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를 풀 때 많이들 놓치는 것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828693
2013학년도 수능 문학 문제입니다. 원래 문제의 답을 고르는 건 그리 어렵지 않아서, 내신st로 바꿔봤습니다. 일단 풀어봅시다.
Q. (가)의 화자의 관점에서 볼 때, 다음 밑줄 친 시어 중 시적 의미가 ㉠과 가까운 것을 모두 고르시오.
벗님네 남산에 가세 좋은 기약 잊지 마오
익은 술 점점 쉬고 지진 화전 상해 가네
자네가 아니 간다면 내 혼자인들 어떠리 <제1수>
어허 이 미친 사람아 날마다 흥동(興動)*일까
어제 곡성 보고 또 어디를 가자는 말인고
우리는 중시(重試) 급제하고 좋은 일 하여 보려네 <제2수>
*흥동: 흥에 겨워 다님.
저 사람 믿을 형세 없다 우리끼리 놀아 보자
복건 망혜(幞巾芒鞋)로 실컷 다니다가
돌아와 승유편(勝遊篇)* 지어 후세 유전(後世流傳)하리라 <제3수>
*승유편: 즐겁게 잘 놀았던 일을 적은 글.
우리도 갈 힘 없다 숨차고 오금 아파
창 닫고 더운 방에 마음껏 퍼져 있어
배 위에 아기들을 치켜 올리며 사랑해 보려 하노라 <제4수>
벗이야 있고 없고 남들이 웃거나 말거나
양신 미경(良辰美景)*을 남이 말한다고 아니 보랴
평생의 이 좋은 회포를 실컷 펼치고 오리라 <제5수>
*양신 미경: 좋은 시절과 아름다운 경치.
'남산, 승유편, 창'에 대해 판단을 하시면 됩니다. 스스로 해보시고 아래 내용을 읽어보세요.
참고로 답은 '없다'입니다.
실제 기출에서는 적절한 것을 고르라는 문제로 나왔고, 저 세 선지 중에는 정답이 없었습니다. (당시 정답은 <제2수>의 '중시'였습니다. 되게 쉽죠?)
간단하게 해설해봅시다. 일단 (가)의 ㄱ은 '세사'입니다. 단어만 들어도 그냥 느낌오듯이 속세 그 자체입니다.
(가)의 화자는 이러한 '세사'로 하여금 '험하기도 험하'다는 표현을 하고 있습니다.
즉, 해당 문제는 속세와 같은 의미를 가진 시어를 찾으라는 문제라는 것이죠.
.............
여기서 '피램 병 형신이야?'라는 생각이 들어야 정상입니다.
만약 이렇게 풀었다면, 살짝 위험합니다. '남산, 승유편, 창' 모두 '속세'는 아니기에 틀렸다는 식으로 해결하는 것은 '답만' 맞힌 풀이거든요.
이 문제가 물어본 것은, '(가)의 화자의 관점에서 ㄱ과 가까운 시적 의미를 가진 것'입니다. 다시 말해, '속세'가 아니라 '(가)의 화자가 싫어할 만한 것'을 고르라는 문제인 것이죠.
물론 (가)가 아주 전형적인 고전시가인 탓에, (가)의 화자가 좋아하는 것은 자연이고 싫어하는 것은 속세라는 단순한 구도가 나오고, 이에 '속세와 같은 의미를 가진 시어'를 찾으라는 문제로 해석해도 결과적으론 맞는 풀이가 되지만, 정확하게 풀어낸 것은 아니게 됩니다.
나아가, 만약 속세vs자연 구도를 잡고 문제를 풀러가면 '창'이 되게 애매해집니다.
'남산'이나 '승유편'은 누가 봐도 자연 쪽 시어인 것 같은데, <제4수>의 화자는 '창'을 닫고 애나 보겠다며 자연(남산)에 놀러가자는 <제3수> 화자의 권유를 거절하고 있거든요. 단순한 속세vs자연 구도를 이용하면 자연의 반대는 속세이기에, '창'은 옳은 선지가 될 수도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 수 있는 것입니다.
원래 문제처럼 명확한 정답이 있다면 낚이지 않겠지만, 제가 보여 드린 것처럼 선지 세 개만 가져 오면 생각보다 헷갈리는 학생들이 많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창'은 왜 답이 되지 않는 것일까요?
'창'이라는 단어 자체만 가지고는 어떠한 의미를 파악하기 힘들지만, <제4수>의 맥락을 따져 읽어 보면 "나는 그냥 창 닫고 애기나 보면서 쉴래~"라는 의미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즉, 여기서의 '창'은 가족과 외부의 경계가 되어 화자로 하여금 편하게 쉬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죠. (가)의 화자의 입장에서 편하게 쉬게 해 주는 것을 부정적으로 볼 이유는 없으니, '창'은 위 문제에서 옳은 선지가 되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문제를 풀 때 많이들 놓치는 것, 다시 말해 절대 놓쳐서는 안 될 두 가지 요소를 뽑아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발문을 통해 문제가 요구하는 바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연하게들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또 당연하게들 신경쓰지 않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이 문제 외에도 발문을 제대로 신경쓰지 않으면 잘못된 풀이를 하거나 아예 틀리게 되는 문제들도 꽤 많습니다.
조금 더 명료하게 정리하면, '발문을 독해하는 것 역시 수능에서의 평가 요소이다.'라고 할 수 있겠네요.
2) 모든 시어의 의미는 그 맥락을 통해 결정된다.
'창'이라는 시어는 그 자체로 window 이상의 의미를 가지지 못합니다. 즉, 사전적 의미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지 못하는 것이죠.
하지만 '창'이라는 시어가 <제4수>라는 '맥락'을 만날 때, 그리고 이를 '독해'할 때 비로소 '외부와의 경계로 가족과 편하게 쉬게 해 주는 도구'라는 '시적 의미'가 만들어집니다. 수능 문학, 특히 운문문학에서는 이러한 '시적 의미'를 독해해내는 것 하나만 묻는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시적 의미'가 결국 '화자의 내면세계'라는, 운문문학의 주제와 맞닿아 있다는 걸 깨닫는 것이 수능 운문문학 공부의 전부라고도 할 수 있겠구요.
결국 수능 국어의 핵심은 '지문, 발문, 선지를 정확하게 독해하여 의미를 추출하자.'가 되겠네요. 이 핵심을 파고들 수만 있다면, 누구의 강의를 듣든 누구의 교재로 공부하든 잘 해낼 수 있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별로 어려운 내용은 아니었지만, 그만큼 중요하고 기본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캬 1
-
ㅇㅂㄱ 3
-
오늘 시간표 0
1~7교시 자습
-
하사십에기하가없어
-
졸릴때공부어케함 6
수학은 뇌빼도 풀리는데 국어는 졸리면 집중이안돼서 도저히 못하겠음 잠깨는팁좀 ㅜㅜ
-
원점수 보장은 아무도 못해듐 그냥 망상
-
얼버기 0
화이팅
-
.
-
시험맞장까자 10
일단아주조금만잘게
-
병신기상 2
-
버드기상 4
하
-
좋은아침이에요!!
-
밤을이틀째새고 1
한건없네 왜사노
-
오늘만 지나면 시험 끝이다
-
난이도도 비슷함 정답은 31
-
아니 워드 갑자기 여백 한참남았는데 글 다음페이지로 넘어가는거 0
도대체 뭐임 ? 이거 어떻게 해결함 진짜 워드는 쓸때마다 스트레스 ㅈㄴ받음
-
내 학점이..
-
내신 모고(수능) 성적좀 알려주세요 본인 줫반고인데 객관적으로 궁금해서 정시가 더 나은지 알고싶어요
-
멘탈 바사삭 1
시펄
-
얼버기 5
사실 한시간 전에 일어나긴 했어요.
-
오랜만에 갓생사는중
-
People livin' in competition 1
All I want is to have my peace of mind~
-
이거들어바 6
굿
-
이번주 수요일에 당장 가는 과외 오늘 휴강하겠다고 하는거 개오반가요 1
기말고사 기간인 대학생인데, 과외준비와 시험준비 동시에 하려니까 너무 벅차네요 ㅠㅠ...
-
암 비치
-
걍 밤낮바꿔버릴까? 맨날보이는 애처럼
-
6만덕이 필요한데 기부해주세요 기부하면 26수능 수학 22번 범바오의 축복으로 찍맞함
-
인간사료임 그냥;
-
하지만 사실 이젠 느져스
-
나년 특 3
덕코를 십만덕 쌓아본 적이 딱 한번임
-
대충 잭스짤
-
분수를 아는 것은 항상 복이었다...
-
다시잘수있을까 씁
-
광합성 어케 함 2
팁 좀 나도 하고 싶음
-
잘자요 1
ㅂㅂ
-
안 졸려 0
안 졸리다고..
-
하..
-
증학교때 인서울이 ㅈ밥인줄알고 고등학교에서 처 놀면서 대충 공부해서 이제 정산차리니...
-
윤이 경제 좋게 말해서 망쳐논거 꾹꾹 숨기고 있다가 ㅈ된상황 기사 ㅈㄴ 내면서 이재명한테 돌릴거임 1
남이싼똥치워야되고 ㅋㅋ 세금은 저리 많이 쓰고 아웃풋은 개망 ㅋ 25만원 안줘도...
-
너무 귀공자 스타일이라 여기 분위기랑 안맞는다네요 하아;;;; 야레야레
-
사실 잇음 어케 푸는지 모름
-
뻥임
-
못잊지 개꼬질꼬질한 재수생이엇는대 이제는 어른이노~~
-
2시 38분이면 5
일반적인 사람들이 잠들 시간
-
오르비하던 20살의 내가 그리워
-
잠이안왕 1
안왕
-
기해분 질1문 4
일반화하자면서 준 박스부분 질문임다. ㄱ(전체 염기 수) ÷ {분자+분모} 가 너무...
-
위고비 부작용중에 집중력 감퇴 있디던데 수능공부에 지장 안가시나요? 엄청 미미한가
선생님 생각전개 잘보고있습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선생님 저는 창을 "닫는다"는 행위를 3수의 화자의 놀자는 권유를 거절하는 행위로 보아 창 자체는
오히려 자연을 환기시키는 시어로 봤는데요, 이러한 해석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오호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