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러님들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36727
사회 명목론은 사회 구조에 대한 개인의 불가항력성을 인정한다. OX중 x인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이 항상 걸렸는데...학평보고 오늘 정말 눈물흘릴뻔?ㅋㅋㅋ왜 다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36727
사회 명목론은 사회 구조에 대한 개인의 불가항력성을 인정한다. OX중 x인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수학이 항상 걸렸는데...학평보고 오늘 정말 눈물흘릴뻔?ㅋㅋㅋ왜 다들...
X요 불가항력성은 인간의힘으로 저항할수 없다 즉 인간은 사회구조에대해 저항할수 없다 랑 같은 선지에요 사회가 더 쌔니까 실재론이요
ㅜㅜ 한가지 질문 더 드려도 되나요 ㅜ
대학이 왜 공식적 사회화 기관이죠?
공식적 사회화기관이랑 비공식적 사회화 기관 구별하는건 사회화를 목적으로 하냐 아님 부차적이냐 인데 교육기관은 사회화를 목적으로하는 공식적 사회화기관이라고 취급한답니다 걍 외우시는게 학교 학원 교육개발원 이런데 다 공식적사회화기관이에요
와 감사합니다.
학원도 공식적 사회화 기관이라니
.. 전 뭔가 학원하면 돈 버는? 집단이라 생각해서 비공식 햇는데ㅠ 감사합니다
교육기관은 공식적 사회화 기관이에요 요리학원이 공식적 사회화 기관으로 나온 기출선지도 있을거에요
그러네여ㅜㅜ 감사합니다
혹시 2013년 6월 17번
기출 선지에서 서양의학의 보급으로 평균수명이 증가한것은 물질문화로 인해 비물질 문화의 변화가 나타난 경우에 해당된다 ox중 왜 x인가요? 해설보면 서양의학의 보급은 외재적 요인으로 인한 변동이다. 라고만 나와잇는데ㅠㅠ
평균수명증가가 물질문화의 변화라서.. 솔직히 납득안되지만 기출이라 외워야함이ㅠ
수명증가가 물질문화의 변화라서 틀린게 아니라 수명이 문화가 아니라서 틀린 선지입니다. 문화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행동, 사고방식이므로 수명이 문화라고 볼수없어요.
그런식이면 의학 발달로인해 기대수명은 늘었지만 노인복지정책은 미흡하다 이 선지를 어떻게 문화지체로 설명할수있죠..? 의학발달 까지만 생각해야되는건가요?
으의학발달로 의해 기대수명은 늘었다 는것은 이문장에 결국에 의학이 발달했다는 뜻을 포함하고 있으니까요
그럼 노인인구증가는요?? 출처는 기억이 잘 안나는데 노인인구증가가 물질문화로 나온 선지가 있었던거같아서요
평가원이나 기출인가요?제가 여태껏 말한 논리대로라면 노인인구증가자체는 물질문화랑 관련없죠 증가해서 잇따라 연쇄적으로 다른문화부분의증가가 있었다는 뉘앙스가 제시문의내용에 나와있지않을까요
책이 지금없어서 찾아볼수는없는데 기출이에요!
수능이요? 한번 찾아봐야겠네요 ㄱㅅ 혹시실례안된가면 시간되실때 문제 출처좀 알려주실수있우세요??난중에라도 요~
문화는 사회의 후천적 생활 양식에 대한건 의미해요
그래서 수명증가는 문화가 아니에요!!
인구증가도 문화 아니구요
혹시 님들 사문 카카오톡 방 만드실 생각 있으신가요!
기본적 개념말고 해깔리는 선지나 표문제들 위주로요!
Xxx 불가항력성 인정하는거면 개인은 사회에 종속된다는거에요 고로 틀림 저거는 실재론에서나 할말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