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바야시형님 [1093690] · MS 2021 · 쪽지

2023-11-17 11:29:22
조회수 2,426

23수능 88점 -> 24수능 97점 (수학) 후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189816

23수능 88점이고

24수능 97점임 19번틀림



수능수학에서 고득점을 하는데 중요한건 딱 3가지같음




1. 기출암기


2. 다량의 문제를 접해보고 압축하기


3. 시간안에 많은 문제를 푸는걸 연습하기








1번은 이미 되있으실거고


2번 3번이 중요한데

2번은 정말 수능 전날까지 해야함

나도 수능 전날까지 평소처럼 수학 ㅈㄴ했음.

남들 뭐 마무리하고 정리한다할때 새로운문제 좆같이 풀었음.

그럼 문제 무식하게 많이 풀기만하면 되냐? 아님 자기걸로 만드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함.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 나는

월~토요일은 문제를 풀고 모르는거 틀렸던거 계산실수 했던거 전부다 오리거나 스크랩해서 일요일날 복습하는 시간을 가짐.

솔직히 3,4월에 푼 n제 문제들 9월 10월에 가서 까먹잖음?

그럼 그 n제 안푼거니만 못하다고 생각해서 그주에 바로바로 복습함. 그래도 모르는건 또 따로 정리해둬서 월말에 복습


이런식으로 하니까 실력이 느는게 눈으로 보임.


그럼 그냥 많은 문제를 풀면 끝? 아니지. 시간 좀 재고하셈.

생각보다 100분이 짧음. 어제 다 경험하셨을거아님?

우리는 뇌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만들어야함.

그러기위해선 평소에 시간에 쫓기고 빠듯하게 쫓기듯이 공부해야함. 


요즘같은 트렌드 시험에선 미안하지만

한문제풀기위해 진득하게 30분 1시간 고민해보고 이런거 개씨발 제일 쓸데없는 공부법이라고 생각함. 본인이 고정100이라서 시중문제가 너무 쉽다고 느끼고 시간많으면 하셈. 근데 나를 포함 니들은 안그렇잖아? 99.5% 학생들은?  그럼 모르는거 그냥 바로바로 답지보고 풀이 암기하셈. 난 수학이 암기과목이라고 생각하거든. 물론 생각은 해야지..근데 그런공부는 늦어도 7월전에 끝내고 7월이후부턴 미친듯한 문제풀이에 집중하고 암기해라.


일례로 서바 15ㅡ14번 푼 "기억" 으로 12번 순삭냈고 이번 공통 9 10 11 12 13 14 15 20 21 모두 사설에서 본문제에 일대일 대응이 가능함. 이정도로 많이풀면됨. 


그리고 몰랐던문제 발상노트 꼭만드셈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