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os [478820] · MS 2013 · 쪽지

2015-10-29 17:58:26
조회수 581

지1이랑 생2 대기중 CO2농도 관련 설명이 상충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710474



일단 지1 하시는분들은


원시대기에서 CO2 농도가 감소한다고 알고계실텐데



생2에서는
비상 교과서 220쪽>

최초의 생명체는 오늘날의 세균과 유사한 원핵생물이엇으며, 약 39억년 전에 출현한 것으로 추청된다. 그 당시 지구의 대기에는 산소가 없었고 바다에는 많은 유기물이 농축되어 있었다.

따라서 최초의 생명체는 유기물을 섭취하여 이를 산소 없이 무기물로 분해하는 무산소 호흡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 종속 영양 생물로 추정된다. 이들이 번성하면서 바다에 있던 유기물의 양이 감소하고,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증가하였을 것이다.

이와 같이 원시 지구의 환경이 바뀌어 감에 따라 이산화탄소로 광합성을 하여 양분을 얻는 독립영양 생물이 출현하였다.

 

<상상 교과서 185쪽>

종속 영양 생물인 원핵생물이 번성하면서 원시 바다에 축적되어 있던 유기물이 점차 감소하였고,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 농도는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이용 가능한 유기물이 감소함에 따라 새로운 물질대사 체계를 갖춘 생물군, 즉 스스로 유기물을 합성하는 새로운 형태의 생물군인 독립 영양 생물이 출현하게 되었다.

독립 영양 생물은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는 광합성 생물이었을 것이다.

 



이런 샹샹바같은 ???




뭐라고 봐야하죠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410434486656 · 610428 · 15/10/29 18:01 · MS 2015

    생2에선 증가로보는게 맞죠!

  • 아으아오으 · 572431 · 15/10/29 18:03 · MS 2015

    종속 영양 생물의 호흡에 의한 증가를 말하는거 같습니다

  • 키랄 · 488086 · 15/10/29 18:08

    그.. 뭔가 헷갈리고 계시는거 같은데
    생2에서 말하는것은 무산소호흡종속생물이 많아짐에 따라 이산화탄소농도가 증가하게되고 이로 인해 독립영양생물이 출연하게 되었다라는 시점을 보여줌으로서 왜 독립영양이 생성됬는지를 서술한 관점이구
    지1관점은 이산화탄소가 수권에 HCO3- 형태로 용융되어서 석회암으로서 지권으로 이동한다는 관점이죠
    둘이 크게 모순되는지점은 없습니다
    그리고 지1에서 나오는 그래프자체도 co2는 감소그래프로서 소개되구요
    산소는 25억년전부터 나오는걸로 서술되어져있는 그 그래프요
    둘이 혼동되지 않게 나올겁니다
    원리만 이해하시면 될듯?

  • 키랄 · 488086 · 15/10/29 18:09

    그리고 co2가 감소하는 상태이지 계속 감소한다를 의미하지는 않으니까요

  • asos · 478820 · 15/10/29 18:28 · MS 2013

    어차피 대기중 CO2 농도는 관점에 관계없이 증가하거나, 감소하거나 둘중 하나 아닌가요? 생물학적 관점에서 봤을때 CO2가 증가하고, 지구과학적으로 봤을때 CO2가 증가한다는것인지..

  • asos · 478820 · 15/10/29 18:31 · MS 2013

    저는 대기중 CO2가 용해되는 속도가 종속영양생물의 호흡에 영향을 받지 않을정도로 빨라가지고, 호흡에 관계없이 CO2 농도가 감소한다고 생각했어요.

  • asos · 478820 · 15/10/29 18:37 · MS 2013

    그런데 생2 교과서의 서술을 보자면, 마치 처음부터 대기중에 CO2 농도가 매우 낮았다는 느낌인데 이게 이해가 안가요..

  • 키랄 · 488086 · 15/10/29 18:41

    그리고 원시대기에는 생2서술상으로는 메테인 암모니아 수소 수증기만 존재한다고 나와있습니다

  • 키랄 · 488086 · 15/10/29 18:38

    아마 근데 독립영양생물 출현하고 탄소가 지권에 고정될거에요
    그럼 시점상으로 안겹칠듯한데요?

  • asos · 478820 · 15/10/29 18:45 · MS 2013

    지1 참고서에도 언제부터인지 정확히 서술되있지 않긴 한데, 그렇게 봐도 원래부터 CO2 농도가 높았다고 봐야하는거 아닌가요?(광합성하는데에는 아무 지장 없을 정도로) 그런데 교과서 논리는 종속영양덕분에 CO2농도가 증가해서 -> 광합성생물이 출현했다 이런식인데, 저는 아무래도 서술의 편의를 위해 이렇게 쓴 것이 아닌가 싶거든요..

  • asos · 478820 · 15/10/29 18:48 · MS 2013

    원시대기에 대해서 생2에서는 보통 환원성 대기라고 하죠? 근데 실제로는 산화성 대기라고 하는데(덕분에 심해열수구가설이 유력한걸로 여겨지고요) 아무래도 생2에서 솔직히 지구과학을 신경 쓸 필요는 없으니 적당히 서술한거같은데... 아닐까요?

  • 키랄 · 488086 · 15/10/29 19:18

    산화성 대기라는거는 최근에 밝혀진 유력한 가능성으로 제기되고 있는건 맞는데요
    아마 교육과정내에서는 원시대기는 환원성 기체들로서 존재하고 메테인 암모니아 수소 수증기로서 존재한다 정도까지만 알아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만약 오류시비가 걸려도 이건 기출된 사항이어서
    명명백백하게 들고가서 우길만한 자료가 일단 있는 상태이고
    교과서 교학서 권, 비상을 봐도 그냥 환원성으로 보는게 제일 타당해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