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썰(칼럼?)) winter는 명사인가요? feat.방울방울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196702
동사의 불규칙 변화표.pdf
동사의 불규칙 변화표 시험지.pdf
안녕하세요 여러분 제T 입니다 :)
오늘은 단어 학습 전략의 마지막 글로 품사에 관해 썰(칼럼?)을 풀어 볼까해요.
그 전에 우선 영어 학습은 어떤 단계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관해 이야기 싶어요. (갑자기?? 응 내맴~)
영어를 학습하는 건 어떤 단계로 이루어져야 할까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저는 원론적인 수준에서, 영어의 가장 정석적인 학습은
‘단어 → 구와 절 → 문장 → 지문’의 순서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해요.
왜냐하면,
'단어'가 모여서 '구와 절'이 되고,
'구와 절'이 모여서 '문장'이 되고,
'문장'이 모여서 '문단과 지문'이 되기 때문이죠.
'단어'에 대한 이해가 '구와 절'에 대한 이해를 만들고,
'구와 절'에 대한 이해가 '문장'에 대한 이해를 만들고,
'문장'에 대한 이해가 '지문'에 대한 이해를 만든다면,
앞에서부터 차근차근 해나가는게 체계적이잖아요.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법지식이 필요하니, 문법공부는 독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수적이겠구요!)
하지만 대개는 문장과 문장을 비교대조한다든지,
빈칸이 들어간 문장의 앞뒤를 강조하며 정답의 근거를 제시한다든지 하는 방식으로
'지문'을 다루는 강의가 주류를 이루고, 인기도 가장 많은거 같아요.
그냥 정답 맞추면 장땡으로 여겨지는 입시에서는 그런 방식의 학습이
빠르고, 간편하고, 직접적이며 즉각적으로 점수를 올릴 수 있는 방법으로 느껴지기 때문이겠…죠?
그렇지만 문제 왕창푸는 방식으로 공부했는데 특정 수준 이상으로 영어점수가 오르지 않는다거나,
정답은 맞췄지만 정확한 해석에 기반했다기 보다는 지문의 구조를 토대로 맞춘거라서
뭔가 감으로 찍어 맞춘 것 같은 찜찜함이 불쾌하신 분들은,
공부 방법을 지문에서 단어로 내려가는 Top-Down 방식 보다는
단어에서 지문으로 올라가는 Bottom-Up 방식으로의 공부를 고려해보시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요 :)
시간과 노력은 더 많이 들겠지만, 더 탄탄하게 ‘영어’를 배울 수 있을겁니당.
음음; 각설하고; 본론으로 돌아와서ㅎㅎ
제가 쓴 제목은 어그로를 끄는 방법(!)인 동시에
제가 이 포스팅을 통해서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의 핵심이에요.
winter는 명사인가요? 맞다구요? 왜죠? 아니라구요? 왜때문입니까! (급발진 주의...)
영어에는 총 8개의 ‘품사’(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접속사, 대명사, 감탄사, 전치사)가 있어요.
‘품사’는 ‘자격 품, 말 사’의 조합으로, ‘자격을 나타내는 말’이라는 뜻이에요.
그리고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영어단어는 저 8개의 카테고리 중 하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단어가, 어떤 카테고리에 속하는지를, 분류하는 기준이 뭘까요?
winter가 명사라고 생각하신 분들은, 어떤 이유에서 명사라고 생각하셨나요?
단어가 특정 품사를 갖게 되는 첫번째 기준은 ‘의미’입니다.
winter가 명사라고 생각하신 분들은 아마 뜻이 ‘겨울’이니까 명사라고 생각하셨을거에요ㅎㅎ(맞쥬??)
apple이 명사인 이유, eat이 동사인 이유, beautiful이 형용사인 이유는,
각각의 의미가 명사(사과), 동사(먹다), 형용사(아름다운)를 나타내기 때문이에요.
즉, ‘의미’는 특정 단어를 특정 카테고리(=품사)로 분류할 수 있는 첫번째 기준이 됩니다.
하지만 ‘의미’가 품사를 결정짓는 유일한 기준은 아니에요 :) 아래 문장을 한번 보세요.
My favorite season is winter. (winter 명사)
These birds winter in Korea. (winter ??)
(오 지금 발견했는데 윗줄 읽으면 윗줄은 주황색 아랫줄은 빨간색, 아랫줄 읽으면 윗줄은 빨간색 아랫줄은 주황색으로 보임요...)
혹시해서 말씀드리는데, These birds winter in Korea는 잘못된 문장이 아닙니다 :p
그렇다면, 여기서의 winter는 품사가 뭘까요??
넵, 동사입니다.
그리고 이게 이 글에서 제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이에요.
단어의 품사가 결정되는 두번째 기준은, 문장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어떤 구성성분으로 활용되는지) 라는 것!
그러니까 winter의 품사가 뭔가요?라는 질문에 적절한 대답은 사실,
‘몰라. 문장이 어떤지 봐야돼’ 라는 거에요. (apple처럼 의미만으로 품사가 결정되는 단어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게 문장의 5형식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단어의 의미가 무엇인지와 어떤 문장성분으로 활용되었는지는 서로가 서로를 규정하며 ‘품사’를 확정 짓습니다.
따라서 구조(=5형식)를 알아야 어떤 구성성분인지, 어떤 품사인지를 파악할 수 있고,
품사가 파악이 돼야 해석이 원활하게 되거든요^^;
*의미 → 품사 → 문장성분
*의미 ← 품사 ← 문장성분
(방울토마토의 동사사용 실례)
저도 예전에 학원 다니면서 영어를 배우지 않았겠습니까.
사실 저는 독해보다도 문법을 학원에서 배우고 싶었는데, 공부하다가 포기했어요.
선생님이 ‘여기는 보어 자리니까 형용사가 와야 돼요. 그래서 답은 1번입니다’라고 설명하셨었는데,
이 설명은 제가 이해하기에는 불충분하게 느껴졌거든요.
당시의 저는 ‘보어자리니까’, ‘형용사가 와야 한다’, ‘그래서 답은 1번이다’라는 말이
전부 잘 이해되지 않았습니다.
보어가 뭔지,
뭘 가지고 보어자리라고 하는건지,
왜 보어자리에는 형용사가 와야 한다는 건지,
그리고 1번이 왜 형용사라는 건지가 모두 막연하게 느껴졌어요.
그런데 영어를 가르치게 되었고(고난의 길 ㅠㅠ…),
영어를 가르치는 입장에서
제 수업을 듣는 학생들에게는 보다 명확하게 개념을 전달하려 열심히 연구하다보니 내리게 된 결론,
‘단어의 품사는 1차 방정식이 아니라 의미와 문장성분의 2차 방정식이다.’
실은 제가 초기에 전치사, 대명사, 동사의 불규칙 변화, 접두사와 접미사부터 수업하는 건
‘단어 → 구와 절 → 문장 → 지문’의 순서로 영어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일종의 소신 때문이에요.
단어에 대한 학습이 확장되어
구와 절에 대한 학습으로, 문장에 대한 학습으로, 지문에 대한 학습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생각인데…
정석적인 접근이다보니 투입해야 하는 시간과 에너지가 적지 않다는게 아쉽더라구요.
(빨리 문제 풀고 답맞춰서 점수 올리고 싶은데 언제 기본을 하고 앉았누)
하지만 뭐 제 스타일이니까... 열심히 하다보면 더 많은 호응이 생기겠죠^^;
품사는 사실 제가 진행하는 단어 수업의 최종장이라서,
단어를 수업하며 학생들에게 끝까지 외우게 집착하는 동사의 불규칙 변화표를 첨부하고,
글을 마무리 짓겠습니다^^;; (갑자기?? 응 내맴~)
전치사의 의미와 더불어 반드시 꼮꼮꼮 암기해야만 하는 내용이니,
혹시 아직 암기가 안되어 있는 분 있으시면 이것만큼은 꼮꼮꼮 암기하시길 바래요.
ps) 혹시 첨부파일 삭제하는 방법 아시는 분 있으면 댓글 좀 부탁드려요ㅠㅠ;
잘못 첨부한 파일 지우는 방법을 도저히 못찾겠습니다...
>>>
그리고 제 약력 적어 놓겠습니다^^; 무물하니까 궁금한거 뭐든 물어보세요~
제T
현재 대치동에서 수업 (곧 짤릴지도...?)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고난의 4수 끝에 빛을 봄)
University of Manitoba 교환학생
서강대학교 영문학과 중퇴
스타트업 기획 및 참여 경험
금융고시(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산업은행) 준비 경험
국내 대기업 및 외국계 기업 인턴 경험
현재 관심사 : 주식, 코인, 연애, 결혼......
0. 안녕하세요 제T 인사드립니다 :)
1. 영어 단어 퀴즈로 외우기 feat.네이버사전
2. 영어 썰(칼럼?)) 단어암기 전략
번외) 단어 효과적으로 외우는 방법에 대한 대답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51130 1
현장에서 해석도 제대로 못하고 포기했다가 얼마전에는 온갖노력을해서 낑낑풀었는데 이제...
-
가격 제시해주세요
-
반수 공부 0
시작하기 너무 싫다
-
술먹고 뻘짓하다가 여자 경찰한테 번호수집당함 수갑은 안찼음
-
김상훈 선생님 0
고전시가 tmi, 문학개념매뉴얼 중 뭘 먼저 들어야 하나요??
-
더 어려운걸 들고와라
-
근디 다 김미영팀장님임
-
내주변엔 현역~재수 중 시절 나를 포함해서 반비례하는 케이스가 너무 많음 바뀐 연대...
-
환율 뭐야 1
원달러 1480원 대라니...
-
성별은 남자기준이구요 개원한의사 정도면 전국 계층 상위 몇퍼 안에 드나요 ?
-
학교 vs 학과 0
둘 다 붙어면 어디가나요? 충북대 윤리교육과 가면 임용고시 볼 생각이고 경북대...
-
매일 +1점, 국어 1등급을 만드는 완벽한 루틴 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대비...
-
스포츠판은 워낙 유명하고 롤판은 이제 슬 아이돌화가 돼서 더이상 이스포츠...
-
미적분 넘어온지 이제 4달? 되어갑니다 공통 베이스가 있어서 그런지 기출이나 엔제를...
-
미중분쟁때 얼마나 코스피 갈렸는지 보고오셈
-
[FIM 222] 2018 Epsilon 1회 30번 [FIM 222] 2018 Epsilon 1회 30번 6
문제가 생각보다 쉬운데 이게 맞나 ㄹㅇ 문제가 생각보다 쉬운데 이게 맞나 ㄹㅇ
-
현생에서 남자애들한테 보내면 씹게이소리듣고 여자애들한테보내면 오해생길까봐 못쓰겠음...
-
공부하는데 잠이 막 쏟아짐
-
앞 네문제에서 어려운 27번정도는 가볍고 사점짜리 풀리는거 가끔있는정도는...
-
쪽팔림
-
의식적으로 자꾸 정리해야될까요 아니면 지금은 그냥 많이 풀어보면 되나요
-
ㅇㅈ 4
ㅎ
-
나도 올해 현역인데 이건 걍 대학 편하게가겠다는거 아님?ㅋㅋ
-
언매 버릴까요 0
작수 언매 다 맞고 24 언매는 2개 틀렸습니다 갠적인 사정으로 공부 시간이...
-
과학이나 서양철학은 이해가 쏙쏙되는데 동양철학 << 이새긴 뭐라는지도 모르겠고...
-
인생 어카지 2
배가 너무 고프다 세상을 잃었다
-
세상이왜이러냐정말
-
여러분 3
무슨 일이 생겨도
-
2025 수능 대비 소우주 모의고사: 신성 제 0호 수록 기하 2문항 드린거...
-
나른나른해서 2
커피마시는중임
-
독학기숙학원 다니다가 넘 힘들어서 나와서 동네 독재 다닌지 한달안되는데 공부량이...
-
[속보]한양대 실험실서 황산 폭발로 화재, 학생 4명 다쳐 3
한양대학교 실험실에서 황산 폭발로 불이 나 실험 중이던 학생 4명이 다쳤다. 9일...
-
세금이장난이야?
-
취미로 시험후기나 올려야겠군
-
대통령 배출 해보셨습니까?
-
저번에 냇엇 베르테르 모의고사 3회 29,30번
-
[짧칼럼] 국어 백분위100의 도식화 (feat.비타민K) 6
안녕하세요 당해년도 9모 언매 3등급 >>2025학년도 수능 언어와매체 원점수...
-
미적하세요 미적
-
1학년인데 서울대로 편입한다는 친구 어떻게 해야함? 11
애초에 편입은 2학년 마치고 하는 거고 서울대는 학사 끝내고 가야하는 걸로...
-
독재학원다니고있는데 학원측에서 학원측에서칠지 모교에서 칠지 와서 적고가라던데...
-
흠 낙첨이군 0
2차추첨 응모 고고혓
-
와 진짜 ㅈㄴ 빡세네
-
외롭지 않다
-
ㅋㅋㅋㅋ
-
ㅋㅋㅋㅋㅋ
-
다풀었다 20
3639문제 정답률 78% 시험전 마지막 헬스 한번만 다녀와서 공부해야지
-
얼버기 6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