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재수하며 얻은 것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146674
1. 내가 푼 거// 2. 내가 공부한 방법
재수 때 한 것만 기출 빼요. 그냥 많이 돌았어요
1. 내가 푼 컨텐츠들
국어
이감- OFF모고 풀셋
한수- OFF모고 풀셋, 경제의 한수(기본, 심화)
상상- OFF모고 풀셋
김상훈 t: GRIT필수(문학/독서), GRIT심화, 1등급 습관(주간지)
ㄱㅇㅇ t: 스키마(경제/법/과학,기술), RE; EBS
오르비 북스: 파란문법(박지성), 문법충 N제, 2021 수능적 문학 개념(희파), 비문학 공부법 핸드북2022(이윤범),
만점의 생각(조경민), 극한지문_법학(이해황), PIRAM 생각의 전개(비문학/문학)
시대ㅇㅈ북스: 바른 생각과 바른 습관으로, KICE PROCESS(바생바습), CATARSIS(바생바습)
강남대성: 윤권철(독서), 은미예(문학), 고광수(문학), 이정일(언매) 선생님들 부교재 왕창
강모 K국어모의고사
수학 (표기 안한 건 수1, 수2, 미적 다 했단 거. 덜 푼 건 표시했어요)
메가- 현우진t: 드릴 2021, 드릴 2022, 킬링캠프( 6평대비, 시즌1, 시즌2)
장영진t: 꿀모 시즌3
양승진t: 모고 두 개 풀고 접음,,
대성마이맥- 한석원t: 4의 규칙, 화룡점정, 모의고사(현장1, 현장2, 실전, 파이널)
배성민t(작년에 다 풀어서 올해는 별로 안 풂.. ㅜㅜ): 카운터 어택
이창무t: 문해전(미적만), 클리어(1회~5회)
호훈: 스타트업, .. 작년에 풀어서 호훈쌤들 것도 못 풀었네요,,
오르비북스: 황보백t: 랑데뷰 세미나, 어썸 랑데뷰(정현경t&황보백t) 모의고사, 랑데뷰 모고(다 샀지만, 시즌 드문드문)
파급효과(1월에 잽싸게). 써놓고 보니 적네요.. (기대모 갠적으로 좋아하는데 올해는 풀 시간이 없었,,)
시대ㅇㅈ북스: 샤인미 N제, 샤인미 모의고사, 제헌이 all new 모의고사, 일격필살 N제(미적만), 월격필살(7, 8월)
해모(다. 재수생 입장에서 문제 너무 겹쳐서 좀 그랬음..).
강남대성: 강모K, K 27, The 27, 하이포텐, N키트, 너만키, 수능 S 교재
강호길(미적), 박대준(수학1), 신민우(수학2), 김경한(선택 수업) 부교재 와앙차앙
시대ㅇㅈ: 서바N모고(1~16회), 브릿지(15~30회), 숏컷( 수1, 미적)
강기원t: step1 어싸, Step1&2(2는 반 정도만.. 시간이 없었어요 ㅜㅜ)
장재원t: 카이스브로커(수1, 수2)
써놓고 보니 생각보다는 많이 푼 느낌이 안 드네요,, (아닌가..?)
영어- 재종 숙제만 허허. 수특, 수완도 안 푼 게으름... 해시태그 모의고사 from 강대
2. 어떻게 풀었는가
문제를 푸는 이유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여러분은 왜 문제를 푸나요? 문제 푸는게 공부라서??
현역 때는 저거의 1.5배 정도 풀었었습니다. 하지만 퍼엉 터졌었죠. (..;;;;)
어떤 차이 때문이었을까요?
흔히들 공부 시간에 수업 시간도 같이 넣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건 잘못된 거에요.
간단명료하게 말하자면,
공부는 1) 어떻게 생각할지 생각의 회로를 만들고,
2)문제를 풀며 생각의 회로를 작동시키는 겁니다.
즉, 1번을 해야만이 2번을 할 수 있겠죠?
이제 제가 현역 수능을 못 본 이유가 나왔습니다. 전 2번만 했거든요.
1번을 해야 2번이 가능하다며요? 그래요!
저는 2번만 시도하다 수능보러 간겁니다. 아시겠나요?
저는 공부의 방법론에 대해 얘기하는 것을 그리 좋아하지 않습니다. 어차피 하나거든요.
성적을 비약적으로 올린 모든 분들도 다 알 것이고, 누구는 자연스럽게 처음부터 이렇게 했겠죠.
그걸 단지 저는 글로 옮겼을 뿐이에요.
하지만, 저렇게만 써놓으면 "그걸 누가 몰라??" 라는 반응이 나옵니다.
아마 여기서 현재 나오는 칼럼 무용론이 등장하는 것 같습니다.
그럴듯한 허울 좋은 말뿐이다..
과연 그럴까요?
전 저 말을 진정으로 지킨 사람들은 성적이 반드시 오르리라 자부합니다. 그 말들이 맞다고요.
???: 근데 전 봐도 모르겠는데요?? 뭔 도움이 돼? --> 당연한 반응입니다. 잘못된 게 아니에요.
정리하자면,
저 짧은 글자들이 공부라는 엄청난 개념을 담기 부족한 겁니다.
칼럼을 쓴 사람들이 전달하는 바가 온전히 전달되기 어렵다는거죠.
그게 칼럼을 쓴 사람들의 글솜씨가 부족한 것도, 독자들이 이해력이 딸리는 것도
그 무엇도 아니라고요... 정말 글로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이에요. 말로 하기도 어려운데...
그러니 그 점 감안해서 읽어주셨으면 합니다.
일단, 차근차근 풀어서 최대한 전달하려고 노력하며 말해볼게요.
1) 생각의 회로를 만들어보라.
항상 일관된 방법 없이 순간 순간 번뜩이는 아이디어에 의존하게 되면,
수능장과 평소 실력 간의 괴리가 발생하게 됩니다.
긴장과 함께 평소만큼 생각이 번뜩이지 않는거죠. 그래서 정해진 회로가 있어야 합니다.
여러분이 수업을 듣는 것도, 개념서를 읽는 것도 전부 이 1)을 위한 거에요.
예를 들어볼까요?
여러분은 2019 수능 만유인력 지문을 보면 무슨 생각을 하나요?
대부분 천체에 대한 내용이다, 디지게 어려웠다, 31번 보기 문제 (심한 욕**)
정상이에요.
하지만 여러분들이 수능을 보려고 공부한 사람들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저는 저 지문을 보면, 이런 내용이 떠올라요.
"도입부의 영향력이 매우 큰 지문이었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압축적인 도입부가 제시되면,
뒷 문단들을 1문단과 연결지어 읽어야겠다."
여러분들 중에서 정말 문제를 많이 푼 사람들은 이게 의식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체화됩니다.
저런 생각을 의식적으로 하는 않았지만, 저런 지문들을 보고 1문단과 연결짓는 습관이
'나도 모르게' 형성된거죠! 그래요, 많이 풀면 되는 거 맞아요.
근데 나도 모르게 하던 걸 내가 알게 하게 된다면..? 굳이 많이 풀어야 할까요? 아닙니다..
간혹 교과서나 쎈만 봐도 수능 다 맞을 수 있다고 하는 사람들 있잖아요?
물론 동의하지는 않지만, 대략적으로 말의 의도는 알겠거든요.
정말 한 문제를 풀더라도 그 문제에서 얻을 수 있는 것들을 온전히 얻어가면 저정도로도
충분하다는 것을 강조한거라고 생각해요.
즉, 공부를 할때 생각의 회로를 만들라는 것은
문제를 풀면, 다음부터 이런 류의 문제를 어떻게 풀 것인가를 작전을 짜서
한 문제를 풀면 하나의 깨달음을 얻는
'푼 문제 수= 깨달음 수'
를 달성하라는 것입니다!
일관된 풀이, 정해진 회로. 이 둘의 의미를 아시겠나요?
어떤 문제가 나오더라도 내가 새긴 의식적 회로를 만들려 공부하는 것.
정말 풀어봤던 유형이면 모두 풀 수 있는 공부.
정말 이런 올바른 방법으로 공부했는데 실패했나요?
저도 현역 때 너무나 분하고, 내 실력과 다른 성적을 받은 거 같고, 긴 시간 동안 자책했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든 이유를 찾아내지 않으면 또 해도 똑같은 결과가 나올 거라는 막연한 두려움을
떨치기 어렵더군요.
그리고 내렸던 결론들이 이것들이었습니다.
내가 공부(깨달음)가 아니라 문제를 풀었구나.
이제 정말 푼 문제수와 깨달음 수를 일치시키는 공부를 해야겠다.
그리고 재수하며 저런 생각들과 함께
저만큼 풀었어요. 포스트잇 빽빽하게..! 말 다했다고 봅니다.
(근데 화학 *** 제가 부족한거죠.. 어디까지나 확률 싸움이기도 하고...)
각설하고, 2023수능을 보는 분이라면 꼭 고민해봤으면 좋겠습니다.
내 공부는 올바른가?
이러한 근본적 생각은 수능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
지금 이 시점에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메타고 뭐고 지금 올렸습니다.
제 답이 유일한 정답이 아닙니다.
치열하게 자신만의 답을 내보세요.
그리고 공부하세요.
*이 글은 UR독존님의 글이 너무 좋아서 실제 지인인 제가 당사자의 허락을 받고 다시 올리는 글입니다.
0 XDK (+100)
-
100
-
현역정신데 고3 미적은 당연 열심히 하는데 확통 상대평가도 챙길까요? 메디컬 논술은...
-
사문 3
현재 사문 노베에서 6모 때 백분위99 맞으려면 하루에 몇시간 공부해야 하나요?
-
@jxoooxe 이글쓰려고 만듦
-
강e분 수특 0
똑같은 건가요?? 수특 내용으로 강의해주는건가 그러 책 내용도 똑같나??
-
1. 님? 2.
-
아무거나
-
형 자러간다 6
요새 그래도 꽤 일찍 잔거같음
-
저격메타구나 7
보고있으니 문득 추억이 떠오르는군뇨,,,, 음음 원만한합의를
-
다 뒤졌어 딱대
-
일단 나부터
-
시대단과 다니는게 맞을까요? 미적 고정92점에 기하 좆반고 내신1 베이스에요
-
그냥 대놓고 ufc 하죠 나같은 누비들은 누가누군지 알수업어
-
자취나 긱사 가고 싶다
-
한동안 왜 없나 했다
-
과거 얘기 들먹이면서 사실 그랬는데 ~ 이랬음 이러면서 그냥 싸우는 것과 별개로...
-
학과활ㄷ동 1학기에 좀 할건데 시간표는 걍 최소학점임 근데 시간표 보여달라하면 어캄...
-
수고했어요다들
-
아닌가 학사 살 때처럼 될까봐 무섭네
-
오랜만에 왔는데 이게 뭐지..
-
그래서 시간 좀 지난 사진으로만 ㅇㅈ하는거... 요새 이런저런 일들 때문에 멘탈도...
-
딱 느낌이 왔음 5
다음주면 오르비 개노잼되고 리젠죽을것같은 느낌이
-
배경화면 ㅇㅈ 6
더라렉을 보고 가치관이 잡힘 물론 생명은 안 하지만 윤도영 선생님 감사합니다
-
두과목만 신청하면 되는데 실패할 일 없겠지
-
빨리 지나가고 재미있는 글이나 올라오면 좋겠으면 개추 ㅋㅋ
-
그렇다
-
온갖 음지 드립에 절여진 나.. ㄴㄱㅁ는 그냥 반가울 때 하는 아침인사임..
-
딸 치고왔더니 5
메타를 못따라가겠네
-
지워도 티 안나지? 그 분이 연락 안보고 있었을때 지운거라면
-
쪽지줘 내가 다 정리해줄게
-
오늘 하루종일 개뻘글만싸는데 하루사이에 4명인가 5명 팔로함 대체 왜하는거임?
-
최저러 수특 1
3등급 안정 목표고 강기분까지 할 예정인데 수특 문학 독서 꼭 풀어야 하나요?
-
진작에 차단해서 그런가
-
응응
-
잇올이 시설 잘되어있고 관리 빡세서 돈 생각 안하면 잇올이 맞긴한데 거리,비용...
-
프본인데 인생 어카냐 10
하..
-
화혁 안다고 옯틀딱이라고 하는 건 너무한 거 같아요 7
그 정도는 틀딱이 아니라고 생각해오
-
엄 4
마가 준비한 식사
-
증명사진 풀버전은 보여주고 탈릅해야됨...
-
1. 화혁이라는 인물은 2024년 초-중-후반에 활발하게 활동하던 오르비언이었다....
-
이건 무슨일임뇨?
-
삼반수할꺼고 작년 수능 사문 4였는데 런치는게 맞을까유... 사문 작년에 공부하면서...
-
미적분 극복법 9
방학동안 미적 개념 정말 열심히 돌렸는데 킬러가 진짜 너무 안풀려요ㅠㅠ 혹시 다들...
-
ㅎㅎ이 누군데 0
어어.. 그냥 자야지 몰라
Ur독존님이 올려주신 정리집 보는중이라 관점이 비슷하다고 생각했는데 그분이아기였구나... 얼마전에 숙제라고 올려주신 지문이랑 감상문 여러번 읽어보시는거 추천드립니당.. 저는 3일연속으로 한지문 ㅡ> 감상문 이렇게 봤는데 처음 볼때랑 두번째 세번째는 와닿는게 달랐어요
넵 그분 현실 지인이고 동의 하에 출처 표시해서 올립니다
캬

정말 많이 도움되는 글이네요 감사합니다
캬….행동영역 같은 거군요

이분 뱃지 레전드네와..성적 여쭤봐도 되나요
Airfrance 님의 2020학년도 수능 성적표
네네
에피따고 에피오프가고 싶다
지원 가시죠 ㅎㅎ
일관된 풀이는 본인이 직접 찾아야 하는건가요? 수학 강사 어느분 들어야 할까요?ㅠㅠ

희파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