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범 · 1156909 · 24/03/15 16:44 · MS 2022

    왜용

  • 엉망징창 · 1140368 · 24/03/15 17:44 · MS 2022

    뭔가 끼워맞춘다는 느낌이 드니까 알거 같으면서 모르겠는.. 그런 느낌..
    답답하네요
  • 물범 · 1156909 · 24/03/15 17:53 · MS 2022

    끼워맞추는거 맞죠 결국에 어떤 엡실론을 잡든 그러한 델타가 존재한다는 말이니...

  • 응앵웅웅 · 581414 · 24/03/20 23:33 · MS 2015 (수정됨)

    그거 그 극한값에서 어떤엡실이라도 극한값-엡실 극한값 +엡실 사이의 값만 나오게하는 x-델타 x+델타 델타를 잡을수있다면 극한값은 그거다 라고 정의처럼 생각하는게 맘편해요

    왜 그런데?
    라고하면 예를들면 이제 x가 2로갈때 극한값이 6이라고 생각해볼게요
    그러면 젤 거슬리는게 그러면 6.001을향해갈수도있는거아냐?이런생각이들텐데
    이때
    6-0.0000000001 과 6+0.0000000001 사이의 값만 나오게 하는 2-델타 2+델타를 잡아버린다면 x가 2를향해갈때 6.001로는 가지않는다는것이 확인이될거에요
    ( 이미 2근방에서 나오는값중에 6.001은 제외시키는 결과물이 나왔으니깐요)
    이런식으로 귀납하듯이 하나하나 처리해나가면 결국 남는건 6밖에없다고 생각하면 좀더 이해하기편할거에요
    정확한이해법은 아니지만 제가 나름 스스로 납득시킬려고 쓴 논리였는데
    급하게 쓰다보니 너무 횡설수설하게썼네요 ㅠㅠ


    동기들이나 주위보면 엡실론델타가 극한의 증명할때 쓰는건알겠는데 왜 이게 극한의 증명이 되는지 납득을못하는경우가많던데 그걸 고민해보면 좀더 빠르게 이해할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