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조아 [1147115]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3-11-04 16:30:55
조회수 1,627

국어 독서파트 공부와 관련된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989617

안녕하세요. 곧 고3을 앞두고 있는 고2입니다.

메가스터디 김동욱 선생님의 일클래스와 연필통을 다 풀고 이후의 독서 공부의 방향성을 설정하던 중 "평가원 기출를 분석하고 n회독을 해야한다." 라는 글을 많이 보았고 학교 선생님또한 기출 회독을 추천하셨기에 기출을 풀어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몇가지 의문점이 생겨 질문을 남겨봅니다.


1. 기출을 보는 이유

저는 글을 완벽하게 이해한 뒤 그것을 바탕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수능의 킬러지문, 리트지문 등의 고난이도 지문을 계속 접하고 풀어내면 이것이 글을 잘 읽고 이해하는 힘을 기르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아닐까란 생각이 듭니다. 독서 공부를 한다고 하면 기출만 모아둔 문제집보단 매일 고난이도 지문을 보는 것, 이를테면 일취월장 같은 문제집이 낫지 않나하면서요.


2. 기출의 n회독의 목적

아무리 검색해보아도 "평가원의 의도를 파악해야하기 때문에 기출의 회독은 필수이다." 라고 추상적으로만 제시를 해주어 답답함을 느낍니다. 평가원의 의도가 가리키는 바가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글만 완벽히 이해를 한다면 문제될 것이 없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결론.

"어려운 지문으로 독해력만 늘리면 딱히 기출을 볼 필요가 없지 않나?" 가 저의 주된 생각입니다.


제 생각에 문제점이 있거나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이 있다면 알려주시길 바라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유오너넝 · 1262621 · 23/11/04 16:35 · MS 2023

    기출은 방향성이고 고난도 사설은 적용이라서
    방향성 잡혔으면 N회독은 굳이.?

  • 미적조아 · 1147115 · 23/11/04 16:38 · MS 2022

    그 방향성이 이해가 잘 안갑니다..
    여태 평가원이 낸 모든 지문이 동일한 논리로 전개 되는 것이 아닌데 도대체 어떤 방향성이 있다는 것인가요? 간혹 몇지문에 있다 해도 독해력만 미친듯이 키우면 해결되는 문제 아닌가요?

  • 배고픈발꼬락 · 1238265 · 23/11/04 16:52 · MS 2023 (수정됨)

    근데 기출 분석하면 지문을 읽을 때 뭔가 문제로 나올만한 포인트가 좀 잡히는 게 있어요. 저도 고3때는 무지성 독해 했는데 강기분 들으면서 기출분석 하고 난 후에는 지문 읽으면서 '아 이거는 부가정보네. 이거는 전체랑 부분 비교니까 체크하자. 순서 단계는 쭉쭉 이어붙이면서 읽자.' 등 행동강령이 정해졌어요.
    물론 독해럭이 좋고 지문 읽은 후 머리에 남는 정보가 많다면 다 해결되겠지만 저는 그게 어려웠었기에 기출분석 강의를 들은게 도움이 되더라고요.
    근데 기출n회독은 굳이...? 싶네요. 강민철T 도 계속 새로운 지문 부딪혀봐야한다고 하셨어서..

  • winase · 1246882 · 23/11/04 18:00 · MS 2023

    기출만큼 전문가가 오랜 시간 들여서 제대로 쓴 고난도 글이 잘 없고 기출은 강사나 만점 수준의 사람들의 분석이 있으니 사고 교정이 가능하죠. 그냥 고난도 글 읽고 운좋게 맞추고 해설 읽고 오답한다고 독해력이 늘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