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곡접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85093
교과과정 아니죠??
2014 수능 30번 변곡접선으로 푸는 강사분들 많네요.. 사실 이해도 잘 안가는데
그냥 한번 알아두는 정도로만 끝내도 괜찮죠? 자세히 공부 안하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85093
교과과정 아니죠??
2014 수능 30번 변곡접선으로 푸는 강사분들 많네요.. 사실 이해도 잘 안가는데
그냥 한번 알아두는 정도로만 끝내도 괜찮죠? 자세히 공부 안하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아니에용
개인적으로 변곡접선은 다른 교과외보다 특히 더 헷갈리던데요..대충 알고나니까
그죠.. 차라리 모르는게 나은듯 ㅠㅠ
진짜 헷갈리더라고요 ㅋㅋ괜히 알아가지고 ㅜㅜ
엥? 변곡접선이 교과외였음? 그럼30번은 출제의도가 계산노가다인거임?
저 문제 풀기 전에는 한번도 써먹어본 적이 없는거 같아서요..
교과외기는 한데 평가원이 굉장히 자주내서 그냥 알아두는게 좋지 않나요?
그냥 오로지 계산으로만 할려면 힘든디.....ㄷㄷ 이번 30번도 그렇고
평가원이 자주 냈었나요??
변곡점 기준으로 답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지 않았나요? 12수능 13수능 21번(맞나?) 이라던가 님이말씀한 14수능 30번이라던가.....아니면 그 어느 6평인지 기억은 안나는데 원점지나는 직선하고 삼차함수하고 맥시멈함수로 섞어놓았던거 라던가...
근데 변곡접선을 기준으로 접선의 갯수가 변한다 이런거는 없었지 않았나요??
직접적으로 그렇게 낸건 14 수능 30번 정도가 가장 근접할것 같네요 근데 사실 저도 님정도로 '변곡접선 기준으로 접선개수 변하고 변곡점에서 답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 이정도 느낌만 가지고 있는 편이라 그정도면 충분히 도움되지 않나요?
네ㅋㅋㅋ 그래서 딱 그정도만 알고있으려구요 이건 계속 봐도 모르겠어서;; 감사합니다 ㅎㅎ
자주는아니고 몇번낸듯
변곡접선을 기준으로 접선의 갯수가 변한다는 것도 냈었나요?
저는 14수능 30번 시험장에서 보자마자
계산해서 그래프그려서풀음...
시험끝나고 입시사이트보니까 무슨
변곡점에 접선그어서 풀었다는 사람들이
많아서 놀랐던게 기억나네요 ㅋㅋ
ㅋㅋㅋㅋㅋ 시간오래걸려도 묵묵히 계산하는게 나을거같아요 저한테는.. 변곡접선 봐도봐도 모르겠음
12학년도 수능인가? 변곡점에서의 교점이 1개라는 거를 알면 변곡접선으로 풀 수 있는 문제였는데, 그건 접선의 갯수 변화를 내제한거겠죠?아닌가 ㅎ 13학년도 6평은 갯수 아니었어요 근데 다 변곡접선으로 안풀어도 풀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