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II, [미소변화율을 논함 3] • 적용 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262933
*좋아요와 팔로우는 필자에게 큰 동기부여가 됩니다 :D
바로 문제부터 보시겠습니다, 다음 두 문항을 보고 떠오르는 풀이의 방향성을 정해봅시다!
*다 해결하셔도 좋고, 풀이 방향성만 마음속으로 정하셔도 충분합니다!
1번 문제
-東京工業大学(도쿄공업대학) 본고사 중 발췌
14. a>0, t>0에 대해 정적분 S(a,t)를 생각합니다.
(1) a를 고정했을 때, t에대한 함수 S(a,t)의 최솟값 m(a)를 구하시오. [4점]
(2) 다음 극한을 계산하시오. [2점]
2번 문제
-18.03.30 수학 가형
30. g(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이를 구하시오. [4점]
다 정하셨나요?
제가 두 문제를 처음에 보고 든 생각을 그대로 적자면
"함수가 간단하네요? 피적분함수는 그릴 수 있다면 그려보는 편이 좋겠어요. ->
1번 문제는 조건에 따라 a를 상수 취급하고 t가 움직임에 따라 관찰해보고,
2번 문제는 x와 y=f(x)를 움직이며 관찰하면 되겠군요!
두 문제의 공식 해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ハイレベル 数学iii•C 중 발췌)
역시 계산은 조금 많지만, 흠잡을 곳 없는 자명한 풀이입니다.
그치만 저희에게는 이전에 학습한 미소변화율 개념이 있고, 이를 이용한다면 단축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못 보신 분들을 위한 이전 화 링크입니다.
-수II, [미소변화율을 논함] : https://orbi.kr/00066494675
-수II, [미소변화율을 논함 2] : https://orbi.kr/00066523574
두 문제 모두 절댓값이 끼어 있는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이기에, 구간을 나누어 넓이함수를 구하고 미분하는게 출제의도일 테지만,
적분 값을 넓이로 시각화하여 관찰하면 넓이함수의 증감을 바로 알 수 있어요.
2번 문제가 1번 문제의 업그레이드 버젼이기에, 2번문제를 분석하고 1번문제의 해설은 아래 Solution에 추가했어요
|f(t)-f(x)|를 구간 [0,x] 에서 적분한 함수가 g(x)이니
조금씩 x를 키워가며 넓이함수를 관찰하겠습니다.
이 행동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0<x<1]일 때 x가 커짐에 따라 y=f(x) 기준선은 위로 올라가며, 넓이의 왼쪽 부분 A는 빨간 형광펜만큼 계속 증가함을 알 수 있습니다.
즉 g(x)는 [0<x<1]에서 증가합니다.
X=1을 넘어서는 순간 기준선 y=f(x)의 운동방향이 아래로 바뀌고, x가 진짜 엄청 미세하게 커짐에 따라 A부분의 넓이는 파란 형광펜만큼 줄고, B 부분의 넓이는 빨간 형관펜만큼 늘어납니다. * 파란 형광펜 부분을 dA, 빨간 형광펜 부분을 dB라 하겠습니다.
기준선이 아래로 이동한다고 할 때, 사진에서 더 움직여도 감소하는 넓이 dA가 증가하는 넓이 dB보다 크기에 총 넓이함수는 (1<x<1+ε) 에서 감소합니다. *(ε는 적당히 작은 양수)
즉 g(x)는 (1<x<1+ε) 에서 감소하며, X=1에서 넓이함수의 증감이 바뀌므로 x=1에서 극대입니다.
이후 언제가 넓이함수의 증감이 다시 바뀌는 지점일까요?
dA>dB일땐 쭉 감소하다가 dA = dB를 거쳐 dA<dB이면 증가하겠군요.
즉 넓이함수의 극소는 dA = dB 일 때겠군요. +(사족)이로 대강의 g(x)의 개형도 그려낼 수 있습니다
(TMI) 실제로 그린 g(x)의 개형 (A의 자취)
dA와 dB는 x좌표 차이가 가로인 미세한 직사각형인데, 세로는 함께 같은 속도로 움직이니 같다고 하면 x좌표차이가 같은 부분이겠군요.
X절편 차가 동일함 + 함수가 x=1 선대칭임을 이용하면 극소가 x=4/3에서 생김을 알 수 있고 적분을 계산하면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Solution) 02번 문제
Solution) 01번 문제
(저는 1번 문제의 함수 표현 S(a,t)가 마음에 들더군요..! 한 변수 고정하는 부분을 언급하지 않았어도 두개 이상의 변수 *특히 기하(평면벡터)등에서 스스로 한 변수를 고정하고 다른 하나를 움직여 보면 좋아요! )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D
정성이 들어간 글인 만큼 여러 번 연습하면 꼭 본인의 것으로 만들 수 있을거에요
0 XDK (+28,000)
-
17,000
-
5,000
-
5,000
-
1,000
-
미적 낮1 정도 실력인 사람인데 높1이 안 뚫려서 발상노트 같은 거 만들어볼까...
-
그래프 없이 식 계속 써나가야 하는게 진짜 어렵네요
-
카페인 수혈
-
오히려 씻고 나오는 순간 괜찮아짐
-
좋은 아침이에요 0
드디어 이 지긋지긋한 수능도 130일밖에 안남았군요
-
140점에 남자 820명 여자 191명 더하면 1011명인데 왜 합계가...
-
어디까지 될까요..
-
아 설경가고싶다 0
ㅅㅂ
-
언매 화작 0
언매를 늘 3개 정도 틀렸어서 올해 무휴반하며 뒤늦게 화작으로 돌려 6모에서 1개...
-
ㅇㅈ 4
-
t1 blg 4
이걸 어떻게 참아 일요일인데 조금만 볼까
-
건물이 작아서 따로 식당은 없어보이던디
-
뀨 8
뿌잉뿌잉
-
이 문제는 언제 치러진 시험의 문제인가요? 못 맞추신다면 기출 학습을 제대로 안하신...
-
얼버기 8
공부 고고
-
인원 수 많아지먄 1등급 따기 쉬운거임? 표점은 어케됨 이번에 제일 낮던데 쉽게 나와서 그런건가.
-
얼탱
-
ㅇㅂㄱ 2
어제늦게잣더니피곤함
-
얼버기 2
얼버기가아닌가
-
일요일인데 4
다들 공부하러 가나요?
-
중국만 만나면 다 썰어버려
-
둘 중에 하나만 해야한다면 뭐해야할까용
-
음??
-
1. 내신을 망친다 2. 내신이 나쁘지 않지만 정시가 더 유리하면서, 때때로...
-
얼버기 2
다들 잘잤나요
-
샤가프 법칙:...
-
g'(e) 는 오른쪽상황에서 음함수 미분해서 구하면될거같긴한데 극한식은 계산을...
-
230722 조건 (다)에 적분과 미분을 다 집어넣은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이...
-
익숙해지니까 크게 불편한건 없네
-
AI 교과서를 도입했슨 대통령 권한대행을 해봤슨
-
서울행 흐흐 8
OOTD
-
현실적 불가하죠?
-
시간만투자하면 다풀수있나여
-
오르비도 인터넷이라 좀 유별난 사람이 있는듯 ㅋㅋㅋㅋ 1
이게 유별남의 기준을 뭘로 잡아야할지 모르겠는데 같은 질문 반복적으로 올리거나 특정...
-
ㅈㄱㄴ
-
큰 좌절을 겪음 1
일반고고 서울대 물리학과 쓰려했는데 1학년 때 지각한 거 때문에 1등인데 밀려서...
-
기차지나간당 1
부지런행
-
프리랜서 디지털노마드 이런 거 보고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다" → 현실은 언제...
-
이번엔 진짜임
-
기상 3
-
배고파
-
걍쪼개다가옴ㅋㅋ 현강은 저렇게 썰도 많이 풀어주나?
-
내장 무한리필이라는데 술 참아야 됨
-
대학 붙기 전까지 단 하루라도 게으르게 지낸다면 즉시 삶을 포기하겠습니다 예외...
-
풀영상 보니까 아주 기가 막히네 ㄹㅇㅋㅋ 이건 아주 빙산의 일각이지 생활비를...
-
얼버기 6
꿈자리가 사납군
-
재미로 연애운 봐달라고 했는데 내 성격 딱 저거임 ㄷㄷ

기하황 약연님
아직 배울 점 많은 반실수입니다드디어 적용탄이 나왔군요 가장 기대하고있었습니다 진짜 이칼럼은 제 수학의 시각을 넓혀줬으니 잘보겠습니다
저야말로 영광이네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편하게 물어봐주세요 :)
선댓후감
미소변화율 항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드려요 선생님 :)

이륙시스템 재가동
고마워요 승룡님 :D이거보고 주머니에서 공이나 뽑기로했다
왜 평면으로 수선을 안내리고 그런걸

도쿄공대 본고사 ㄷㄷㄷㄷㄷ동경일공의 공 아닌가용

타임어택이 나름 있는 편이긴 하지만 위 문제같은 경우 변별문제까지는 아니고 적당하게 넘어갈 수 있는 문제랍니다
이건 이륙해야한다역시 수학고수
사설 실모나 엔제에서 많이 써먹었는데 많은 분들이 얻어가셨으면 좋겠네요~^^
Sec(x)
짖짜 뇌를 꺼내서 저한테 이식하고싶어요
대 약 연

누추한 곳에 귀하신 분이..!약선생님 좋은 글 감사합니당
저야말로 도움이 되었다면 기쁘네요

감사합니다우와!
대 대 대
한의대 걸어두시나요

다녀요
1년만은 같은 학과네요
저야말로 영광입니다 선배님
누추한 곳에 귀하신 분이....
한의대ㄷㄷ약연님 시.반(국가권력엔수생어쩌고)님이 이거좀 물어봐달랍니다
강의는 마지막에 나온다고 전해달라네요
https://youtu.be/9EOzb5wCSN4?si=3B1ZDrTpoDF_flU-
g'(x)를 수식으로 표현할 때, 미소변화량을 세로가 적당히 작은 직사각형으로 근사하였다고 생각하면 가로 × 세로인데, 도함수의 정의가 접선의 기울기이고, 접선의 기울기를 삼각비로 표현하면 아래 그림처럼 델타h/델타x로 표현할 수 있고, 델타S = 길이 × 델타높이 인데 양변을 델타x로 나눠 표현하면
넓이의 미소변화량 = 가로길이 × 도함수가 되는군요!
단! 이 경우는 기준선의 운동방향이 축과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어 미세한 직사각형으로 근사, 위와 같이 도함수를 직관적으로 뽑아낼 수 있는것이지, 미소변화율 칼럼 1편의 극좌표에서의 근사에선 사용하기 곤란하군요..
헉 이걸 이제보다니..
미소변화율 3도 잘 보고 갑니다..ㅎㅎ
저야말로 도움이 되었다면 기뻐요

누추한 곳에 귀하신 화내지않기님이 오시다니요영광이에요
미소변화율에서 도함수값을 구할 때 이렇게 변수가 상수라서 일직선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길이가 넓이변화율 즉 도함수값임을 알겠는데 위 가형30번이나 저번 칼럼 ebs문제처럼 변수가 기울기라던지 직선이 아닐 때에는 길이=변화율(도함수값)이 성립하는지 아니면 어느정도 바례하지만 정확히 일치하진 않는 건지 궁금하네요
지난 칼럼의 경우 아래 이미지처럼 기울기를 조금씩 키우며 미소변화량을 닮음 삼각형(혹은 부채꼴)로 "근사"하였기에, 도함수값을 정확히 추출할 수는 없지만, 증감 변화의 경계가 되는 극값을 찾기는 가능한 것이에요.
다만, 위 사관학교 문항 혹은 이번 칼럼의 문항처럼 미소변화량이 축과 평행/수직한 경우에 한해서 극값조사와 더불어 도함수값을 길이로 추출할 수 있는것입니다.
:)
궁금증이 해결되셨기를 바라며, 혹시 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편하게 물어봐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