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수능완성 정리 ㅇㅅㅇ 필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34055
수능완성
1. 지청천 : 신흥무관학교 교관→청산리전투(서로군정서)→대한독립군단(서일, 홍범도)→자유시참변→국민대표회의→정의부(3부) / 한국독립군(대전자령, 쌍성보전투)→민족혁명당→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한국광복군총사령관→제헌의회의원
2. 전주의 역사 : 마한의 영토, 후백제(견훤)의 수도(완산주), 고려시대 무신 집권기(경대승) 전주 관노의 난, 조선전기 : 사고(역사서적보관)(춘추관, 충주, 성주, 전주)(임진왜란 때 다 타고 전주만 남음) 조선후기 : 동학농민운동 전주성 함락, 전주화약
3. 일제의 국권 침탈 과정 : 을사늑약(1905, 외교권) → 정미7조약(1907, 군대) → 기유각서(1909, 사법권) → 경찰권위탁각서(1910, 경찰권) → 경술국치(1910.8)
4. 2차 오일쇼크(1979/80년 한국전쟁 이후 30년만에 마이너스 성장률 기록) → YH무역 일방적 폐업(월급X) → 여공들 신민당사로 찾아감(78년 12월 12일 총선결과 신민당>공화당. 신민당 당수 이철승(참여)→김영삼(반여)) → 신민당사 습격(경찰) → 김영삼 의원직, 총재직 박탈(40초만에 통과) → 부산대 데모(김영삼이 부산, 경남을 대표하던 정치인)→ 부마항쟁(김재규 보고 : 경제, 정부불신이 원인 VS 차지철 : 100만~200만명 밀어버리자 박정희 : 발포 명령을 내리겠다.) → 부산 계엄령, 마산(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3.15의거가 발생한 곳, 공화당사 테러),창원 위수령 → 계엄령 해제 → 10.26사태 → 전국비상계엄령(제주도 제외) → 최규하, 대통령 취임(통일주체국민회의) → 12.12사태(신군부, 전두환) → 서울의 봄 → 5.17 전국비상계엄령 확대(제주도 포함) → 5.18 민주화운동, 탄압 → 국회 해산, 국보위 설치(언론 통폐합, 삼청교육대) → 8.16 최규하 대통령 하야 → 8.27 전두환 대통령 선출(통일주체국민회의) → 8차 개헌 → 재선출(5공화국 시작)
5. 병인박해(66) → 제너럴셔먼호 사건(66) → 병인양요(66) → 남연군묘 도굴사건 → 신미양요
6. 남강 이승훈 : 애국계몽(1905, 태극서관(평양) / 1907, 신민회, 오산학교 / 19008 자기회사(평양)) → [1910년 기준] → 실력양성(민립대 설립운동, 물산장려운동)
7. 1908. 장인환 전명운 의거(1차 한일협약 → 외교 고문 스티븐스, 샌프란시스코) → 1910 대한인 국민회 조직(박용만, 샌프란시스코) → 1919. 대조선국민군단(박용만, 하와이)
8. 제 3공화국(유신) 경제 : 1972년(3차 경제개발 계획)유신 시작 → 1973년 1차 석유파동 → 1977년 수출 100억불 달성 → 1978년 2차 석유파동 → 1979년 유신 끝
9. 세도정치기 농민봉기 : 순조(정조아들) - 홍경래의 난 [효명세자 헌종] 철종(강화도령) - 임술농민봉기(→삼정이정청 설치) 고종 – 동학농민운동
10. 도쿄(동경) : 2.8 독립선언(1919) (→3.1운동 영향), 관동대지진(1923), → 김지섭(의열단, 황궁) 의거(1924) → 이봉창(한인애국단, 히로히토국왕) 의거(1932)
11. 1905[통감부시기] : 보안법(07), 신문지법(07)→개정(08), 사립학교령(08) 1910[총독부시기] 1910~ :회사령, 태형령 1920~ : 치안유지법(25)
12. 1935년 1. 민족혁명당(한국독립당, 신한독립당, 조선혁명당, 대한독립당)(지청천, 조소앙 탈퇴 이후 조선민족혁명당으로 개편) → 한국국민당 → 1937년 3. 조선민족전선연맹 → 4. 한국광복운동 단체연합회(김구, 조소앙, 지청천) → 1938년 조선 의용대 결성 → 1940년 한국독립당 , 한국광복군 (라인 잡아서)
13. 발해 연호 : 무왕(인안) → 문왕(대흥) → 선왕(건흥)(안흥)
14. 1909년 : 外 안중근 의거 (하얼빈, 이토히로부미) 內 호남의병 → 남한대토벌작전, 기유각서(사법권X)
15. 대한 자강회(1906~1907, 애국계몽) : 공개, 전국 지회 설치, 국채보상운동 참여, 고종강제퇴위반대시위(보안법적용, 해산)
16. 발해 선왕(9C) : 대부분의 말갈족 복속 → 요동 지역 진출(선왕 때가 되어서야) → 5경 15부 62주 행정 조직 확립 → 해동성국.
17. 전기 : 1885년 전신 → 1887년 전등 가설(경복궁) → 1898년 한성전기회사(대한제국시기)(1897년 대한제국 선포) → 1899년 전차
18. 의열단 1919년 만주에서 조직 → 1923년 조선혁명선언(신채호→국민대표회의 참여)
19. 경인선(미국 → 일본, 1899) → 러일전쟁(1904~1905) → 경부선(일본, 1905) → 경의선(프랑스 → 일본, 1906)
20. 강화도 : 1. 고려시대 : 몽골 침입 → 천도(최우), 2. 조선시대 : 후금(정묘호란)→피난(with 왕) 청(병자호란) → 피난(왕→남한산성)
21. 1894년 1차 동학농민운동~전주화약 → 1차 갑오개혁(군국기무처)(2차 동학 ~ 우금치전투)(청일전쟁 1894~1895) →
22. 경제개발5개년계획 : 1차(62~66), 2차(67~71)(1970년 경부고속도로 개통, 새마을 운동, 전태일 분신사건), 3차(72~76)(유신과 함께 시작)
23. 한미 FTA 타결 : 노무현정부 → 비준 : 이명박정부
24. 6자(남, 북,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회담(한반도 문제) : 김대중 정부 구상 → 노무현 정부 실현.
25. 7차 개헌(유신) : 긴급조치권, 국회 해산권, 통일주체국민회의, 유신정우회, 종신
26. VS 8차 개헌(전두환, 5공화국) : → 비상 조치권, →“ ”, →대통령선거인단, → 비례대표제(전국구의원, 제1당이 2/3), →7년 단임
27. 4.19 혁명 → 내각책임제 3차 개헌(허정과도내각) → 총선(민주당 압승) → 윤보선, 대통령 선출(국회) → 장면 국무총리 지명(by 윤보선)
28. 비상계엄(72) → 국회해산 → 비상국무회의(행정부, 유신헌법제정) → 국민투표
29. 미군정 귀속농지화(일본인 토지) → 1948년 유상매각(신한공사) → 이승만정부 농지개혁(모든 토지, 유상매입 유상분배)(49제정→50실시) → 소작지 감소, 자작지 증가
30. 조봉암 : 5.10 총선 참여 → 초대 농림부 장관(농지개혁) → 1956년 대선에 무소속으로 돌풍(민주당 신익희 사망이 원인) → 진보당 결성 → 1958년 진보당 사건 → 1959년 사형집행.(강력한 반공 체제, 국가보안법(58), 경향신문 폐간(60))
31. 자유당 : 1950년 2대 총선(이승만 지지세력X) →1951년 자유당 창당(6.25전쟁 중) → 1952년 발췌개헌안(부산)
32. 6.25 전개과정 : 1950년 인천상륙작전 → 중국 개입 → 흥남 철수 → 1951년 1.4 후퇴(서울) → 휴전협상 → 1953년 반공포로 석방
33. 좌우합작 위원회 → 여운형, 김규식(남조선과도입법의원BY미군정) → 좌우합작7원칙( 토지개혁 : 유상매입(좌익이 반대, 조선공산당), 무상분배(우익 반대, 한국민주당) → 여운형 암살(47)
34. 독립촉성중앙협의회 → 신탁반대 → 대한독립촉성국민회로 개칭.(이승만지지)
35. 1930년대 쟁의(1920년대에는 소작민, 생존권 투쟁) : 지하 혁명 조직, 불법적, 동척(08~) 철폐 주장, 식민지 지주제 철폐, 토지무상분배 주장,
36. 1937년 황국신민서사 → 1938년 국가총동원법(→지원병제), 3차조선교육령(한국어X, 심상소학교) → 1940년 창씨개명, 식량배급 → 1941년 초등학교령 → 1943년 학도지원병제 → 1944년 징병제
37.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 대동상회(평양), 장통상회(서울)
38. VS 임시정부 → 교통국, 연통제, 이륭양행(만주), 백산상회(부산)
39. 샌프란시스코 전명운 장인환 의거(1908년) → 대한인 국민회(1910)
40. 1920~: 민립대 설립운동, 물산장려운동(평양), 형평운동(백정, 진주), 암태도 소작쟁의 → 치안유지법&미쓰야 협정(1925년) → 6.10 만세운동 → 신간회(근우회) → 광주학생항일운동, 원산총파업
41. 을사의병 최익현(쓰시마에서 순국) → 임병찬(고종밀지) : 독립의군부(복벽주의)
42. 만주 - 대한독립선언서(폭력) {→ 의열단(1919)},→ 도쿄 – 2.8독립선언(민족자결주의), → 서울 – 3.1독립선언서(비폭력) → 미주 – 한인자유대회(임정지지)
43. 1923년 국민대표회의(창조파VS개조파대립) → 1925년 이승만 탄핵 → 구미위원부X → 박은식 2대 대통령 → 개헌(국무령 중심의 내각책임제) → 박은식 사임
44. 일진회 1904년 창립 → 1905년 외교권 이양 주장 → 을사늑약 → /1907년 고종 양위 주장(헤이그 특사) → 고종 강제 퇴위, 정미7조약, /자위단 조직 → 정미의병 탄압 /1910년 합방상소문 → 경술국치 → 해체(9월)
45. 중추원 : 고려 : 추밀(군국기무)+승선(비서실, 왕명출납)(송나라의 영향) 대한제국기 : 독립협회&관민공동회 헌의6조(의회 : 중추원 관제 반포), 일제강점기 : 1910년, 자문기관(친일단체)
46. 1919년 3.1 운동 → 문화통치 시작 : 1920년 회사령 철폐, 산미증식계획 시작, 1923년 관세 철폐,
47. 신문지법(07) → 국내신문 → 신문지법 개정(08) → 대한매일신보(베델, 양기탁), 해조신문(연해주), 신한민보(미주)
48. 영문판 : 독립신문, 대한매일신보(국한문도 있음)
49. 구한말(1908년) 시 : 해에게서 소년에게(신체시, 최남선), 소설 : 금수회의록, 은세계(신파극, 원각사),
50. 동문학(83~86) → 육영공원(86~94) → 2차 갑오개혁, 교육입국조서
51. 헌의 6조 → 박정양, 윤치호 대통령 설 → 해산.
52. 을사늑약(1905) → 헐버트(미국, 거중조정) -X(가쓰라 태프트 밀약) → 헤이그특사(1907) 이준, 이상설, 이위종 네덜란드 만국 평화회의(러시아의 초청)-X(을사늑약)
53. 갑오개혁 : 왕권 약화 – 1차 : 궁내부 설치 2차 : 내각 체제
54. 총리대신 : 통리기무아문(영의정이 겸임), 1차 갑오개혁 : 영의정 → 김홍집 총리대신(군국기무처), 2차 갑오개혁 : 내각총리대신(의정부→내각), 아관파천 : 의정대신(내각→의정부)
55. 묄렌도르프(목인덕) : 임오군란 계기 → 외교재정고문, 조러수호통상조약에 관여(청알선X, →해임사유), 갑신정변 계기(김옥균VS묄렌도르프), 영국 거문도 불법 점령 → 해결.
56. 조러수호통상조약 → 갑신정변(84) → 조러비밀협약(추진→X)
57. 장소 갑신정변 → 창덕궁, 1차 갑오개혁 → 경복궁, 독립서고문 → 종묘, 사직단, 홍범14조 → 종묘, 을미사변 → 경복궁, 고종 황제(광무) 즉위 → 환구단, 순종 황제(융희) 즉위 → 경운궁(덕수궁)
58. 일본 차관 : → X → 갑신정변, → O(화폐정리사업) → 국채보상운동(07, 대구)
59. 대동법(선혜청, 광해) 임오군란 → 선혜청, 운현궁, 창덕궁(민씨→층주), 별기군부대(일본인교관)
60. 조미수호통상조약(82)(청의 알선), 조러수호통상조약(84)(청알선X, 묄렌도르프), 조프수호통상조약(86)(천주교 포교의 자유)
61. 박지원 – 열하일기 손자 박규수 1. 임술농민봉기 안핵사→삼정이정청 2. 평안감사 → 제너럴 셔먼호 사건 → 신미양요 3. 통상개화파의 스승 → 김옥균
62. 경복궁史 : 조선의 정궁(법궁), 임진왜란X, 흥선대원군 재건, 동학농민운동 → 경복궁 점령(일본), 을미사변(명성황후 시해사건), 조선총독부건물(김영삼 때X)
63. 정조 문 : 규장각(초계문신제 정약용, 서얼출신검서관 박제가) 무 : 장용영 → 왕권강화.
64. 세도정치기 : 1800년에 정조X → 세도정치 1. 홍경래의 난(평안도, 서북지역, 1811) 2. 최제우의 동학 창시(1860) 3. 임술농민봉기(1862) → 흥선대원군
65. 임진왜란(1592~1598) 2(임진왜란) : 한산대첩, 행주대첩 ,3(강화기) : 훈련도감, 속오군, 2(정유재란)명량해전
66. 광해군 중립외교(북인) - 인조반정 친명배금(서인) - 정묘호란(후금) – 병자호란(청)
67. 도승지 – 승정원(왕명출납)
68. 고려중앙행정조직 – (당나라의 영향)중서문하성(재신⊃시중(문하시중), 중서령, 상서령/낭사(언관)) - (송나라의 영향)중추원(추밀(군국기무), 승선(왕명출납, 조선시대의 승정원)), 재신+추밀-(고려독자기구)재추회의(도병마사, 식목도감)
69. 1170 무신집권기 지눌, 결사 정혜쌍수 돈오점수(선종 중심), 몽골침략 팔만대장경(거란 초조대장경), 원간섭기 삼국유사, 성리학(안향)
70. 호우명그릇(호우총, 경주),
71. 나제동맹(눌지왕, 비유왕) → 장수왕 남하정책, 한성점령 → 결혼동맹(웅진시기) → 결렬(성왕, 진흥왕) (사비시기)
72. 백제X – 복신, 도침, 흑치상지 – 고구려X – 안승 검모잠 + 신라도움
73. 바위그림 울주(경상도) 반구대 → 청동기
74. 공주, 부여, 익산이 선정되었다는 사실. 공주에는 무녕왕릉, 부여에는 정림사지 5층 석탑과 금동 대향로, 익산에는 미륵사지 석탑이 연결되어 있어. 백제 유적지(공주, 사비, 익산), 일제 강점기 강제 징용, 70주년 광복절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시험 두시간전 0
비상
-
이미지,김범준,정병호중에서요
-
내가 남들보다 늦게 시작했는ㄷ 이렇게 나태해도 ㄱㅊ나… 폰 없애는 거 어케생각애요ㅠㅠ 세상단절
-
존아침 4
늦지 않게 일어났당
-
오늘만새면돼 0
그럼나는자유야
-
생물 과제 물어봤는데 격한 위로를 해주네요
-
안질리네
-
문제만든사람이
-
ㅋㅋㅋㅋ 뭐지
-
각각 67분 100, 63분 100 미적은 전보다 빨라지긴한듯
-
맨맨큐큐 0
매년 예제 복붙해서 출제하시던데 제발 올해도 새내기들의 신뢰를 저버리지 말아주세요...
-
왓!
-
10수능 수1 2
저 수열의 일반항을 구하시오. (만덕)
-
전공 안맞아보인다고 반수하래... 이미하고있는데
-
두시간만 자자 1
하암
-
너무 새롭고 참신한 풀이 거르기
-
댓글이든 뭘로든 시비걸린다 해도 대체 이 사람이 어느 포인트에서 화가 난걸까를...
-
어케나감 ㄹㅇ..
-
벼 락 치 기 2
쉽지않네요
-
어삼쉬사랑 비슷한 느낌의 문제집은 없을까요?
-
지금딱듣기좋은노래네
-
사문 명확성 0
'주로'는 명확성에 위배됨??
-
태블릿으로 문제집 푸시는 분들은 어떤 앱 이용하시나요? 자체 문제집이 있는 곳도...
-
2021 10월 11번인데1번에 ㄱ이 을당이면 을당이 과반수를 먹긴 했지만 을당과...
-
국어 자체 제작 지문-퀄리티 평가좀요(문제는 내일 만들 예정) 2
위대한 과학적 발견은 한 사람의 순간적인 발상이 아니라, 여러 사람의 누적된...
-
피부과에 매년 백만 단위로 박은거 저정돈 아니더라도 님들도 피부관리 꼭 하세여 ㅇㅇ
-
한의패기는 전통놀이인듯
-
야구 잘하는법 1
알았으면 프로도전했지 시발
-
사문 한지,사문 정법,사문 세지,사문 지구 사문은 할거구요 2학년때 내신으로 지구는...
-
축구도 그럼 0
분명 정교해졋는데 메시호날두 시절이랑은 비교가안됨
-
섹스
-
황정민이 송지효 드럼통에 넣고 죽이는 장면잇엇는데
-
음악도 발전하면서 낭만이 없어진단 말이지
-
욕 먹을 것 같지만 일단 씁니다.. 먼저 저는 문과 출신입니다 수능점수 기억 잘 안...
-
진짜 밤샐각인데 에어컨없음
-
마구 챱스틱으로 때리기
-
미래의 내가 공부할거야
-
아니꼽다 1
같잖다
-
집을 못가 ~ 3
아침부터 시험이거든 ~
-
... 펴야겠지?
-
폐급 인생 1
자야하는데 아아못 자고 놀고있으므,,,,
-
아 ㅈ됐다 진짜 2
내일 1교시 시험인데 1회독도 안했네
-
저도 열등감이 엄청 심한 편이었는데 저런 생각을 어느 정도 받아들이니까 좀 그러려니...
-
잔인한거임 동시에 열심히 살아야 하는 동기
-
이걸무료로푸네ㄷㄷ
-
물론 아이언맨에게 무한한 감사를 하지만 세상에 나빼고 모든 남지를 지웠으면 내가...
-
내 경쟁상대 3
어제의 나임
-
하기시작하면 밑바닥을 보게됨 보고싶지않음 더이상
다행이다 하나빼고 다 알겠네 꿀 자료 감사
하나뭐임ㅋㅋ
전주ㅋㅋ 지역문제 나오면 골 때림
굿굿 쉬는동안 즐감할게요
근데 한국사 진짜 무자비한 과목이라는게 실감된다
죽고싶음 ㅠㅠ
진짜 미친 과목 같아요 ; 사람의 암기량은 한계가 있는데 그걸 억지로 집어넣으니 터질것같고.. 전 그냥 국수영이나 하면서 기본이나 충실히 하고 봐야겠네요 ㅋㅋ 이러다가 다 망할 수도..
사실 오르비가 문제ㅋㅋ 한국사 쉬운데 오르비가 수준이 너무 높아서 개지엽적인거 대비해서 나도 덩달아 ..진짜 짜증남 하
수완 안 봤는데 이거 보면 좋을까요? ㅠㅠ 꿀자료 감사합니다.
만점 받으면 뽀뽀 ㄱㄱ
57. 갑신정변 장소 + 경우궁 하셔야되지않나요?
경우궁이 뭔가요? (장난아님)
정변 주도 세력이 청군과의 대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종과 명성황후를 창덕궁에서 그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궁으로 옮겨요. 이후에 명성황후의 주장으로 다시 창덕궁으로 옮겨가게 되어 일본군과 청군의 교전이 일어나는 곳이 결국 창덕궁이 된 것입니다.
저는 경우궁 경운궁 구분하는 게ㄴ너무 헷갈렸었는데 경우궁 나오는 거 갑신정변 때밖에 없는 거 맞나요?
넵!
경운궁=덕수궁이니까 참고해서 외워두세요!
스크랩해요 감사합니다
♥
혹시 태성 샘 심화강의인가요!? 엄청 낯이 익다... ㅋㅋㅋㅋ
네 ㅋㅋ
오우
스크랩해용
저거 대충 다 알 정도면 한국사 50 가능??ㄷㄷ
ㅇㅇ솔직히가능
정재 모의고사 45점 정도로 뜨는데 한국사 50은 무릯죠 수능때..?ㅠㅠ영어가 좀 약해서 영어 듄에 더 투자하고 싶은데 망할 한국사 ㅠㅠㅠㅠㅠ
6. 자기회사 19008 -> 1908 (ㅎㅎ)
7. 대조선 국민군단 1919 ->1914
57. 덕수궁 -> + 1차 미소공위 열림 (요건 안나올 듯)
혹시 설민석 들으세요?ㅋㅋㅋ
인강 안듣는데요.. ㅜ
설민석t가 덕수궁에서 1차 미소공위 열리는거 엄청 강조하셔서요!ㅋㅋ 혹시나 해서 말씀드렸어용
덕수궁 ->1차미소공위 이건 어디에 나온건가요??
설민석 파이널에나와서 알고있아요전
수능특강에 문제에 있습니다 서울과 평양을 오가면서 했다고 하고 서울은 덕수궁 석조전입니다.
햐 개꿀 감사요 ㅠㅠ 수특도 잇나용
근데 서로군정서 청산리전투 맞나요? 이거 강민성은 쭉 아니라던데;;
헐 오개념 헷갈리게 해서 죄송합니다 ㄷㄷ 최태성 선생님 수능완성 강의 요약한 자료거든요. 그런데 저도 그 부분이 헷갈려서 직접 Q&A에 올렸었는데
1919년 5월 조직된 서로군정서는 신흥강습소를 신흥무관학교로 개편하여 독립군을 양성하였습니다.
청산리, 봉오동 전투에는 참여하지 않았지만 1921년 만주 지역에 설립된 친일 단체인 보민회를 해체시키는 등 독립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1922년 서로군정서는 대한 통군부에 통합되었어요.
이렇게 나와서 서로군정서는 청산리 전투 참여 안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저도 지난번에 저것 때문에 헷갈려서 질문 올렸었는데
지청천은 청산리 참여하고, 서로군정서는 참여 안했다 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ㅠㅠ헷갈리게 해서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