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수호대 [1229344] · MS 2023 (수정됨) · 쪽지

2023-09-16 01:04:29
조회수 2,431

(지구과학1)섭입대에서 생성되는 마그마의 조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424070

1. 대륙판 + 해양판

  - 이 경우는 잘 알고 있겠지만 함수광물에 의해 멘틀물질의 용융점이 낮아져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되고 그 마그마가 상승하며

    대륙판을 녹여 대륙판의 유문암질 마그마가 생성, 이 두 마그마가 섞여 안산암질 마그마가 된다 (결론 : 주로 안산암질 마그마 분출)


2. 해양판 + 해양판

  - 이 부분을 잘 모르는 사람이 많은것 같은데 해양판에 해양판이 섭입하면 최종적으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분출될거 같지만 실제로는

     안산암질 마그마가 분출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게 어떻게 가능한걸까? (생각해보면 해양지각도 현무암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위 1번 경우처럼 SiO2의 조성이 늘어날 이유가 없어보임) 하지만 마그마가 냉각되며 마그마의 분화 현상이 일어나 결과적으로

     안산암질 마그마가 분출될 수 있다. (결론 : 현무암질 마그마, 안산암질 마그마 분출)


  *마그마의 분화현상이란?

  - 마그마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광물이 용융되어 있으므로 마그마가 냉각되기 시작하면 여러 광물 중 용융점이 높은 광물부터 

     차례로 굳음 (정출)  그러므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냉각되면 고철질 광물이 먼저 굳어 밑으로 가라앉고 마그마의 잔액은

     처음의 현무암질보다 상대적으로 규장질인 마그마로 화학조성이 변함 (안산암질 마그마가 2번 경우에서 생성될 수 있는 이유)


   조금 과하지만 공부에 도움이 되는 지식인거 같아 써봅니다....

   제 글에 틀린점이 있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