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니→엠마 [385181] · MS 2011 · 쪽지

2015-11-03 21:46:50
조회수 5,112

한국사 수능완성 정리 ㅇㅅㅇ 필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34055

수능완성

1. 지청천 : 신흥무관학교 교관→청산리전투(서로군정서)→대한독립군단(서일, 홍범도)→자유시참변→국민대표회의→정의부(3부) / 한국독립군(대전자령, 쌍성보전투)→민족혁명당→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한국광복군총사령관→제헌의회의원

2. 전주의 역사 : 마한의 영토, 후백제(견훤)의 수도(완산주), 고려시대 무신 집권기(경대승) 전주 관노의 난, 조선전기 : 사고(역사서적보관)(춘추관, 충주, 성주, 전주)(임진왜란 때 다 타고 전주만 남음) 조선후기 : 동학농민운동 전주성 함락, 전주화약

3. 일제의 국권 침탈 과정 : 을사늑약(1905, 외교권) → 정미7조약(1907, 군대) → 기유각서(1909, 사법권) → 경찰권위탁각서(1910, 경찰권) → 경술국치(1910.8)

4. 2차 오일쇼크(1979/80년 한국전쟁 이후 30년만에 마이너스 성장률 기록) → YH무역 일방적 폐업(월급X) → 여공들 신민당사로 찾아감(78년 12월 12일 총선결과 신민당>공화당. 신민당 당수 이철승(참여)→김영삼(반여)) → 신민당사 습격(경찰) → 김영삼 의원직, 총재직 박탈(40초만에 통과) → 부산대 데모(김영삼이 부산, 경남을 대표하던 정치인)→ 부마항쟁(김재규 보고 : 경제, 정부불신이 원인 VS 차지철 : 100만~200만명 밀어버리자 박정희 : 발포 명령을 내리겠다.) → 부산 계엄령, 마산(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3.15의거가 발생한 곳, 공화당사 테러),창원 위수령 → 계엄령 해제 → 10.26사태 → 전국비상계엄령(제주도 제외) → 최규하, 대통령 취임(통일주체국민회의) → 12.12사태(신군부, 전두환) → 서울의 봄 → 5.17 전국비상계엄령 확대(제주도 포함) → 5.18 민주화운동, 탄압 → 국회 해산, 국보위 설치(언론 통폐합, 삼청교육대) → 8.16 최규하 대통령 하야 → 8.27 전두환 대통령 선출(통일주체국민회의) → 8차 개헌 → 재선출(5공화국 시작)

5. 병인박해(66) → 제너럴셔먼호 사건(66) → 병인양요(66) → 남연군묘 도굴사건 → 신미양요

6. 남강 이승훈 : 애국계몽(1905, 태극서관(평양) / 1907, 신민회, 오산학교 / 19008 자기회사(평양)) [1910년 기준] → 실력양성(민립대 설립운동, 물산장려운동)

7. 1908. 장인환 전명운 의거(1차 한일협약 → 외교 고문 스티븐스, 샌프란시스코) → 1910 대한인 국민회 조직(박용만, 샌프란시스코) → 1919. 대조선국민군단(박용만, 하와이)

8. 제 3공화국(유신) 경제 : 1972년(3차 경제개발 계획)유신 시작 → 1973년 1차 석유파동 → 1977년 수출 100억불 달성 → 1978년 2차 석유파동 → 1979년 유신 끝

9. 세도정치기 농민봉기 : 순조(정조아들) - 홍경래의 난 [효명세자 헌종] 철종(강화도령) - 임술농민봉기(→삼정이정청 설치) 고종 – 동학농민운동

10. 도쿄(동경) : 2.8 독립선언(1919) (→3.1운동 영향), 관동대지진(1923), → 김지섭(의열단, 황궁) 의거(1924) → 이봉창(한인애국단, 히로히토국왕) 의거(1932)

11. 1905[통감부시기] : 보안법(07), 신문지법(07)→개정(08), 사립학교령(08) 1910[총독부시기] 1910~ :회사령, 태형령 1920~ : 치안유지법(25)

12. 1935년 1. 민족혁명당(한국독립당, 신한독립당, 조선혁명당, 대한독립당)(지청천, 조소앙 탈퇴 이후 조선민족혁명당으로 개편) → 한국국민당 → 1937년 3. 조선민족전선연맹 → 4. 한국광복운동 단체연합회(김구, 조소앙, 지청천) → 1938년 조선 의용대 결성 → 1940년 한국독립당 , 한국광복군 (라인 잡아서)

13. 발해 연호 : 무왕(인안) 문왕(대흥) 선왕(건흥)(안흥)

14. 1909년 : 外 안중근 의거 (하얼빈, 이토히로부미) 內 호남의병 → 남한대토벌작전, 기유각서(사법권X)

15. 대한 자강회(1906~1907, 애국계몽) : 공개, 전국 지회 설치, 국채보상운동 참여, 고종강제퇴위반대시위(보안법적용, 해산)

16. 발해 선왕(9C) : 대부분의 말갈족 복속 → 요동 지역 진출(선왕 때가 되어서야) → 5경 15부 62주 행정 조직 확립 → 해동성국.

17. 전기 : 1885년 전신 1887년 전등 가설(경복궁) → 1898년 한성전기회사(대한제국시기)(1897년 대한제국 선포) → 1899년 전차

18. 의열단 1919년 만주에서 조직 → 1923년 조선혁명선언(신채호→국민대표회의 참여)

19. 경인선(미국 → 일본, 1899) → 러일전쟁(1904~1905) → 경부선(일본, 1905) → 경의선(프랑스 → 일본, 1906)

20. 강화도 : 1. 고려시대 : 몽골 침입 → 천도(최우), 2. 조선시대 : 후금(정묘호란)→피난(with 왕) 청(병자호란) → 피난(왕→남한산성)

21. 1894년 1차 동학농민운동~전주화약 → 1차 갑오개혁(군국기무처)(2차 동학 ~ 우금치전투)(청일전쟁 1894~1895) →

22. 경제개발5개년계획 : 1차(62~66), 2차(67~71)(1970년 경부고속도로 개통, 새마을 운동, 전태일 분신사건), 3차(72~76)(유신과 함께 시작)

23. 한미 FTA 타결 : 노무현정부 → 비준 : 이명박정부

24. 6자(남, 북,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회담(한반도 문제) : 김대중 정부 구상 → 노무현 정부 실현.

25. 7차 개헌(유신) : 긴급조치권, 국회 해산권, 통일주체국민회의, 유신정우회, 종신

26. VS 8차 개헌(전두환, 5공화국) : → 비상 조치권, →“ ”, →대통령선거인단, → 비례대표제(전국구의원, 제1당이 2/3), →7년 단임

27. 4.19 혁명 → 내각책임제 3차 개헌(허정과도내각) → 총선(민주당 압승) → 윤보선, 대통령 선출(국회) → 장면 국무총리 지명(by 윤보선)

28. 비상계엄(72) → 국회해산 → 비상국무회의(행정부, 유신헌법제정) → 국민투표

29. 미군정 귀속농지화(일본인 토지) → 1948년 유상매각(신한공사) → 이승만정부 농지개혁(모든 토지, 유상매입 유상분배)(49제정→50실시) → 소작지 감소, 자작지 증가

30. 조봉암 : 5.10 총선 참여 → 초대 농림부 장관(농지개혁) → 1956년 대선에 무소속으로 돌풍(민주당 신익희 사망이 원인) → 진보당 결성 → 1958년 진보당 사건 → 1959년 사형집행.(강력한 반공 체제, 국가보안법(58), 경향신문 폐간(60))

31. 자유당 : 1950년 2대 총선(이승만 지지세력X) →1951년 자유당 창당(6.25전쟁 중) → 1952년 발췌개헌안(부산)

32. 6.25 전개과정 : 1950년 인천상륙작전 → 중국 개입 → 흥남 철수 → 1951년 1.4 후퇴(서울) → 휴전협상 → 1953년 반공포로 석방

33. 좌우합작 위원회 → 여운형, 김규식(남조선과도입법의원BY미군정) → 좌우합작7원칙( 토지개혁 : 유상매입(좌익이 반대, 조선공산당), 무상분배(우익 반대, 한국민주당) → 여운형 암살(47)

34. 독립촉성중앙협의회 → 신탁반대 → 대한독립촉성국민회로 개칭.(이승만지지)

35. 1930년대 쟁의(1920년대에는 소작민, 생존권 투쟁) : 지하 혁명 조직, 불법적, 동척(08~) 철폐 주장, 식민지 지주제 철폐, 토지무상분배 주장,

36. 1937년 황국신민서사 → 1938년 국가총동원법(→지원병제), 3차조선교육령(한국어X, 심상소학교) → 1940년 창씨개명, 식량배급 → 1941년 초등학교령 → 1943년 학도지원병제 → 1944년 징병제

37.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 대동상회(평양), 장통상회(서울)

38. VS 임시정부 → 교통국, 연통제, 이륭양행(만주), 백산상회(부산)

39. 샌프란시스코 전명운 장인환 의거(1908년) → 대한인 국민회(1910)

40. 1920~: 민립대 설립운동, 물산장려운동(평양), 형평운동(백정, 진주), 암태도 소작쟁의 → 치안유지법&미쓰야 협정(1925년) → 6.10 만세운동 → 신간회(근우회) → 광주학생항일운동, 원산총파업

41. 을사의병 최익현(쓰시마에서 순국) → 임병찬(고종밀지) : 독립의군부(복벽주의)

42. 만주 - 대한독립선언서(폭력) {→ 의열단(1919)},→ 도쿄 – 2.8독립선언(민족자결주의), → 서울 – 3.1독립선언서(비폭력) → 미주 – 한인자유대회(임정지지)

43. 1923년 국민대표회의(창조파VS개조파대립) → 1925년 이승만 탄핵 → 구미위원부X → 박은식 2대 대통령 → 개헌(국무령 중심의 내각책임제) → 박은식 사임

44. 일진회 1904년 창립 → 1905년 외교권 이양 주장 → 을사늑약 → /1907년 고종 양위 주장(헤이그 특사) → 고종 강제 퇴위, 정미7조약, /자위단 조직 → 정미의병 탄압 /1910년 합방상소문 → 경술국치 → 해체(9월)

45. 중추원 : 고려 : 추밀(군국기무)+승선(비서실, 왕명출납)(송나라의 영향) 대한제국기 : 독립협회&관민공동회 헌의6조(의회 : 중추원 관제 반포), 일제강점기 : 1910년, 자문기관(친일단체)

46. 1919년 3.1 운동 → 문화통치 시작 : 1920년 회사령 철폐, 산미증식계획 시작, 1923년 관세 철폐,

47. 신문지법(07) → 국내신문 → 신문지법 개정(08) → 대한매일신보(베델, 양기탁), 해조신문(연해주), 신한민보(미주)

48. 영문판 : 독립신문, 대한매일신보(국한문도 있음)

49. 구한말(1908년) 시 : 해에게서 소년에게(신체시, 최남선), 소설 : 금수회의록, 은세계(신파극, 원각사),

50. 동문학(83~86) → 육영공원(86~94) → 2차 갑오개혁, 교육입국조서

51. 헌의 6조 → 박정양, 윤치호 대통령 설 → 해산.

52. 을사늑약(1905) → 헐버트(미국, 거중조정) -X(가쓰라 태프트 밀약) → 헤이그특사(1907) 이준, 이상설, 이위종 네덜란드 만국 평화회의(러시아의 초청)-X(을사늑약)

53. 갑오개혁 : 왕권 약화 – 1차 : 궁내부 설치 2차 : 내각 체제

54. 총리대신 : 통리기무아문(영의정이 겸임), 1차 갑오개혁 : 영의정 → 김홍집 총리대신(군국기무처), 2차 갑오개혁 : 내각총리대신(의정부→내각), 아관파천 : 의정대신(내각→의정부)

55. 묄렌도르프(목인덕) : 임오군란 계기 → 외교재정고문, 조러수호통상조약에 관여(청알선X, →해임사유), 갑신정변 계기(김옥균VS묄렌도르프), 영국 거문도 불법 점령 → 해결.

56. 조러수호통상조약 → 갑신정변(84) → 조러비밀협약(추진→X)

57. 장소 갑신정변 → 창덕궁, 1차 갑오개혁 → 경복궁, 독립서고문 → 종묘, 사직단, 홍범14조 → 종묘, 을미사변 → 경복궁, 고종 황제(광무) 즉위 → 환구단, 순종 황제(융희) 즉위 → 경운궁(덕수궁)

58. 일본 차관 : → X → 갑신정변, → O(화폐정리사업) → 국채보상운동(07, 대구)

59. 대동법(선혜청, 광해) 임오군란 → 선혜청, 운현궁, 창덕궁(민씨→층주), 별기군부대(일본인교관)

60. 조미수호통상조약(82)(청의 알선), 조러수호통상조약(84)(청알선X, 묄렌도르프), 조프수호통상조약(86)(천주교 포교의 자유)

61. 박지원 – 열하일기 손자 박규수 1. 임술농민봉기 안핵사→삼정이정청 2. 평안감사 → 제너럴 셔먼호 사건 → 신미양요 3. 통상개화파의 스승 → 김옥균

62. 경복궁史 : 조선의 정궁(법궁), 임진왜란X, 흥선대원군 재건, 동학농민운동 → 경복궁 점령(일본), 을미사변(명성황후 시해사건), 조선총독부건물(김영삼 때X)

63. 정조 문 : 규장각(초계문신제 정약용, 서얼출신검서관 박제가) 무 : 장용영 → 왕권강화.

64. 세도정치기 : 1800년에 정조X → 세도정치 1. 홍경래의 난(평안도, 서북지역, 1811) 2. 최제우의 동학 창시(1860) 3. 임술농민봉기(1862) → 흥선대원군

65. 임진왜란(1592~1598) 2(임진왜란) : 한산대첩, 행주대첩 ,3(강화기) : 훈련도감, 속오군, 2(정유재란)명량해전

66. 광해군 중립외교(북인) - 인조반정 친명배금(서인) - 정묘호란(후금) – 병자호란(청)

67. 도승지 – 승정원(왕명출납)

68. 고려중앙행정조직 – (당나라의 영향)중서문하성(재신⊃시중(문하시중), 중서령, 상서령/낭사(언관)) - (송나라의 영향)중추원(추밀(군국기무), 승선(왕명출납, 조선시대의 승정원)), 재신+추밀-(고려독자기구)재추회의(도병마사, 식목도감)

69. 1170 무신집권기 지눌, 결사 정혜쌍수 돈오점수(선종 중심), 몽골침략 팔만대장경(거란 초조대장경), 원간섭기 삼국유사, 성리학(안향)

70. 호우명그릇(호우총, 경주),

71. 나제동맹(눌지왕, 비유왕) → 장수왕 남하정책, 한성점령 → 결혼동맹(웅진시기) → 결렬(성왕, 진흥왕) (사비시기)

72. 백제X – 복신, 도침, 흑치상지 – 고구려X – 안승 검모잠 + 신라도움

73. 바위그림 울주(경상도) 반구대 → 청동기

74. 공주, 부여, 익산이 선정되었다는 사실. 공주에는 무녕왕릉, 부여에는 정림사지 5층 석탑과 금동 대향로, 익산에는 미륵사지 석탑이 연결되어 있어. 백제 유적지(공주, 사비, 익산), 일제 강점기 강제 징용, 70주년 광복절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