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공부속도를 5배 높였던 충격적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4067701
이 글로 당신의 시간을 아껴드리겠습니다. 장담합니다. 10분 뒤부터 공부 방법이 바뀔 겁니다.
제 말이 거짓이라면 댓글로 욕을 해도 좋습니다. 칼럼은 늘 그랬듯 반말로 적겠습니다.
사람들이 착각하는 게 있다. '무슨 인강을 볼지' '기출은 몇 번 볼지' '문제집은 몇 권 풀지' '하루에 몇 시간 공부할지' 이런 게 공부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건 껍데기다. 공부법의 본질은 '효율적으로 성과 내는 법'이다. 그래서 수능에만 통하는 잡기술이 아니다. 대학에 가서도, 업무를 할 때도 쓰인다.
이런 주제를 정면으로 다루는 게 시간관리법 서적이다. 공부법을 연구하면서 시간관리 책을 많이 분석했다. 다들 좋은 얘기를 하지만 수능 공부에 연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오늘 칼럼에서 그 문제를 해결하겠다. 처음 보는 접근일 것이다.
오늘의 주제는 '멀티습관'이다.
인간은 두 가지를 동시에 생각 못 한다. 뇌과학적으로 너무 명백하게 밝혀진 사실이다. '멀티'는 사실 여러 가지를 왔다갔다하는 것이다.
그런데 뇌는 다른 과제로 전환할 때 에너지를 쓴다. 특히 일의 성격이 다를수록 손실이 크다. 그래서 '멀티'를 하면 뇌효율이 뚝뚝 떨어진다.
그러나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멀티'를 한다. 그래서 비효율적으로 공부한다.
멀티습관의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1. 유혹통제 실패
설마 아직도 유혹통제가 뭔지 모른다면 이 칼럼은 무조건 봐야 한다. https://orbi.kr/00063648001
대부분 공부할 때 이렇다.
수학을 풀다가 막힌다. '집중력이 떨어졌나?' 갑자기 카톡을 확인하고 싶다.(유혹) 카톡을 확인한다. 카톡 연 김에 인스타도 열어본다. (잠시 후) "아씨 나 왜 이러고 있지"
여기서 1시간 날리면 그날 공부는 망한다. 근데 3분 만에 다시 공부로 돌아오면? 그럼 괜찮은 거 아닐까?
괜찮지 않다. 이것도 일종의 '멀티'다. 서로 다른 성격의 일 사이에서 왔다갔다 했기 때문이다. 그 3분간 뇌는 혹사를 당했다.
공부하다가 카톡과 인스타를 보는 건 시간만 낭비하는 게 아니다. 더 큰 손실은 두뇌용량의 손실이다.
우리는 아침에 일정한 두뇌용량을 받는다. 그걸 하루 종일 나눠가며 쓴다. 근데 카톡이나 인스타를 보면 급격하게 용량이 깍인다. 정작 공부할 때 중요한 의사결정에서 실수가 나고, 머리가 안 돌아간다.
그래서 유혹 통제는 정말 중요하다.
2. 일 쪼개기 실패
진짜 하고 싶은 얘기는 이거다. 정말 중요하다.
한 개의 과제는, 사실 여러 개로 이루어져 있다. 그걸 모르면 나도 모르게 멀티를 한다. 나도 모르는 사이 공부효율이 떡락한다. 이게 무슨 말일까?
처음 칼럼을 쓸 때 진짜 힘들었다. 지금보다 시간이 5배로 걸렸다. '일 쪼개기'를 못했기 때문이다.
글쓰기에는 고려할 게 정말 많다. 어떤 내용을 쓸지(주제), 어떤 순서로 얘기할지(구성), 이해하기 쉬운지(난이도), 읽기 편한지(가독성)...
이 모든 것을 한 번에 생각하면 머리가 터진다. 과거의 내가 그랬다. 저걸 다 생각하니 진도도 안 나갔다. 글의 완성도도 떨어졌다.
지금은 다르다. 글의 주제는 평소에 메모해 둔다. 쓰기 시작하면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일단 생각나는 대로 막 쓴다. 내용에만 신경쓴다.
그 다음에 하나씩 수정한다. 1) 글의 구성이 논리적인지, 2)너무 어렵게 쓰진 않았는지, 3) 읽기에 편한지... 최소 3번에 나눠 수정한다. 한 번에 하나만 생각하면 너무 쉽다. 가속도도 붙는다.
어차피 총 하는 일은 같다. 근데 일을 쪼개기만 해도 속도가 5배 빨라졌다.
당신이 공부할 때도 이런 문제가 있다.
기출분석에서 얻을 수 있는 내용은 여러 가지다. 1) 핵심개념 2) 반복되는 출제유형 3) 출제 경향성 ...
근데 이렇게 목적을 쪼개지 못하면? 그냥 "기출분석해야지!"라고 생각한다. 저 3가지를 '멀티'한다. 시간은 훨씬 오래 걸리고,제대로 되는 건 하나도 없다.
( 기출분석에서 왜 저 3가지를 봐야 하냐고? 저번 칼럼에서 다 설명했다. 이걸 모르고는 기출분석을 할 수 없다. https://orbi.kr/00063987828 )
비문학을 풀고 피드백할 때도 비슷하다. 여러 요소에 신경 써야 한다.
1) 어떤 사고과정으로 지문을 읽었는지 2) 어떤 사고과정으로 답을 골랐는지 3) 정답의 근거와 논리는 무엇인지 4) 다음에는 어떻게 읽고 어떻게 풀지 ...
그러면 4번으로 쪼개서 피드백해야 한다. 그냥 뭉뚱그려서 "피드백해야지!"라고 계획하면 멀티를 하게 된다. 하나도 제대로 되지 않는다. 시간은 더 오래 걸린다.
과제를 적절하게 쪼개면, 한 번에 하나만 생각하면 된다. 공부가 너무나 쾌적하고 쉬워진다.
3줄 요약
1. 멀티습관을 버려야 한다.
2. 유혹통제를 잘 해야 한다. (유혹통제 칼럼)
3. 일 쪼개기를 잘 해야 한다. (기출 쪼개기 칼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크아악
-
매일생각한다. 7
이 신성한 줄임말은 대체 누가 만든 것인가.. *물먹기
-
폐급같이 생겼지...? 굳이 저 사람들을 왜 뽑은걸까
-
나는 이게 병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
신기하네진짜
-
요즘 나빼고다핑크퐁이네아주
-
답지 죽어도 안본다
-
1.이겨놓고 싸우는법 뒤에 나오는 필수 고전시가에서 모르는 한자는 외워야 하나요?...
-
그냥 강의 자체가 재밌는 편인 강사들의 타수가 떡상할 느낌이고 배기범같은 강사들은...
-
닥치라고 욕먹을수도 있는거 아닌가 난 항상 마음의 준비중인데
-
돈만 되면 2
사설 인강은 일찍 접하는 게 좋은 것 같아요. 나도 EBS랑 강남인강으로 되는 줄 알았지 응응...
-
환율 돌았나 4
아.. 달러로 쥐고 있을걸
-
[속보] 세종시장 "서울대를 세종시로 이전하라...지방소멸 해소 기대" 5
최민호 세종시장은 10일 수도권 집중 해소를 위해 서울대 등 수도권 명문대학을...
-
엘리하이ㅋㅋㅋㅋ랑 메가스터디로 그때 배운걸로 중3 끝날때까지 과학은 항상 고정...
-
무지성 의까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얘도 차단해놔서 안보이네
-
마라탕 먹고싶다 4
-
애초에 무엇이 방귀고 무엇이 dong인지 우리는 어떻게 감각하는가?
-
으흐흐
-
통사 1타 예상 8
우영호
-
장풍이 1타를 먹을까 아니면 배기범/백호/오지훈/고석용 4명이서 엑조디아마냥 잘라먹으려나
-
교육 과정 하에서 잘 풀리는 문제가 아니라 교육과정만 잘 학습한 놈이나 사교육 달은...
-
내용을 이해하기도 전에 어휘를 잘 모르는게 문제면 많이 풀면서 어휘도 정리하고 그래야겟죠?
-
ㅇㅇ 개나소나 다 야뎁 받아서 쓰던데 첫주 빼고 책 피는 사람 본 적이 없음 어차피...
-
정답률만 봐도 킬러인거 반박 못하는데 유튜브댓글에서 킬러 아니라고 우기는데 너무...
-
점수도 의대가 더 높고 벌이도 의사가 더 좋은데. 왜 자기보다 못한 직업에 열등감을...
-
스트레스성이라 특별한 방법도 없고 ㅅㅂ
-
인강 책값을 낮추는 게 훨 낫다. 애들도 PDF보다 종이책을 선호하던데 애초에 야뎁...
-
의치수약대 학사편입 가능성 좀 봐줘.. 건국대(서울) 의생명계열 학과 GPA...
-
수능영어 토익 2
수능영어 고정 1이면 토익 처음봐도 900 가능한가요?
-
질문이 무플로 떠내려가서 ㅠㅠ.... 수학문제집을 제대로 풀고 넘어가라고 하는데...
-
나 숏 더쳤거든 ㅜㅜ
-
오늘만큼은 내게도 꼭 기회를 줘
-
한 11시 쯤에 일어난거 같은데
-
손도 못대겠군
-
넵
-
언매 널 죽이겠다
-
19번 애는 선지 제대로 안 봤다가 틀림... 왜 여기서 손가락 걸기를 한 거야 빡통이...
-
7호선 무슨일 2
ㄷㄷㄷ
-
수학 자작 문제 1개(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의 미분) 9
모의고사 2회 15번이 될 뻔한 문제입니다. 식의 형태에 주목하여 초반 과정만 잘...
-
23313 11232 44554 15454 인데 맞습니까
-
네..
-
8학군 여고에도 5
공부 좆같이 못하면 지잡간호가는 경우 개많은데 ㄹㅇ 비호였던 일진충인 애들 싹다...
-
가형 29번이랑 지금 기하 30이랑 난이도 비슷한가 15
너무 어렵네
-
https://payge.kr/speed?share=refer 글 읽기 속도...
-
개피곤하다 5
ㅅㅂㅅㅂ
-
ㄹㅇㄹㅇㄹㅇ.........
-
드럼통 담구면 맛나겠네
이거보고바로좋아요누르고팔로우하기로했다
감사합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좋다옹
근데 ㄹㅇ 쉴 때 폰 안보는게 젤 힘듦....
심심한 걸 참는 게 참 힘들죠...
>_<
오... 미쳤다
확실히 더 체계적인 공부도 가능할거 같네요. 내가 어디가 부족한지도 파악하기 쉬운?
국어 저렇게 피드백하면서 강의 듣고 성적 올랐는데 잘 하고 있는 거였네요… 수학도 저렇게 해야겠네…

이분은 항상 공부의 본질에 가깝게 글을 쓰셔서 대학 공부에도 도움 많이 됨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정신적으로 힘들때는 어떻게 해야될까요?...ㅠㅠ 1시간 풀집중하다보면 저절로 집중력 흐트러져서 다시 집중하기가 힘듭니다
ㄹㅇㅋㅋ
저는 10분 정도 낮잠 자는 것 애용했습니다. 혹은 10분 정도 걷고 오는 것도 좋습니다. 사실 최악만 피하면 됩니다. 최악은 휴대폰 보는 겁니다.
90일x5배 사실상 450일의 전사 레츠고
ㅋㅋㅋㅋㅁㅊ
이거 보고 D-20 부터 100일의 전사 하기로 했다 ㄷㄷ
칼럼 관련햐서 물어볼게 있어 쪽지 보냈는데 읽어봐주살 수 있을까요?
+해결했습니다
근데 이런 글 보면 항상 지키기가 힘들어서 슬픔
생각을 바꾸는게 한 번만에 되는 건 절대 아닙니다 ㅠㅠ 저도 이런 칼럼을 쓰고 있지만 항상 완벽하게 공부하지는 못 합니다. 조금씩 수정해 나가는 것만이 답입니다. 파이팅!
후 이거 읽고 인스타 지웠습니다
올해 영독연인가 수특인가 지문 중에 글쓰기를 시작할 때 고민하지 말고 우선 생각나는대로 적다가 천천히 수정해나가라는 내용이 있었는데 이거랑 똑같네요 ㄷㄷ
오 신기하네요!
언제나 유용한글 감사합니다
번외의질문이지만 수험생활때 플래너를 쓰셨나요?
플래너를 쓰면 그 형식에 구애받는 거 같아서 안썼습니다. 그냥 수첩을 이용했습니다.
그럼 매일 구체적인 계획을 안세우신걸까요?
아 아닙니다. 물론 계획을 세웠습니다. 굉장히 구체적으로 세우는 편입니다. 수첩에 간단하게 적었다는 뜻입니다.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만화책을 읽는건 어떤가여 ?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늘 양질의 글 감사합니다감사합니다 ,, 평소의 저를 성찰하게 되네요 ㅜ
수학 필수유형 공부하는 단계인데
아 오늘 n문제 풀어야지... 이런 생각에서
1)익혀야하는 유형 인지하고 접근법 읽어보기
2)해당하는 유형 풀기
3)다음 유형으로 넘어가기
이렇게 생각하면 덜 부담스러우려나요
거 이왕이면 강의듣고 필기하는 시간도 0.2배로..ㅠ
인강들으면서 이거 읽는데 멀티습관에서 멈칫
집중 할 수 있는 환경 만들면서 단계별로 차근차근 진행하라는 거군요
와 지금껏 보지 못했던 독특하면서 좋은 글이네요.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번개쳤습니다 와.. 지금 딱 필요한 조언을 얻은거 같네요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ㅎㅎ
좋은글 늘 감사합니다
메디소드님 질문있습니다!!
"비문학을 풀고 피드백할 때도 비슷하다. 여러 요소에 신경 써야 한다.
1) 어떤 사고과정으로 지문을 읽었는지 2) 어떤 사고과정으로 답을 골랐는지 3) 정답의 근거와 논리는 무엇인지 4) 다음에는 어떻게 읽고 어떻게 풀지 ..."
문학도 위 방법대로 피드백 하면 되나요??