 협회에서 모든 의료 기록을 뒤져 그 사람과 맞는 혈액형을 가진 사람은 당신 뿐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래서 그 사람들이 당신을 납치했고, 어젯밤 그 바이올리니스트의 순환계를 당신의 순환계에 연결하는 수술을 해서 당신의 신장은 이제 당신 자신의 혈액 뿐만 아니라 그 바이올리니스트의 혈액까지 걸러낼 수 있게 되었다. 병원장이 당신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음악 애호가 협회에서 당신에게 이런 일을 한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미리 알았더라면, 우리는 이런 일을 허락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 사람들이 결국 그렇게 했고, 그 바이올리니스트는 이제 당신의 순환계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연결을 끊으면 당신은 그 바이올리니스트를 죽이는 셈이 됩니다. 하지만 너무 신경 쓰지 마십시오. 9개월이면 됩니다. 그때가 되면 그 바이올리니스트는 병에서 회복하게 되고, 그때가 되면 당신과의 연결을 끊어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이런 상황을 받아들이는 것이 도덕적 의무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물론 당신이 이런 상황을 받아들인다면 당신은 대단한 사람일 것이며 아주 친절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를 받아들여야 할 의무가 있는가? 만약 9개월이 아니라 9년이라면 어떤가, 아니면 그보다 더 길다면 어떤가? 병원장이 다음과 같이 말한다면 어떤가? “내가 보기에도 참 안됐군요. 하지만 당신은 그 상태대로 평생을 바이올리니스트와 함께 침대에서 보내야 합니다. 왜냐하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명심해야 하기 때문이지요. 모든 사람은 생명권을 가지며, 바이올리니스트도 사람입니다. 당신이 신체 결정권을 갖는다는 것도 인정합니다. 하지만 사람의 생명권이 당신의 신체 결정권보다 우선합니다. 따라서 당신은 그 바이올리니스트와의 연결을 끊어서는 안 됩니다.” 내 생각에, 당신도 이것은 터무니없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 점은 그럴듯해 보이던, 앞서 언급한 애초의 논증에 뭔가 문제가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Judith Jarvis Thomson, “A Defense of Abortion”, 1971)
한번 이 논리를 반박해보실래요? 저는 수업을 듣는데 반박하기 어려웠던지라 낙태 반대하는 여러분의 의견이 필요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원래 전형태 강의 들으면서 그읽그풀식으로 풀다가 강민철 강의 다들 추천하길래 올해는...
-
스카옆자리 0
지인선풀고 심찬우듣던데..이건 백퍼겠지? 흠흠 미하리아냐고 물어볼가
-
강해졌다
-
쉽든 어렵든 매번 틀리는데 어케고치죠 그냥 저런 도형만 보면 막막해서 풀이 방향...
-
수학엔제 추천좀 2
1등급정도
-
실습셍들 0
어르신들한테 k호통이랑 k욕듣더니 구석가서 울고잇내 나약한자식들..아직 너흰 똥을 맞아본적이 업다
-
공통 난이도 어떤가요 비슷함?
-
기하 3 (기하완전 노베 수1수2 작수기준 14 15 20 21 22 틀림...
-
국어 98 독서지문이 약간 빡빡한 감이 있긴 했는데 모든 문제가 선지에서 너무 쉽게...
-
영어 5~6노베면 조정식t 김지영t 김기철t중에 누구를 들어야할까요? 0
5~6노베입니다 물론 단어도 정말 열심히 외울거고 메가 패스 끊은만큼 강의도 좀...
-
난 4번이라고 설명하긴 했는데 2번 선지 이거 이렇게 내면 안될 것 같은데 이의제기...
-
나만 그런가 생1이 지1보다 개념양이 압도적으로 많은 거 같은데 4
공부량이 말이 안댐..
-
인데놀 2
10mg만 먹었는데도 성능 확실하네 오히려 많이 먹으면 더 처질듯
-
원래 난 분명 국어에선 문학보다 독서를 좋아했었고 수학에선 그나마 수2를 수1보단...
-
26,27 수능 보면 행렬, 순열, 조합, 복소수 공부해야 하나요??
-
발로란트하고싶다 0
내일 밤부터 달려야겠음 개땡기네
-
네
-
저걸 현장에서 풀 수 있다고? 개소리 하지마라 국어지문보다 볼륨이 더 길어 젠장할...
-
거의못접속하고잇서요ㅠ 혹시제칼?럼을기다리시는분들이계시다면 5월안에는어려울것같슴미다........
-
무슨 2과목도 아니고 ㅅㅂ
-
현역 수학 N제 0
보통 몇권씩 푸시나요? 뉴분감 후에 드릴 시리즈만 해도 1등급 괜찮나요? 확통이에요
-
ㅈㄱㄴ
-
생명 모의고사 1
16모의고사 RGB 모의고사 같이 기본문항 모의고사 중에서 가장 퀄 좋은 게 뭔가요?
-
국어 영어 수학 어땠어요?
-
원래 내일이 4
월급날인데 내일 주말이라서 오늘 들어옴 ㅎㅅㅎ
-
하방높이는 공부 얼마나 열심히 했냐? 에 따라서 안정성이 크게 달라지는거같아요.....
-
혹시나해서 찾아봤는데 역시 이미 있었고
-
ㅇㅂㄱ 0
ㅇㅂㄱ
-
3일동안 못마시고있어... 술을 내놓아라
-
선언한다 일생 더 안할거야 시험 점수를 보고 훅 꺾임
-
졸업사진 찍는 중 12
대기시간이 너무 길어요...호에에에
-
케인 씨는 엉겁결에 입을 열어 입안에 가득찬 배를 내보였다.
-
엑셀 푸는데 나오는데
-
재발 투표로 알려주세요ㅠ 너무 궁금해요
-
자고일어났더니 왼쪽어깨가 담온것같고 아픈데 올비언님들은 이럴때 어떻게하시나요? 파스붙이시나요
-
수학 N제 3권 정복할 수 있다면 (내가 아는 N제 리스트 다 넣어둠..) 6
뭐풀거임? 이거 3개만 풀면 내가 원하는 점수는 ㅆㄱㄴ이다 싶은거 내가 아는 N제...
-
대학 공연에서 우는연기 잘해서 칭찬받음뇨
-
rgb모의고사 0
백호 듣고 있는데 rgb 풀어도 상관없나요? 해설 같은 거 달라서 이해 안되고 그런 부분 없나요
-
도전할 옯붕이 없냐
-
이거 뭐나올까 29
당떨어질때 까봐야징 (맞춘 사람 랜덤덕코 주겠오) 캬라파키 존맛이니 다들 드셔봥...
-
영단어 외울것 0
V단어는 하고있고요 워드마스터 수능2000 계속 할지 아니면 월간조정식 하루분량...
-
절대 반수하기 위함이 아니야
-
독서=>2문제 버리면 지문은 난이도 꽤 있었으나 나머지가 내가 답이라 꼬시는 수준...
-
냉면에서 코다리맛 나는거임?
-
5모 국어 후기 2
65분 100점 감쇠기지문은 진짜 학평 특유의 노맛지문 쇼펜하우어는 지문에 비해...
-
계산도 많은데 준킬구간 빠르게 끝내야댐 브릿지 어려우면 일단 50분 잡고 풀고...
-
뭐라해야되지 독서가 쉽지는 않은데 문학이 너무 쉽긴 하네
-
12번(이게 12번? 미지수 3개?) 11번(이게 11번?) 15번(ㅅㅂ 이게...
-
22 29 ㅋㅋㅋ
-
너무 두근두근해 빨리 들어왔으면 좋겠당
낙태 찬성하는 입장이긴 한데 일단 챗지피티 써서 도와드리자면
바이올리니스트 사례와 낙태 문제는 유사점이 있지만 동일한 상황은 아닙니다. 낙태 반대 입장에서 이 사례에 대해 반박할 수 있는 몇 가지 논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바이올리니스트 사례에서는 강제로 납치되어 연결된 반면, 임신은 대부분의 경우 자발적 성관계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임신이 자발적 행위의 결과라면 그에 따른 결과에 대해 일정 부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둘째, 바이올리니스트는 이미 독립적인 인격체인 반면 태아는 아직 미성숙한 인간입니다. 독립적 인격체의 생명권과 아직 완전한 인격을 갖추지 못한 태아의 생명권을 동일하게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셋째, 바이올리니스트의 경우 평생 또는 9년을 제시하지만, 임신은 9개월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9개월은 일생에 비하면 매우 짧은 기간이며, 이 정도의 희생은 감내할 만한 것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넷째, 임신한 여성과 태아의 관계는 단순한 타인 간의 관계와는 다른 도덕적 함의를 갖습니다. 부모는 자식에 대해 일반적인 타인과는 다른 도덕적 의무를 진다고 여겨집니다.
다섯째, 낙태 반대 논거의 핵심은 태아의 생명권 보호에 있습니다. 설사 이 논증이 일부 극단적 사례에서는 직관에 어긋나는 결론을 낳는다 하더라도, 대부분의 낙태 사례에 대해서는 여전히 타당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반론들이 토론슨의 논증을 완전히 반박하는 것은 아닙니다. 낙태 문제는 매우 복잡한 철학적, 윤리적 쟁점을 내포하고 있기에 간단히 결론 내리기 어려운 주제입니다. 다만 토론슨의 사고실험이 제기하는 문제의식을 인정하면서도, 낙태 반대 입장에서 이에 대해 어떤 반론을 제기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보았습니다. 궁극적으로는 태아의 도덕적 지위, 여성의 자기결정권의 범위, 가족 관계의 특수성 등 낙태 문제와 연관된 다양한 고려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