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지문 정복하기 #수요칼럼 (feat. best cut)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691322
![]() | 일반론 |
이해국어 |
철학 지문 읽기, 이거 정말 어려운 일이지.
철학적인 내용은 깊이가 있고, 때로는 너무 복잡해서 이해하기 어렵거든.
그런데, 막상 이해하고 나면, 생각의 세계가 넓어지는 경험을 할 수 있어.
그래서 오늘, 철학 지문을 읽는 방법에 대해 조금 이야기해보려고 해.
먼저, 철학 지문을 읽을 때는 서두르지 않는 게 중요해.
천천히, 한 문장 한 문장 집중해서 읽어야 해. 어떤 문장이 이해되지 않더라도 당황하지 않는 거야.
잠시 멈춰서 그 문장이 무슨 뜻인지 생각해보고, 필요하다면 다시 읽어보는 거지.
그리고 철학적인 주제들은 종종 우리 일상과 연결되어 있어.
그래서 지문 속에서 나온 생각들을 내 경험과 연결해보는 것도 도움이 돼.
예를 들어, 지문에서 '자유'에 대해 이야기한다면, 나는 '자유'가 내게 어떤 의미인지,
나는 언제 자유롭다고 느끼는지 생각해볼 수 있어.
또한, 철학은 여러 철학자들의 다양한 생각들로 이루어져 있어.
그래서 하나의 주제에 대해 여러 철학자들이 어떻게 다르게 생각하는지 알아보는 것도 흥미로워.
이런 과정을 통해, 나만의 생각을 형성할 수 있고,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는 능력도 키울 수 있어.
마지막으로, 철학 지문을 읽고 나면, 내가 이해한 것을 말이나 글로 표현해보는 연습을 해보는 건 어떨까?
이건 내 생각을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되고, 또 다른 사람과의 대화에서 내 생각을 나눌 수 있는 기회가 될 거야.
철학 지문을 읽는 것은 분명 쉽지 않지만, 이렇게 차근차근 접근해보면,
철학이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그리고 우리 생각이 어떻게 넓어질 수 있는지 경험해볼 수 있을 거야.
철학은 결국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탐구니까.
하지만 이렇게만 설명하면 어떻게 읽어야 할 지에 대해 정확히 모를 거라 생각이 들어서
실제 수능에 나왔던 두 가지 패턴에 대해 아래에서 얘기해보려고 해.
![]() | 다양한 인물과 다른 시대 |
이해국어 |
유학자들은 도를 인간 삶의 올바른 길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았다. 중국 송나라 이후 유학자들은 이러한 유학의 도를 기반으로 현상 세계 너머의 근원으로서 도가의 도에 주목하여 노자 주석을 전개했다. 혼란기를 거친 송나라 초기에 중앙집권화가 추진된 이후 정치적 갈등이 드러나면서 개혁의 분위기가 조성됐다. 이러한 분위기하에서 유학자이자 개혁 사상가인 왕안석은 노자주를 저술했다. 그는 노자의 도를 만물의 물질적 근원인 기라고 파악하고 현상 세계에 앞서 존재하는 기의 작용에 의해 사물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그는 기가 시시각각 변화하듯 현상 세계도 변화한다고 이해했다. 인위적인 것을 제거해야만 도가 드러나고 인간 사회가 안정된다는 노자를 비판한 그는 자연과 달리 인간 사회의 안정을 위해서는 제도와 규범의 제정과 같은 인간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혜와 덕이 뛰어난 사람이 제정한 사회 제도와 규범도 현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노자의 이상 정치가 실현되려면 유학 이념이 실질적 수단으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왕안석은 노자를 유학의 실천적 측면과 결부하여 이해했다. 송 이후 원나라에 이르러 성행하던 도교는 유학과 불교 등을 받아들여 체계화되었지만 오징에게는 주술적인 종교에 불과했다. 유학자의 입장에서 그는 잘못된 가르침을 펴는 도교에 사람들이 빠지는 것을 경계했다. 그는 도교의 시조로 간주된 노자의 가르침이 공자의 학문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밝히고자 도덕진경주를 저술했다. 그는 도와 유학 이념을 관련짓는 구절을 추가하는 등 노자의 일부 내용을 바꾸고 기존 구성 체제를 재편했다. 노자의 도를 근원적인 불변하는 도로 본 그는 모든 이치를 내재한 도가 현실화하여 천지 만물이 생성된다고 이해했다. 이런 관점에서 그는 유학의 인의예지가 도의 쇠퇴 때문에 나타난 것이라는 노자와 달리 도가 현실화하여 드러난 것으로 해석하고 인간이 마땅히 따라야 할 사회 규범과 사회 질서 체계도 도가 현실화한 결과로 파악했다. 원이 쇠퇴하고 명나라가 들어선 이후 유학과 도가 등 여러 사상이 합류하는 사조가 무르익는 가운데 유학자인 설혜는 자신의 학문적 소신에 따라 노자를 주석한 노자집해를 저술했다. 그는 공자도 존중했던 스승이 노자이므로 노자 사상에 대한 오해를 불식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기존의 주석서가 노자의 진정한 의미를 제대로 밝히지 못했기 때문에 유학자들이 노자 사상을 이단으로 치부했다고 파악한 것이다. 다양한 경전을 인용하여 노자를 해석하면서 그는 노자의 도를 인간의 도덕 본성과 그것의 근거인 천명으로 이해하고 본성과 천명의 이치를 탐구한다는 점에서 노자 사상과 유학이 다르지 않다고 보았다. 또한 그는 노자에서 인의 등을 비판한 것은 도덕을 근본으로 삼게 하기 위한 충고라고 파악했다. |
지금 보이는 것처럼 인물과 시대상이 다양하게 나오는 글이 있어.
이런 식의 철학글에서 반드시 지켜야 하는 하나의 방법론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차이점과 공통점 찾기'야
이런 글을 읽을 때, 먼저 각 인물이나 시대의 배경을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해요.
왜냐하면, 각 인물의 생각과 철학은 그들이 살았던 시대의 상황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니까요.
예를 들어, 송나라의 왕안석과 원 나라의 오징의 생각이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그 차이가 왜 생겼는지를 이해하는 것이죠.
그 다음엔, 그들의 생각에서 공통적인 요소를 찾아보는 거예요.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시대의 철학자들이 인간의 도리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는지,
그리고 그들의 생각이 현재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생각해볼 수 있어요.
이 과정을 통해, 나는 철학적 개념을 더 넓은 관점에서 볼 수 있게 되고,
여러 시대와 인물들 사이의 연결고리를 발견할 수 있게 돼요.
이런 방식으로 철학을 접근하면,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넘어서,
역사와 철학 속에서 인간 사상의 흐름을 이해하고, 나만의 생각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죠.
'차이점과 공통점 찾기'는 철학적 사고를 키우는 데 아주 중요한 방법이에요.
이런 방식으로 철학을 공부하면, 나중에 다양한 주제에 대해 더 깊이 있는 생각을 할 수 있게 될 거예요.
철학은 결국 다양한 생각들을 이해하고, 그 안에서 우리 자신의 위치를 찾는 과정이니까요.
![]() | 언어로 하는 연산 |
이해국어 |
한비자는 중국 전국 시대의 한비자가 제시한 사상이 담긴 저작이다. 여러 나라가 패권을 다투던 혼란기를 맞아 엄격한 법치를 통해 부국강병을 꾀한 한비자는 노자에 대한 해석을 통해 자신의 법치 사상을 뒷받침했고, 이러한 면모는 한비자의 해로, 유로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노자에서 '도'는 만물 생성의 근원으로 묘사된다. 도를 천지 만물의 존재와 본질의 근거라고 본 한비자의 이해도 이와 다르지 않다. 그는 자연과 인간 사회의 모든 현상은 도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고 보고, 인간 사회의 일은 도에 따라 제대로 행했는가의 여부에 따라 그 성패가 드러나는 것이라고 이해했다. 한비자는 노자에 제시된 영구불변하는 도의 항상성에 대해 도가 천지와 더불어 영원히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 도가 모습과 이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했다. 그리고 도는 형체가 없을 뿐 아니라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때와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하는 것이라고 파악했다. 도가 가변성을 가지고 있어야 도가 일정한 곳에만 있지 않게 되고, 그래야만 도가 모든 사물의 존재와 본질의 근거가 될 수 있다고 파악한 것이다. 그는 도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통치술도 고정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한비자는 도를 구체적인 사물과 사건에 내재한 개별 법칙의 통합으로 보고, 노자의 도에 시비 판단의 근거라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했다. 항상 존재하는 도는 개별 법칙을 포괄하기 때문에 다양한 개별 사건의 시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고, 이러한 도에 근거해서 입법해야 다양한 사건을 판단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는 만족을 모르는 인간의 욕망을 사회 혼란의 원인으로 지목한 노자의 견해에 동의하면서도, 노자에서처럼 욕망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고 인간은 욕망을 필연적으로 가질 수밖에 없음을 지적하며 욕망을 제어하기 위해 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철학은 언어를 사용해서 복잡한 생각이나 개념을 탐구하고, 설명하는 일종의 '정신적 연산'이라고 할 수 있어요.
특히 특정한 개념을 깊이 파고들 때, 그 개념을 정의하고 이해하기 위해 '모든', '어떤'과 같은 양화사나
논리학적 도구들을 활용하는 건 정말 중요해요.
위에 보이는 글로 예를 들어,
|
그리고 이와 같은 지문의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여러분이 잘 알고 있는 '헤겔 지문 (가)'입니다.
그래서 제가 현강에서 진행했던 수업에 베스트 컷을 영상으로 첨부했어요.
혹시라도 내 수업에 관심이 있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줘
: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480/l
: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480/l
: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480/l
![]() | 문헌과 추가자료 |
수능국어 공략집, 이해국어 |
이번 글을 쓰기 위해서 참고로 한 문헌은 아래와 같아.
- 논의분석의 기예 (이상하, 조관형 공저 | 파워LEET )
- 세상에서 가장 빠른 철학 공부 (보도사 편집부 저/박소영 역/오가와 히토시 감수 | 위즈덤하우스)
- 논리학입문 (어빙 코피 | 이론과실천 )
그리고 여러분들이 글 읽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칼럼도 추가적으로 작성했으니
한번 참고해주길 바랄게
그럼 모두들 화이팅!
Simple! 문학을 뚫기위한 첫 걸음!! (칼럼 #1): https://orbi.kr/00065995327
How? 오답률을 활용하는 방법 (칼럼 #1): https://orbi.kr/00066113147
Omit! 생략된 부분을 찾아야 한다 (칼럼 #1): https://orbi.kr/00066356866
Word! 국어 공부의 기초, 단어 공부하는 법 (칼럼 #1): https://orbi.kr/00066356951
&
Pattern! 읽기, 나를 알아야 이긴다!! (칼럼 #1): https://orbi.kr/00066173512
Reasoning! 이것만은 알자!! 글의 구성원리 (칼럼 #1): https://orbi.kr/00066246813
Open! 2024학년도 9모가 남긴 문학 해석 열쇠 (칼럼 #1): https://orbi.kr/00066369311
Vector! 수능이 남긴 문학 해석 열쇠 (칼럼 #1): https://orbi.kr/00066357041
E중성! 문제에 숨어있는 논리적 구조 (칼컴 #1): https://orbi.kr/00066369367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얼버기 0
부지런행
-
낄낄낄 2
1교시 ㅋㅋㅋ
-
먼저 잡아먹힌다
-
넵
-
공부 해야하니깐 이제 옷에 돈 안 씀ㅇㅇ(엄카제외)
-
벌써 수요일이라니.
-
오늘도 무휴반 0
가보자고
-
배송 완료 돼있댔는데 문 앞에 없음 주소 잘 찍었음 이럼 어떡함??
-
얼버기 0
민나 오하요
-
얼버기 0
아흑 개졸려 ㅜㅜ
-
다른 과목이랑 달리 모든 사람들이 어느 정도 다 잘하니까 1등급으로 가는게 너무 빡셈
-
윫하 0
-
심화엔제중에서요
-
쌓인 화가 많으니 사소한 일들에도 열이 뻗치지 에혀..
-
이젠 괜찮은데 0
사랑따윈 저버렸는데
-
작년 고3 10월 공시인데 지금은 절대 못함 어떻게 9시에 자고 4시에 일어나서...
-
23회 - 86분 100 전 어려웠음 24회 - 77분 100 이것도 어려운편..같은데
-
안녕 2
좋은 아침이야
-
앞으로는 걍 당하면 바로 차단부터 박아야겠다
-
36cm²마다 두개씩박혀있음 디지게맵네
-
(예고) 1
오전 10시에 업로드 예정 많관부
-
너무귀여움
-
경기 결과는 예상이 가는데
-
D-225 0
영어단어 영단어장 day 2(80단어) 추가 표제어 암기 국어 내신 범위...
-
성적 오엠알 돌린거 오늘 나눠줫는데 국수영탐 12111인디 표점?으로 등수매긴거...
-
또잠시간놓침
-
눈도 건조하고 미치겠네잉
-
잠이 안오는거구나
-
내 생일이 17일이여서
-
ㅇㅇ?
-
스튜디오지브리/너의 이름은/초속 5센티미터 /짱국 극장판...
-
진짜 잡니다 2
하 7시일어나야하는데 수행도 있고 몸은 아프고 정신도 왔다갔다 하고 에휴
-
그래서 지금은 작년에 리트 풀다 남은거 끄적이는 중인디 앞으로도 걍 강의 거의...
-
취르비 질받 0
사실 한병이라 거의 안취함
-
무물보 받아요 2
일하느라 잠못자는중
-
차단한 사람이 탈릅하면 차단이 해제돼서 그 사람이 썼던 글들이 다 보인다
-
현역 74347 입니다(화작 미적 지1 물2) (물2는 가오용) 시립 경희 홍익...
-
인생을 살아 제발
-
역시 알바는 2
내가 일 잘하는 것도 중요한데 좋은 사장님 만나는 것도 중요한듯
-
음식 자주 끼네 님들은 평소에 양치 잘 하셈
-
한 10개 남았는데 완결까지 극장판을 봐서 결말을 아니까 슬픔
-
야!!!!!! 17
-
첫번째 별은 사랑 너와 나는 둘이면서 하나 두번째 별의 소원은 거기 있는 너는 너,...
-
진짜 파라다이스네 그냥
-
잘자요 6
조용한밤
-
와 갸졸려 ㅁㅊ 5
근데 게임 일퀘 안한거같아 어제도 안하고 그냥 잠들었능데
-
한계를 느꼇다 0
진짜 도무지 모타겟다 GG
-
한의대가고싶어 근데학교수업도듣고생활도하고공군준비도하고수능준비도해야되고알바도해야됨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