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nysunday [580341] · 쪽지

2015-10-08 07:37:05
조회수 856

현재 신입 학번들이 졸업할때는 또 다르지 않을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615693

지금 지옥의 문 열린 문과 학번들이

사실 이공계 기피 시절 즉, 문과 대세 시절에 대학 들어간 사람들인거보면 향후 미래는 또 어케될지

그렇다고 5-6년뒤에 이과가 망한다거나 시든다는건 아니고..문과도 나름 살길이 다시 열리지 않을까요

아닐려나;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Kaynes · 604157 · 15/10/08 07:38 · MS 2015

    베이비부머 은퇴하는 2020년 이후부터는 숨통 조금은 트인다고함..

  • 하루16시간>< · 384093 · 15/10/08 08:22 · MS 2011

    제조업 바탕 대한민국이라 삼성현대 망하지 않는 이상 ..

  • Kaynes · 604157 · 15/10/08 08:24 · MS 2015

    삼성 현대 망하면 우리나라 gdp 최소 20퍼샌트 이상 떨어질듯., 삼성 현대 파산으로 인한 직접적 경제타격+ 하청업체들 줄줄이 도산에 외국자본들 줄줄이 빠져나가고. 한 10년전으로 퇴보할듯

  • 랄라랄 · 480626 · 15/10/08 08:33 · MS 2013

    아예 나라가 망할수도..

  • Kaynes · 604157 · 15/10/08 08:37 · MS 2015

    망하는 정도까진 안가도 상당한 타격은 입겠죠.. 그래도 대한민국이라는 한국가가 대기업 망한다고 나라 망할정도까진 안가지만 심한 타격은 받긴 할듯., 현대는 몰라도 삼성은.. 삼성전자부터해서 삼성의료원 cj 에버랜드 신라호텔, 제일모직,삼성카드, 증권, 삼성 물산,건설 중공업 화학 등등 대한민국에 안미치는 곳이 없는데 .... 대한민국이 휘청거리긴 할듯

  • kim sky · 557592 · 15/10/08 10:04 · MS 2015

    홈플러스 이마트도 삼성임 당황 롯데리아도 삼성이라는소문

  • Kaynes · 604157 · 15/10/08 10:37 · MS 2015

    홈플러스는 외국계기업이 다른데 다 말아먹고 한국에서 유일하게 성공한 기업이구요 롯데리아는 삼성이랑 무관합니다 이마트는 잘 모르겠네요

  • DrakeDog · 603055 · 15/10/08 11:12 · MS 2015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삼성계열사가 도산한다는 가정 자체가 불가능

  • 마티유 · 539449 · 15/10/08 09:20 · MS 2014

    뭔가 잘못알고 계시나본데 ㅋㅋㅋ
    이공계를 기피한다는 건.. 최상위권들이 이공계보다 의대를 더 선호한다고 해서 나온 말이지.. 이공계가 문과보다 취업이 안 돼서 나온 말이 아니에요.
    즉, 이공계는 지금이나 00년대나 90년대나 80년대나 항상 취업이 문과보다 잘 됐다는거.

  • Kaynes · 604157 · 15/10/08 09:21 · MS 2015

    근데 이공계 기피가 00년대 중반쯤 매우심했던거 같은데 그당시 상경계열 취직은 비교적 수월하고 서울 근무에 사무직이라 이공계 선호도가 밀렸던건 사실이에요... 공대가면 지방근무에 기술직이니. 지금도 취직만되면 삶의질자체는 문과가낫습니다

  • 마티유 · 539449 · 15/10/08 09:27 · MS 2014

    상경계열 취직이 비교적 수월했다는 것도 상위권대학 경영대 출신들만 해당됐던 얘기에요.
    그때는 지금보다도 더 학벌을 많이봤으니까요.
    뭐 롯데같은곳은 지금도 SKY 출신들은 다들어가긴합니다.ㅋㅋ
    다시말해 어정쩡한 대학 문과출신들은 걍 공무원시험 준비나 하며 손가락만 빨고있었다는얘기.

    반면 공대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인하대 공대 정도만 나와도 대기업을 골라서 갈 수 있는 수준이죠.

  • Kaynes · 604157 · 15/10/08 09:29 · MS 2015

    롯동금 못들어가는 스카이 경영대 애들 많은데.... 그때 당시는 스카이 상경에 어느정도 학점에 어학능력 갖추면 대기업 잘들어가는 급이라 그런거구.. 롯동금은 최후의 보루였죠

  • 남자는정시! · 584123 · 15/10/08 09:30 · MS 2015

    이공계 기피있었던거 맞아요
    Imf 전까지 문이과 비율이
    5대5였는데 이후 7대3까지
    벌어집니다 이제와서 6대4정도로 다시 이공계 선호도가 높아졌고요

  • 하루16시간>< · 384093 · 15/10/08 09:52 · MS 2011

    imf전에도 문과가 더 많았어요

  • 남자는정시! · 584123 · 15/10/08 10:08 · MS 2015

    근데 그렇게 큰 차이가 없었어요 거의 5대5까지갔습니다

  • noTHX · 370589 · 15/10/08 09:54 · MS 2017

    취직만된다면 삶의질자체는 문과가 낫습니다 ㅇㄱㄹㅇ
    이과는 항상 QOL을 담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