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장마늘싸이버거단종 [1205695] · MS 2023 · 쪽지

2023-11-10 20:04:16
조회수 2,444

생윤 잘하시는분.. 레오폴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060960

김종익쌤은 레오폴드 입장에서 생명공동체의 모든 존재가 내재적 가치 등등과 상관 없이 ‘그 자체로 존속할 권리를 가진다’고 하셨는데,


현돌모에서 ‘어떤 생명체는 생명 공동체의 선에 기여하기 때문에 존속해야 한다.’라는 선지가 옳은 걸로 떨어졌어요


현돌모 풀때 저 선지 보고 생명체는 그 자체로 존속할 권리를 지니니까 ‘~때문에 존속해야 한다’는 틀린 거라고 생각했는데 맞는 선지더라고요


아무튼 어떻게 ‘그 자체로 존속할 권리’와 ‘생명 공동체의 선에 기여하므로 존속함’ 이 두개가 양립할 수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ㅜ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죄수 생 피에르 · 1246342 · 23/11/10 20:05 · MS 2023

    와드박습니다

  • 검은 칼날 · 1263872 · 23/11/10 20:07 · MS 2023

    이것은 레오폴드의 사상기반으로부터 접근해야함

  • 검은 칼날 · 1263872 · 23/11/10 20:08 · MS 2023

    김종익t가 언급한 선지보여줄 수 있나요?

  • 간장마늘싸이버거단종 · 1205695 · 23/11/10 20:12 · MS 2023

    올해 6모 15번에서 테일러와 레오폴드의 공통 입장으로 ’어떤 생명체의 존속은 그 생명체의 본래적 가치에 의해 정당화된다.‘라는 선지가 틀린 선지였는데, 이 선지 언급하시면서 ’본래적 가치에 의해‘가 아니라 그것과 상관 없이 존속할 권리를 가진다고 하셨어요 그리고 잘잘잘에서 계속 강조하신 부분이에요

  • 검은 칼날 · 1263872 · 23/11/10 20:12 · MS 2023

    오케이 글 쓰고 링크 달아드릴게요

  • 간장마늘싸이버거단종 · 1205695 · 23/11/10 20:13 · MS 2023

    감사합니다 ㅠ.ㅠ

  • 유삼환 · 824224 · 23/11/10 20:27 · MS 2018

    그 자체로 존속해야 한다는 게, 그 존재 자체만으로 존속할 권리를 지닌다는 뜻이 아니라, 원래 상태 그대로 존속할 권리를 지닌다는 뜻입니다.

  • 유삼환 · 824224 · 23/11/10 20:28 · MS 2018

    실제 레오폴드 원전 보면 ‘그 상태 그대로’라고 돼 있는 걸 올해 연계교재 집필자가 ‘그 자체로’로 paraphrasing했는데, 원전 문구 체크 안 하신 분들이 그 ‘그 자체로’를 다른 의미로 오독하시는 경우가 많더군요.

  • 돌아온캥거루 · 1237373 · 23/11/10 20:33 · MS 2023

    아 역시 그런거죠?
    저도 같은 강의 들었는데 필기 내용에 '그 자체로' 라는 문구가 없어서 무슨 말인가 하고 한참을 찾아봤네요

  • 간장마늘싸이버거단종 · 1205695 · 23/11/10 20:38 · MS 2023

    아!! 헉 그런 거군요 감사합니다 모르고 갔으면 큰일날 뻔 했네요

  • 호시노시아 · 1270604 · 04/29 19:23 · MS 2023 (수정됨)

    안녕하세요!
    몇달 전 글이지만 저도 공부하다 같은 부분에서 의문점을 느껴 질문 남겨봅니다
    그 자체로 존속할 권리 = 원래 상태 그대로 존속할 권리라고 한다면
    레오폴드의 입장에서 생명체의 존속이 정당화되는 이유는 그 자체로 존속할 권리를 지니기 때문이 아니라 그 생명체의 내재적 가치 때문인건가요?

  • 돌아온캥거루 · 1237373 · 23/11/10 20:31 · MS 2023

    강조 지점이 잘못된 것 같아요
    6평 기출이었나에서 '어떤 생명체의 존속은 그 생명체의 본래적 가치에 의해 정당화된다' 선지를 레오폴드를 겨냥하고 출제한 것은
    레오폴드는 내재적가치가 있다고 생각은 해. 근데 그게 레오폴드의 입장에서 존속할 권리를 가르는 기준은 아니야. 라는걸 알려주고 싶었던거고
    존속할 권리는 내재적 가치를 기준으로 부여되지 않는다. 라는 걸 알려주고 싶었던거고
    그게 김t 해석으로 넘어오면서 내재적 가치와 무관하게 그 자체로 대지에 존속할 권리를 지닌다. 가 되었고
    마치 생명체는 일단 본인이 존재한다는거 그 자체만으로도 존속할 수 있어!의 뉘앙스가 된 것 같아요

    교과서나 연계교재에서 가장 강조하고 있는 부분이 어떤 것이 생명 공동체의 온전함,안정 아름다움을 보전하는 경향을 띤다면 그것은 옳다(존속할 권리를 지닌다) 인데
    이로 미루어 봤을 때 생명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존속할 권리를 지닌다. 근데 그 권리라는 것이 내재적 가치와는 무관하다.
    생명 공동체 구성원들 중 '어떤' 구성원들은 생명 공동체의 선(아름다움, 안정, 온전함)에 기여하기에 존속할 권리를 지닌다. 로 충돌을 피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간장마늘싸이버거단종 · 1205695 · 23/11/10 20:40 · MS 2023

    아 ‘~그것은 옳다’에서 ‘옳다’는게 존속할 권리를 지닌다는 의미였군요 이제 알았네요.. 존속할 권리와 옳음 두개를 분리해서 알고 있었어요 ㅜ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