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 수소 껍질 연소가 일어나는 곳이랑 헬륨 껍질 연소가 일어나는 층 사이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706528

헬륨만 단독으로 존재할 수가 있나요????
이런 구조는 어떤 문제집에서도 못 봐서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완 정정] 답답해서 직접 만든 생2 수완정오표 (캠벨) 6
수능완성 생명과학II 풀다가 하도 이상한 느낌이 드는 선지가 많은데 EBS에서는...
ㄴ은 이미 수소핵융합반응이 일어나서 헬륨이 된 구간 아닌가요?
그쵸 여기는 이미 수소핵 융합 반응이 끝났다 이건 이해가 가요 그럼 헬륨이 됐을거 아니에요? 그럼 헬륨이 된 그 상태로 가만히 있는게 아니라 헬륨핵 융합 반응이 일어나서 탄소로 점차 변화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그냥 헬륨 상태로 가만히 있는게 아니라?
온도가 낮아서 그런거 아닐까요? ㄴ안에 헬륨껍질연소 구간부터 온도가 헬륨핵융합이 일어나기 위한 온도에 도달한거구요.
그게 일어나는 구간이 헬륨 껍질 연소인거죠
위에 분들이 너무 똑똑해서 설명을 못하시는거같은데 4에서 1까지 올린 나님이 설명을 좀 해드리자면
기본적으로 개념배울때 수소껍질연소구간 다음에 헬륨껍질연소구간이 맞는데
자료에서 저렇게 수껍연과 헬껍연 사이에 어떤 구간이 있다고 주어지면
별 중심으로 들어갈수록 온도가 높아지고
수소핵융합반응과 헬륨핵융합반응 시작온도 차이가 있으니까
"아직 헬륨핵융합반응 시작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헬륨들이 아닐까" 라고 판단하는게 맞을거같습니다
저걸 외우고있어야하는진 모르겠는데
자료에서 주어진걸로 논리적으로 충분히 판단할 수 있을거같음
저는 머리가 개나쁩니다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